전시회 일정

기업 인지도와 브랜드 홍보의 지길!
정확한 정보, 발 빠른 소식으로 대한민국 산업의 소통 창구 역할로서 전국 산업인들의 든든한 동반자가 되고 있습니다.
광고모집중
광고모집중
세계시장의 흐름과 산업동향-미국, 자동차 신소재 및 인테리어 산업 경향 세계시장의 흐름과 산업동향-미국, 자동차 신소재 및 인테리어 산업 경향
이예지 2015-08-27 13:35:51

▶ 미국, 자동차 신소재 및 인테리어 산업 경향

자동차 인테리어 산업, 새로운 수익창출 업종될 전망


* 자료 : KOTRA 글로벌윈도우




2015년 합작투자 기업 Yanfeng Automotive Interiors 설립(자료원: Wards Auto)


● 자동차 인테리어 산업 트렌드

(1) 수익 창출 업종으로 떠오르는 자동차 인테리어

인테리어는 수익 창출 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던 업종에 속했으나, 최근 신소재 개발 및 IT기술의 융합과 더불어 주요 수익창출 업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인테리어 업종의 부상과 더불어 합작투자(Joint Venture) 기업의 설립 등 업체 간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을 선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데, 그 예로 자동차 인테리어 산업 주요 기업인 Johnson Controls의 인테리어 부문이 중국의 Yanfeng사와의 합작 투자를 들 수 있다.


(2) 편의성 강화: 스마트 인테리어 소재(Smart Surface)

기존 인테리어용 플라스틱은 내장 마감용으로 사용됐으나, 최근 사용자들이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도입으로 기술발전의 포인트가 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를 IT 산업 등 다른 산업에서 널리 쓰이는 기술들과 접목시키는 방향으로도 개발·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미래의 플라스틱 소재들은 자체적인 냉난방 기능과 더불어 색깔을 바꿀 수 있는 기능, 모션 감지 기능 등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3) 경량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신소재 활용

복합소재와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하면 기존의 단일소재 부품 대비 견고하면서도 가벼운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과 플라스틱 재료를 함께 사용해 벌집 모양의 디자인을 도입한 신제품은 기존의 금속 단일 재료에 비해 무게 절감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신소재들은 가벼운 무게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도성 등의 특성으로 신호전달 등 단순 마감재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원가절감효과: 3D 프린팅 기술 도입 증가

금형이 필요 없는 3D 프린팅 기술 발전은 새로운 자동차 디자인 개발 및 공정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존의 기계식 버튼→정전식 터치스크린→버튼압력감지 버튼(자료원: Wards Auto)


● 자동차 인테리어 시장 및 디자인 동향

2015년 최고 인테리어는 편안함, 디자인 미학, 인포테인먼트, 인간 공학, 완성도, 소재, 안정성, 가격 등을 기준으로 42개 차종을 평가해 선정됐다. Top 10 인테리어에는 처음으로 5개의 트럭 모델(F-150, Canyon, Renegade, Sedona, Murano)이 선정됐으며, 이에 반해 브랜드 모델들의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럭셔리 인테리어 시장에서 Audi 브랜드의 장악력이 감소하고 있다.

한편 고급 픽업트럭이 예상 외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링컨과 도요타 브랜드의 인테리어가 크게 개선되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반짝이지 않는 나무 재질의 인테리어를 선호하고, 올 블랙 인테리어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가죽 핸들, 시트에 박혀 있는 정교한 실밥을 매우 선호하며, 실밥 끝맺음 처리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시사점

2015년 자동차 인테리어 산업 트렌드는 크게 경량화, 친환경, 안전성, 편의성이라는 4가지 요소로 축약될 수 있고, 자동차 인테리어 부품의 경우 자동차의 IT화 추세에 맞추어 궁극적으로 인테리어와 운전자가 상호작용(Interactive)하는 방식으로 변화될 전망이다.

또한 기존 등한시되던 자동차 내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관련 규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한국의 자동차 인테리어 부품 기업들은 관련 규정에 대비한 친환경 소재 도입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3년 한국 정부는 처음으로 자동차 VOC 규제를 위한 글로벌 기준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중국 정부는 2017년부터 자국 내 자동차 VOC 규제를 강제할 방침이다.

그 밖에 금형이 필요없는 3D 프린팅 기술의 급속한 발달 및 자동차 산업 적용으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에 큰 변화가 예상되며, 우리 기업이 생산원가 절감 및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해당 기술 적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기사는 월간 여기에 9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