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텍, XTS 홍보에 무게중심 둔 전시 진행 XTS는 드라이브 기술에 근본적인 변혁을 일으킨 시스템
이예지 2014-04-07 09:22:25

트라이텍
XTS(eXtended Transport System) 홍보에 무게중심 둔 전시 진행


1404스리트라-이1.jpg

트라이텍 부스 전경


독일 Beckhoff 사의 국내 대리점인 트라이텍은 이번 전시기간 동안 새로운 리니어 시스템인 XTS(eXtended Transport System)를 비롯해서, TwinCAT 3와 임베디드 PC를 기반으로 제품군, TwinCAT 3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XTS 데모 시연을 통해 Beckhoff 사의 기술력을 과시했다.
특히, 새로운 리니어 시스템인 XTS(eXtended Transport System)의 홍보에 무게중심을 둔 전시를 진행한 것이 특색으로, 이 XTS는 하나의 서클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드라이브 시스템으로서, 로터리 및 리니어 드라이브 시스템의 이점들을 결합하는 한편, 전형적인 리니어 모터 원리를 확장했다. XTS 모터는 구동부와 피드백 측정 모듈이 하나의 어셈블리 안에 완벽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무버는 임의의 경로 상에서 최대 4m/s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고, 최대 100N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트라이텍은 이와 함께 TwinCAT이 반도체 업체마다 자체개발해서 사용하는 기존 반도체 소프트웨어인 클러스터 툴(Cluster Tool)과의 연동을 위한 유연한 자동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는데 주력한 전시를 진행했다.


인터뷰

“XTS는 드라이브 기술에 근본적인 변혁을 일으킨 시스템”


1403SE트라-인물.jpg

트라이텍 이명복 차장


-『Automation World 2014』에서 트라이텍이 산업계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 이번 Automation World 전시회는 3가지의 주제로 부스를 구성했다.
첫 번째는 TwinCAT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동화 설비의 실시간성 제공, 두 번째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동화 생산 설비에서 EtherCAT을 이용한 네트워크 단일화, 마지막으로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리니어 시스템인 XTS(eXtended Transport System)다.


-주요 전시 품목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앞서 말한 세 가지의 핵심기술을 뒷받침할 수 있는 TwinCAT 3와 임베디드 PC를 기반으로 제품군을 전시했으며, 트라이텍의 부스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핵심 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TwinCAT 3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XTS 데모 시연을 준비했다.


-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선보인 XTS는 기존 리니어 시스템과 어떻게 차별화되며, 엔드유저에게 제공하는 이점은 무엇인가.
▲ BECKHOFF가 지난해 하노버 전시회에서 정식으로 출시한  XTS(eXtended Transport System)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리니어 시스템이다.
이 XTS는 하나의 서클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드라이브 시스템으로, 품질 및 성능이 입증된 로터리 및 리니어 드라이브 시스템의 이점들을 결합했고, 전형적인 리니어 모터 원리를 확장한 것이다. XTS 모터는 구동부와 피드백 측정 모듈이 하나의 어셈블리 안에 완벽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무버는 임의의 경로 상에서 최대 4m/s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고, 최대 100N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드라이브 기술에 근본적인 변혁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완벽하게 새롭고 공간 절약적인 장비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엔드 유저는 불규칙하게 인입되는 제품들, 제품의 크기, 제품 이송 속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기구적인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 되고, PC 기반 제어시스템 및 EtherCAT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콤팩트하고 심플한 제어 시스템 구성을 경험할 수 있다.


-XTS는 동기제어 측면에서 어떤 경쟁력이 있나.
▲ XTS는 모터 모듈 내부로 EtherCAT 통신을 지원하며, TwinCAT 3와 250us의 주기 통신을 이루고 있다. 모터 모듈 3M 기준으로 약 1KB 데이터에 온도, 코일의 I2T, Over Current, DC 전압 등의 정보가 함께 업데이트된다. 고속의 EtherCAT 통신을 통해 XTS 의 상태 분석뿐만 아니라, 1us 이내의 동기운전을 보장하며, 반복 정밀도 10um 이내의 고 정밀 위치제어 가능하다. 이러한 성능은 XTS 공정으로 불규칙하게 들어오는 단위 제품들을 고속으로 균등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분당 생산량은 XTS 구성 길이와 무버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XTS가 타깃으로 하는 시장으로는 어떤 산업분야가 있나.
▲ 수평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고속으로 포장하거나 가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과자와 같은 단위 생산품들을 이송 라인 상에서 가공한다든지, 음료 용기에 용액을 채우는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생산제품을 축적해서 처리하는 방식이 아닌, 이송 중에 모든 공정이 이루어지며, 불규칙하게 인입되는 제품들과 동기되어 무버가 함께 이동하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크기 및 이송 속도 등의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포장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 세계 시장에서 XTS의 실적은 어떠한가.
▲ XTS는 지난 2013년에 처음 소개된 이후, 유럽지역에서 처음으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고객사와의 비밀유지 계약에 의해 적용 사례를 소개할 수는 없지만, 10 곳 이내에서 적용하여 운전하고 있다. 이번 Automation World 2014에서는 처음에 예상했던 이상으로, 많은 참관객들이 이 XTS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우리 트라이텍에서도 기대치가 큰 상황이다.


-독일 Beckhoff 본사 및 한국 시장에서의 XTS 시장 확대전략은 무엇인가.
▲ 앞서 설명한 것처럼, XTS는 2013년 하노버 전시회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이 제품은 생산성의 극대화를 위한 제품으로, 일반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특수 어플리케이션(고속의 대량 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금까지는 Beckhoff가 디바이스 단위의 제품을 주로 소개해 왔다면, XTS 제품은 지금까지의제품과는 다르게 기구물과 함께 공급되는 첫 제품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XTS의 적용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한 뒤, 시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