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제어 시장을 주도해나가는 한국 에머슨의 자신감에 주목한다
이예지 2014-07-30 11:08:48

공정제어 시장을 주도해나가는 한국 에머슨의 자신감에 주목한다!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2014 Emerson Functional Safety Seminar』 성황리에 개최


1408 IC3-1.jpg

Exida 수석 Safety Consultant Desmonde Lee 씨는 Alarm Rationalization 프로세스는  채터링이나 단속적 또는 무효경보와 같은 불필요한 알람의 전체적인 발생회수를 줄여줌으로써, 알람 발생 시, 알람에 대한 신뢰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가 지난 7월 2일, 서울 JW Marriot 호텔에서 EPC 업계를 대상으로 『2014 Emerson Functional Safety Seminar』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오토메이션 업계 최초로 자동화 안전 인증 및 컨설팅 회사인 Exida 전문가를 초빙해 진행된 행사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니는 한편, 개별 업체의 제품 및 시스템에 대한 세미나가 아닌 학술적인 성격이 강한 행사로 진행이 됐다는 점에서, 국내 공정제어 시장을 주도해나가는 한국 에머슨의 자신감을 읽을 수 있게 했다.
이날 행사를 통해 한국 에머슨은 Advanced Alarm Management Solution인 Alarm Rationalization 등을 소개하는 한편, 앞으로 Exida와 협력해 Safety 진단 및 HAZOP Study 비즈니스를 진행함으로써, EPC 업체들의 기술적인 고민을 해결하고, EPC 업체들이 Safety 및 HAZOP 업무수행과정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취재 최교식 기자 cks@engnews.co.kr


이날 행사를 위해 방한한 Exida의 수석 Safety Consultant인 Desmonde Lee 씨는 알람은 올바르게 설계 구현된 경우, 오퍼레이터들이 플랜트를 안전하고 정상적인 동작 조건하에서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지만, 과잉 알람으로 오퍼레이터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불편을 초래한다면 오히려 오퍼레이터의 업무성과가 악화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알람 시스템의 우수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단계들을 취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성과 향상과, 공정 이상이 주요 사고로 확대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Desmonde 씨는, ISA-18.2 알람 관리 수명주기는 일반적인 알람 관리상의 문제들을 취급하기 위한 기반구조를 제공하며, ISA-18.2 표준은 효과적인 알람 관리 프로그램의 구현을 위한 청사진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ISA-18.2 표준의 7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면 알람 시스템 성능, 따라서 운전자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으로, 7가지 주요 단계란 1. 알람 원리 문서 생성, 2. 알람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여 주요 성과지표(KPI)와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알람 파악, 3. 기존 알람 시스템 설계를 검토, 알람의 합리화, 4. 결과를 알람 응답 절차에 문서화하며 운전자들에게 대응방법 교육, 5. 개정사항에 대해 변화 관리 프로세스 적용, 6. 합리화에 의한 요구에 따라 알람 시스템 변경 구현, 7. 단계 2부터 시작하여 주기적으로 반복이라고 설명했다.


또 Advanced Alarm Management인 Alarm Rationalization(알람 합리화) 단계는 ANSI/ISA-18.2-2009 Management of Alarm Systems for the Process Industries(공정산업을 위한 알람 시스템 관리)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표준은 공정산업에서의 알람시스템의 개발, 설계, 설치와 관리를 취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람 시스템 관리에는 알람 시스템 수명주기 전반의 복수의 작업절차들이 포함되며, 이 표준은 알람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용어와 모델을 정의하고, 수명주기 전반에서 알람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권장되는 작업절차들을 정의한다.


그는 이 Alarm Rationalization 단계는 설비의 운영방식에 기반하여 무엇이 알람으로 인정될 수 있는 지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며, 불필요한 알람은 플랜트 운영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Alarm Rationalization 프로세스는 채터링이나 단속적 또는 무효경보와 같은 불필요한 알람의 전체적인 발생회수를 줄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는 알람 발생 시, 알람에 대한 신뢰가 가능하며, 신중하게 운전자를 안내하고, 올바른 동작순서를 위해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2차 또는 종종 중복되는 알람에 의한 혼란을 방지한다는 설명.  


그는 Alarm Rationalization의 프로세스는 모든 잠재적인, 또는 현존하는 알람들을 알람 정의 문서상에 정립된 원칙에 따라 평가하고, 어느 알람이 올바른 알람인지 판별하고, 알람의 의도를 지정하고, 운전자의 응답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 가능한 원인과 결과 및 수정조치와 같은 합리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체계적인 작업 프로세스라고 설명했다.


또 Alarm Rationalization에 의한 일차적인 관점에는 운전자에 대한 알람 부하감소, 중요하지 않은 알람의 제거, 운전자에게 가장 필수적인 알람에 우선 응답하도록 하는 우선순위 할당이 있으며, 이는 모두 운전자 효율의 개선으로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1408 IC3-2.jpg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송재훈 부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에머슨, 공정 자동화 작업자가 새로운 산업 표준에 맞추어 알람 시스템 성능을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DeltaV Analyze V2.0 소프트웨어 발표
또 에머슨은 최근, 공정 자동화 작업자가 새로운 산업 표준에 맞추어 알람 시스템 성능을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DeltaV Analyze V2.0 소프트웨어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에머슨의 DeltaV Analyze V2.0 소프트웨어는 피크 및 평균 수신 경보율 및 우선순위 분포와 같은 새 표준에서 규정하는 대로 알람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아웃 오브 더 박스 보고서(out-of-the-box)를 제공한다. 보고서에는 가장 자주 발생하는 알람 및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는 알람의 원인과 같은 여러 종류의 불필요한 알람 중 ‘상위 20개’ 목록이 있다.


그는 에머슨은 Exida와의 제휴를 통해 Exida의 SILAlarm 알람 합리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DeltaV 시스템의 알람 성능을 최적화하며, 알람 합리화는 ISA-18.2의 알람 관리 수명 주기에서 주요 활동 중의 하나이며,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알람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SILAlarm은 이전에는 매우 부담스럽고 비용이 많이 드는 합리화로 여겨지던 작업에 여러 가지 이점을 준다고 말하고, 그 결과 작업자에 대한 알람 부담을 줄여서 더 이상의 불필요한 알람이 없으며, 작업자의 응답을 향상시킨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