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기업 인지도와 브랜드 홍보의 지길!
정확한 정보, 발 빠른 소식으로 대한민국 산업의 소통 창구 역할로서 전국 산업인들의 든든한 동반자가 되고 있습니다.
광고모집중
광고모집중
[세계시장의 흐름과 산업동향] TPP 충격 받은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돌파구는 어디에 [세계시장의 흐름과 산업동향] TPP 충격 받은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돌파구는 어디에
이예지 2015-10-27 09:42:02

세계시장의 흐름과 산업동향

* 자료 : KOTRA 글로벌윈도우


▶ TPP 충격 받은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돌파구는 어디에

경영 애로 많은 섬유산업, TPP 체결 발표로 어려움 가중


● 개요

지난 10월 4일 발표된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타결 소식 이후에 인도네시아는 거대 경제권에 참여하지 못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즉각 무역부 장관이 2~3년 내에 TPP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국내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인 섬유산업은 최근 급격한 임금 상승과 내수, 수출 부진 등으로 경영 애로를 겪어왔다. 더불어 이번 TPP 체결로 인해 최대 경쟁국인 베트남에 비해 수출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는 점에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TPP 이외에 현지 섬유업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AEC(아세안경제공동체) 등 타 통상협약 체결도 임박한 상황에서, 국내 관련 기업들은 각 통상변수에 대응하는 상황별 서플라이체인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전체 제조업·섬유업 총 GDP 성장률 비교(자료원: 자카르타 포스트)


 어려움 겪는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엎친 데 덮친 격

인도네시아 섬유산업은 산업 총생산량이 국가 GDP 중 약 2~3%를 차지하고, 전체 수출량의 7%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이다. 인도네시아 섬유업계는 최근 세계 경기둔화에 따른 경기침체를 겪고 있으며, 2014년부터 성장세가 둔화돼 2015년 1분기에는 0.98%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 섬유업계는 전기료 인상, 루피아 약세 등의 영향으로 인한 생산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경기하락으로 인해 자바지역에 산재한 섬유업체들이 노동자 수천 명을 해고하기도 했다.

수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5년 1분기 섬유산업 수출액은 2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으로 축소되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섬유협회(API)가 설정한 2015년 수출액 목표인 126억 달러의 18.3%에 그치는 수준이다.

이번 TPP 타결과 이미 체결된 베트남-EU FTA로 인도네시아 섬유산업은 최대 수출처인 미국, EU, 일본에서의 향후 시장점유율 경쟁에서 경쟁력을 잃게 되었고, 섬유산업 투자가 집중돼 일관 생산체계가 구축되는 베트남 상황을 고려했을 때, 2015년 12월로 예정된 아세안 경제공동체(AEC) 출범 후에는 역내 경쟁에서도 불리한 위치에 서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섬유산업 생산 공정에 따른 용어(자료원: KOTRA 하노이 무역관)


● 경쟁국 베트남과 격차 벌어져

이번 타결로 섬유산업 최대 경쟁국인 베트남의 미국 향 섬유제품 관세가 기존 17~32%에서 0%로 철폐되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8~31%의 관세가 그대로 유지돼 가격경쟁력이 하락했다. 한편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2014년 98억 달러에서 2020년 20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하나의 TPP 관련 섬유산업 이슈가 원산지 규정이다. 이번 TPP 체결에는 섬유 기초 자재부터 생산지에서 모두 제조해야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원사기준(Yarn Forward Rule)이 적용되었고, 이 기준은 중국산 원사 및 원단을 사용한 의류제품에 관세혜택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됐으며, 최근 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중국, 대만, 한국 등의 외국계 기업을 포함한 국내외 기업들이 베트남에 원자재 공장들을 건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섬유업계는 소요 원·부자재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전체 산업의 60%를 봉제기업이 차지하는 등 원·부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산업구조가 최종 의류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향후 일관생산체제를 갖추게 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간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네시아가 2~3년 내에 TPP에 가입을 하게 되더라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을 것으로 추측된다.


● 시사점

TPP 발효시점은 2016년 말, 베트남-EU FTA 발효는 2017년 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에서 현재 인도네시아 섬유산업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향후 각 발효시점을 타깃으로 하는 기업들의 조달, 생산, 공급 체계 재편작업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말 출범이 예상되는 아세안경제공동체(AEC)는 기업들이 참고해야 할 통상변수이다. 다수의 국가들은 낮은 임금을 바탕으로 한 노동집약산업을 육성하는 ASEAN 국가 간 경제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역내 생산기지 위치를 놓고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인 RCEP도 중요 변수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RCEP은 중국이 주도하고 있고, ASEAN 10개국과 중국, 일본, 한국 등 16개국이 협상에 참가하고 있다. 이 협상 타결 시 인도네시아는 일본 등 주요 수출대상국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으며, 섬유 관련 원·부자재 최대 수입 대상국인 중국, 한국이 포함된 점에서 인도네시아 섬유업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