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 배출실태조사
한은혜 2018-03-03 18:25:08

결과보고서

 

 

개요


1. 추진배경 및 목적
? 환경부의「생태독성관리 중장기추진계획(생태독성연찬회, 2012.11.14)」에 의하면 ‘14년부터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대한 생태독성 배출실태조사가 추진될 예정에 있음
?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에 비해 가축분뇨처리시설의 경우 오염물질 배출부하 높음
※ 가축분뇨 BOD 배출부하량은 생활하수의 90배(가축분뇨관리 선진화 종합대책,  환경부, 2012)
? 또한, 축산농가에서 주기적인 방역 또는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생태독성물질 배출이 예상되나,
? 현재까지 하천으로 직접 방류하는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대한 생태독성 배출실태 조사가 전무한 실정임
? 따라서, ‘14년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사업을 추진하기 전에 표본적인 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생태독성 배출현황을 파악하고자 함
2. 조사개요
 ? 시 설 명 : A 및 B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C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
 ? 현장조사 기간 : 2013.4.1∼2013.4.16(16일간)
※ 1차 현장조사 : ‘13.4.1∼4.2, 2차 현장조사 : ‘13.4.8∼4.9, 3차 현장조사 : ‘13.4.15∼4.16
 ? 조사내용
-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대한 생태독성 배출실태조사
· 표본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및 개별처리시설에 대한 생태독성 및 독성원인물질 조사
- 악취제거 가축분뇨처리공법의 생태독성 현황조사

 

가축분뇨처리시설 운영현황 및 점검사항


1. 운영현황 개요


○ 본 조사에서는 하천으로 직접 방류하는 가축분뇨처리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처리시설인 A 및 B처리시설과 허가대상 가축분뇨처리시설(이하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이라고 함)인 C개별처리시설에 대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음.
○ 또한, 공공처리시설의 경우 비교적 규모가 작은 A처리시설과 규모가 큰 B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음.
○ 공공처리시설의 경우 악취배출 공정에 악취제거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악취제거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음.
○ 가축분뇨처리시설에서 자체 분석한 유입수질은 A처리시설의 경우 BOD 54,482mg/L, CODMn 29,512mg/L, SS 41,204mg/L, T-N 6,305mg/L, T-P 667mg/L, 대장균군 55,209개/mg이었으며, B처리시설의 경우 BOD 14,486mg/L, CODMn 7,198mg/L, SS 13,316mg/L, T-N 4,641mg/L, T-P 254mg/L 이었음. 또한, C처리시설의 경우 BOD 40,000mg/L, CODMn 25,000mg/L, SS 30,000mg/L, T-N 6,000 mg/L, T-P 800mg/L로 유입되어 A 및 C처리시설보다 B처리시설이 크게 낮았음.
○ 가축분뇨처리시설별 유지관리비(시설 감가상각비1) + 톤당 운영비, ‘12년 기준)는 공공처리시설인 A 및 B처리시설의 경우 각각 69,881원/톤 및 38,175원/톤으로 평균 54,028원/톤 이었음. 하지만, 개별처리시설인 C처리시설의 경우 10,513원/톤으로 공공처리시설에 비해 약 5배 저렴하게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유지관리비 세부산출내역 [붙임 1] 참조
○ 이는 공공처리시설의 경우 개별처리시설보다 약 4배 강화된 방류수수질기준이 적용되므로 주처리공정인 생물학적처리공정 뿐만아니라 후단처리공정(오존처리시설, 펜톤처리시설 또는 활성탄처리시설)까지

설치·운영되고 있으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지만, 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후단처리공정이 운영되지 않아 운영관리비가 크게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됨.

 

 

2. 세부 운영현황


1) A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운영현황
○ 돼지농장의 폐수가 100% 유입되고 있음.
○ 폐수이송 차량은 소독약품(Odour control chemicals : Anotec 0307)으로 소독을 실시한 후 처리시설로 진입되고 있음.
○ 축산농가의 소독?방역에 대한 현황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에 소독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본 현장조사기간에는 소독?방역이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됨.
○ 처리계통도
 

 

○ 단위공정별 현황
- 협잡물종합처리기
? 배관막힘 및 펌프 등의 기계보호를 위해서 조대협잡물을 제거함
- 원심분리기
? 용량, 원심력 및 주동력이 각각 15㎥/hr, 2,500G 및 30kw인 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미세협잡물 제거 및 생물학적처리를 위한 부하 감소
- BCS 반응조
? 바이오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처리
- DOF(오존접촉부상분리기)
? 생물학적처리 후의 BOD, COD, SS, 색도 등을 산화, 분해, 부상처리하기 위한 설비
? 오존발생기 용량은 1.1kg-O3/hr임
- DBAF(다층생물막여과)
? BCS와 DOF에서 제거되지 않은 잔류유기물질, SS, 영양염류 등을 제거하는 고도처리기술 (질산화/탈질)
- 활성탄여과기
? 잔류유기물질 및 SS 제거
○ 악취저감시설 현황
- Bio탈취탑
? 사각형구조이며 처리용량은 350㎥/min임. 또한, 악취를 1차적으로 처리하는 시설임
- 약액세정탑
? 원통형구조이며, 악취를 2차 처리하고 있음.


2) B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운영현황


○ 돼지농장의 폐수가 100% 유입되고 있음
○ 본 조사기간의 축사 소독은 농가별로 매주 1∼2일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소독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본 현장조사기간에는 소독?방역이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됨.
○ 처리계통도

 

 

○ 단위공정별 현황
- 드럼스크린 및 협잡물 종합처리기
? 배관막힘 및 펌프 등의 기계보호를 위해 조대협잡물을 제거함.
? 드럼스크린은 1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용량은 60㎥/hr 임.
? 협잡물종합처리기는 2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용량은 100㎥/hr 임
? 조대협잡물 제거하고 있음
- 제1저류조
? 시설은 2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3,750㎥임
? 악취배출시설에 해당하며, 원수저장 및 처리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함.
- 원심분리기
? 시설은 3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용량은 15㎥/hr임
? 미세협잡물 제거 및 생물학적처리 부하를 감소시켜 줌
- 제2저류조
? 시설은 2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400㎥임
? 악취배출시설에 해당하며, 소화조에 폐수를 일정량 공급해줌
- 하이셈소화조
? 시설은 1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1,750㎥임
? 악취배출시설에 해당하며, 유기물 및 질소를 제거하고 있음
- 질산화폭기조
? 시설은 7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2,816㎥임
? 송풍량 및 반송량은 각각 28㎥/min 및 36㎥/hr임
- SBR
? 반응조는 1조이며, 조용량은 1,000㎥임
? 유기물, 질소 및 인을 제거하고 있으며, 질소제거를 위해 외부탄소원을 투입하기도 함
- 화학처리Ⅰ(응집처리)
? 시설은 1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30㎥임
? 응집제로는 Alum, 응집보조제로는 폴리머(polymer)가 투입되고 있음.
? 난분해성 유기물 및 색도를 제거하고 있음
- 화학처리Ⅱ(펜톤처리)
? 시설은 1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36㎥임
? 과산화수소(H2O2), FeSO4, NaOH, 폴리머(polymer)가 투입되고 있음
? 난분해성 유기물 및 색도를 제거하고 있음
- 모래여과시설
? 시설은 1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250㎥임
? 부유물질(SS)을 제거하고 있음
- 오존처리시설
? 접촉조 용량은 40㎥임
? 오존발생기 용량은 2.5kg-O3/hr임
? 살균, 탈취, 유기물 및 색도를 제거하고 있음
- 활성탄여과시설
? 시설은 1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용량은 250㎥임
? 잔류유기물질 및 부유물질(SS)을 제거하고 있음
○ 악취저감시설 현황
- 습식세정탑
? 처리용량은 450㎥/min이며, 악취를 제거하고 있음


3) C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 운영현황


○ 돼지농장의 폐수가 100% 유입되고 있음
○ 본 조사기간의 축사 소독은 농가별로 매주 1∼2일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소독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본 현장조사기간에는 소독?방역이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됨.
○ 처리계통도
 

 

○ 단위공정별 현황
- 유량조정조
? 유량을 조정하는 기능 및 예비폭기 기능을 하고 있음
- 폭기조
? 호기성미생물과 통성혐기성미생물이 분해에 참여하므로 폭기조 DO농도는 0.3~0.7mg/L로 낮게 운전하고 있음
? 질소제거는 운전 DO농도가 낮아 질산화 및 탈질기능이 동일 반응조에서 동시에 수행되며, 슬러지의 내수성 입단구조에 NH4+-N이 흡착되어 슬러지인발과 함께 계외로 반출됨으로써 처리되고 있음.
? 인제거는 응집제(철염계열) 투입에 따른 응집 및 가압부상조의 부상분리를 통하여 제거되며, 슬러지의 내수성 입단구조에 폴리인산이 흡착되거나 폴리인산 축적균에 과잉 섭취된 인산이 슬러지인발과 함께 계외로 반출됨으로써 처리되고 있음.
? 운전 MLSS는 17,000~20,000mg/L으로 운영되고 있음
? 유입 BOD 대비 용적부하가 1.5kgBOD/m3?day로 폭기조 용적이 비교적 적은 상황에서 운전되고 있음
- 오니저류조
? 과부하에 대처하기 위해서 슬러지저류 및 잉여슬러지를 배양하고 있음
- 공법사 자료에 의하면, 잉여슬러지가 적게 발생하고, 고농도 악취폐수를 대상으로 처리공정에서 악취가 제거되는 것이 공법의 특징으로 조사됨.

 

수행내용 및 분석결과


1. 방류수 생태독성 및 물성측정 결과


○ 처리시설별 방류수에 대하여 각각 3회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음.

 

 

○ 현장에서는 다항목측정기(YSI-556)를 이용하여 즉시 물성을 측정하였음.
○ 생태독성 분석결과, A 및 B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방류수에서는 생태독성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C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에서는 생태독성이 1<TU<2로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방류수의 평균 pH 농도는 A처리시설 pH 7.97, B처리시설 pH 7.78 및 C처리시설 pH 8.06로 전체적으로 생태독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pH 6~9에서는 물벼룩 생육에 영향이 없음(US. EPA.)
○ 방류수의 평균 염도(Salinity)는 A처리시설 3.30‰, B처리시설 4.80‰ 및 C처리시설 5.05‰로, B 및 C처리시설보다 A처리시설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방류수의 평균 전기전도도(Conductivity)는 6.05mS/cm, B처리시설 8.59mS/cm 및 C처리시설 8.98mS/cm로, B 및 C처리시설보다 A처리시설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2. 이화학분석 결과


○ 이화학분석은 처리시설별 방류수에 대하여 각각 3회 실시하였음.
○ 분석항목은 생태독성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금속 및 암모니아 등 32종에 대한 이화학분석을 실시하였음
○ 방류수수질기준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는 BOD, CODMn, SS, T-N 및 T-P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A 및 B공공처리시설이 C개별처리시설보다 방류수농도가 더 낮아 처리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특히, CODMn 항목의 경우 C개별처리시설에는 방류수수질기준으로 규제되고 있지 않으므로 난분해성 유기물 처리를 위한 후단처리시설이 설치·운영되지 않아 방류수 농도가 높게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됨
- 평균 BOD 농도는 A처리시설 7.9mg/L, B처리시설 17.3mg/L 및 C처리시설 44.0mg/L로 조사되었음.
- 평균 CODCr 농도는 A처리시설 67.4mg/L, B처리시설 294.9mg/L 및 C처리시설 1,287mg/L로 조사되었음
- 평균 SS 농도는 A처리시설 2.3mg/L, B처리시설 7.8mg/L 및 C처리시설 17.2mg/L로 조사되었음
- 평균 T-N 농도는 A처리시설 16.4mg/L, B처리시설 33.7mg/L 및 C처리시설 212.6mg/L로 조사되었음

- 평균 T-P 농도는 A처리시설 0.51mg/L, B처리시설 0.10mg/L 및 C처리시설 37.4mg/L로 조사되었음
○ 또한, C개별처리시설 방류수의 Cu, Zn, Cr6+ 및 Si 농도는 A 및 B공공처리시설보다 비교적 높게 측정되어 이들 물질들에 의해 생태독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이들 독성원인물질들에 대한 발생원 및 처리공정에서 농도변화 등의 세부적인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됨.
※ C개별처리시설의 평균 Cu 0.32mg/L, Zn 0.37mg/L, Cr6+ 0.46mg/L, Si 32.0mg/L
○ 이상에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방류수수질기준이 강화되어 있어 이를 준수하기 위해 생물학적처리(또는 화학적처리 포함) 뿐만 아니라 후단처리시설(오존처리시설, 펜톤처리시설 또는 활성탄처리시설 등)이 설치·운영되고 있음. 이로써, 배출되는 방류수 농도가 낮으며, 생태독성원인물질도 동시에 크게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됨.
○ 하지만,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방류수수질기준이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보다 강화되어 있지 않아 생물학적처리시설만이 운영되고 있으며, 후단처리시설은 설치·운영되지 않고 있음. 특히, CODMn 항목은 방류수수질기준에서 규제되고 있지 않아 난분해성 유기물 및 색도유발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방류수 CODCr농도가 높게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이로써 생태독성원인물질도 크게 저감되지 않아 방류수에서 생태독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됨.
○ 추가적으로, 본 조사기간은 가축방역·소독 등이 많이 이루지는 시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므로 공공 및 개별처리시설에 대하여 가축방역·소독이 많이 이루지는 시기(여름철)를 포함하여 장기적인 생태독성 배출실태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가축분뇨처리시설별 악취분석 결과


○ 악취분석은 처리시설별 각 1회 시료를 채취하여 실시하였음.
○ 시료채취는 처리시설별 부지경계지점에서 풍향을 고려하여 시료 1개를 채취하였으며, 공기희석관능법으로 복합악취를 분석하였음.

 

○ 시료분석 결과, 처리시설별 복합악취는 모두 3배수로 악취가 없는 것으로 측정됨
※ 3배수는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 분석시험의 최소치
○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경우 악취저감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의 경우 일반적으로 악취저감시설이 없어 악취가 높게 발생되나, C처리시설의 GNCA공법의 경우에는 악취제거가 탁월하여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공법사에 따르면, 포기조에 “매직필터 복합체(토양미생물+토양)”를 투입하여 활성슬러지와 섞인 새로운 “활성오니 복합체”가 악취 유발균을 멸균시켜 악취발생을 차단하고 악취물질을 흡착하여 악취가 제거된다고 설명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가축분뇨처리시설의 가장 커다란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리공법으로 판단됨.
○ 또한, C개별처리시설의 처리공법의 경우 토양미생물을 활용하여 생물학적처리하는 공법이므로 생태독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처리공정별 생태독성원인물질 및 기타 오염물질 처리현황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결론

 

○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생태독성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생태독성이 발현(생태독성 1<TU<2)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이는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경우에는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보다 방류수수질기준이 약 4배 강화되어 있어 생물학적처리시설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후처리공정이 설치·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제거가 크며, 이에 따른 생태독성원인물질도 동시에 크게 제거되어 생태독성이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 하지만,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생물학적처리시설만이 운영되고 있으며 후단처리시설인 오존처리시설, 펜톤처리시설 또는 활성탄처리시설 등은 설치·운영되지 않으므로 난분해성 유기물, 색도유발 물질 및 생태독성원인물질이 크게 제거가 되지 않고 배출되며, 이로써 생태독성도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에 있어서는 생태독성 발생원 및 처리공정에서 생태독성원인물질의 변화 등에 대한 세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또한, 본 조사기간은 가축방역·소독 등이 많이 이루지는 시기가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되므로, 가축방역·소독 등이 많이 이루지는 시기(여름철 등)를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가축분뇨공공 및 개별처리시설에 대한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악취제거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악취가 발생되지 않지만, 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악취제거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악취가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


○ 하지만, C가축분뇨개별처리시설에 적용된 GNCA자연정화법의 경우에는 악취제거 기능이 탁월하여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리공법으로 판단되며, 생물학적처리공법으로 생태독성 발현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 각 처리공정별 생태독성현황 뿐만 아니라 기타 오염물질(악취물질 등)처리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향후일정

 

? ‘13. 5 :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 사전 배출실태조사 결과보고(내부보고)
? ‘13. 9 :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추진계획 수립
? ‘13. 10 :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추진계획 보고(공단→환경부)
? ‘13.12 : ‘14년도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추진 표본 가축분뇨처리시설 선정 및 추진계획 수립
? ‘14. 2 : ‘14년도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1단계) 추진
? ‘15. 2 : ‘15년도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2단계) 추진
? ‘15.12 :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최종결과보고(공단→환경부)
? ‘16. 2 ~ : 가축분뇨처리시설 생태독성 법제화 추진


향후 추진계획

 

 표본사업장에 대한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추진계획
?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및 허가·신고대상 처리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 (대상시설) 단독처리하는 가축분뇨처리시설 중 표본적으로 65개소를 선정하여 생태독성배출실태조사 추진
※ 공공처리시설 25개소(단독처리의 100%), 허가대상처리시설 20개소(단독처리 568개소의 3.5%), 신고대상처리시설 20개소(단독처리 798개소의 2.5%)

 

 

 

GNCA Method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y)

 

 

 

 


2013. 10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Whole Effluent Toxicity Management Team

 


Operating Status and Checklist


1. Operating Status Summarys
○ Odor removing facility is included in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process, whereas private wastewater treatment plant doesn’t.
○ Inflow water quality of “C wastewater treatment plant” is BOD 40,000mg/L,  25,000mg/L, SS 30,000mg/L, T-N 6,000mg/L, T-P 800mg/L.
○ In case of “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hich is a privat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t is probed that its processing is about 5 times cheaper(10,513won/ton) than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applies about 4 times strengthened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 than privat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us process includes biological treatment, which is main treatment process, and advanced treatment. Accordingly maintenance enpense is considered much higher than private wastewater treatment plant which excludes advanced treatment process

 

 

2. Osuh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y Operating Status
○ The wastewater of pig farms is being flowed in Osuh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y.
○ Pigsties are disinfected every week or two weeks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Because pigsties are frequently disinfected in the summer rather than winter, assume that pigsties are sometimes disinfected in this period.
○ Process flow diagram
 

 

○ Description per process
- Flow adjustment tank
? Flow adjustment and extra aeration function.

- Aeration tank
? As aerobic microbes and facultative anaerobe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composition, DO concentration is as low as 0.3~0.7mg/L.
? Nitrogen removal : As DO concentration is low,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are performed in the same tank. NH4+-N is adsorbed onto aggregate structure of sludge and is carried out outside.
? Phosphorus is removed by coagulant input and pressure flotation. Polyphosphate is adsorbed onto aggregate structure of sludge or is removed by polyphosphate uptake microbe.
? Operation MLSS is 17,000~20,000mg/L.
? Assuming that InflowBOD/volume is 1.5kgBOD/m3?day, aeration tank volume is somewhat little.
- Sludge storage tank
? Excess activated sludge is cultured and stored for dealing with overload. 
- According to GNCA data, there are features that excess activated sludge is generated less and odor removal is effective in high concentration odor wastewater treatment.


 Performed Contents and Analysis Results


1. Effluent toxicity and physical properties measurements
○ Research and analysis 3 times

 

 

○ Measured properties using the Multiparameter(YSI-556)
○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toxicity values ??1 < TU <2
○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pH values 8.06
※ pH 6~9 values, does not affect the growth of Daphnia(US. EPA.)
○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average Salinity values 5.05‰

 

 

○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average Conductivity values 6.05mS/cm


2. Physics and chemistry Analysis
○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effluent was performed three tim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oxicity, 32 kinds of Analysis items, such as heavy metals and ammonia were analyzed.
○ Generally,  public treatment facilities effluent concentrations lower than individual treatment facilities effluent concentrations about BOD, CODMn, SS, T-N and T-P(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 Especially, In the case of CODMn item, Effluent is discharged high concentration, Because recalcitrant organics treatment facilities have not been installed and operated, Because it is not regulated by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 The average BOD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44.0mg/L
- The average CODCr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1,287mg/L
- The average SS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17.2mg/L
- The average T-N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212.6mg/L
- The average T-P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37.4mg/L
○ Also, Cu, Zn, Cr6 + and Si concentrations of the effluent of Osuh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measured higher than the effluent of Public waste treatment facilities. So, It is estimated that  toxicity ss expressed by Cu, Zn, Cr6 + and Si.

Therefore, We should perform additional investigation about source of toxic substances and concentr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 average : Cu 0.32mg/L, Zn 0.37mg/L, Cr6+ 0.46mg/L, Si 32.0mg/L
○ Emission standards for public treatment has been severe so many treatment used advanced treatment(ozone, Fenton's oxidation, activated carbon) Reduction of pollutants
○ Individual plant emission standards free than public plant so Only biological treatment plant operations, does not install and operation advanced treatment, As a result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and color-induced drain
○ In addition, long-term toxicity emissions need to survey
3.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Odor Analysis Results
○ Odor samples were collected per analysis
○ Considering wind, Sampling were taken one sample at the site boundary and Complex Odor Analysi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Result of experiment, Complex odor measured 3multiple that there is no odor.
※ 3multiple is the minimum of complex odor analysis test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Most of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do not have Odor reduction facilities. So, high odor is caused.
but, GNCA method has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So, Odor does not occur at all tha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GNCA method, odor is removed by "Activated Sludge complex ("Magic Filters complex (soil + soil microorganisms)" mixed with activated sludge by putting in aeration tank)" sterilization the odor-causing bacteria and adsorption of odorant.
As a results, This treatment method is considered to solve the biggest odor problems of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 Also, Toxicity is not caused by using the GNCA method due to utilizing soil microorganisms.
We should perform additional study and investigation and verify the toxic substances and other pollutants in each treatment process.


Conclusion

 

○ In the case of public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were not expressed ecological toxicity However,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ecological toxicity(1<TU<2) to be expressed.
○ The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of public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y are being enhanced 4 times more than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y. so pollutant removal is well because not only biological treatment plant but operation after treatment plant and toxicity be removed was not ex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causative agent.
○ However,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operational only biological treatment plant. Ozone, Fenton, Activated carbon treatment facilities are not operating at the after treatment facilities and ecotoxicity is express because the causative agent, non degradable organic and chromaticity induction substance are not removed significantly and is discharged.
○ Therefore, in the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need to toxicity soure and detailed survey on the changes of substance.
○ It is better to investigate about toxicity drain in summer. People do animal disease control a lot in summer. we consider this time which we investigated was not the usual season and these investigates need long term plan.
○ Public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doesn't induce an offensive odor problem because it has system but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doesn't have, so offensive odor is big issue in this individual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 But we found out the GNCA method shows remove offensive odor perfectly.
○ So we think this system is one way to solve odor issue and GNCA doesn't cause toxicity because it is biological treatment. But need more detail research and investigate for other pollution in each method.

 

<월간 피그 2018년 3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