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스마트팜 기술 전망
월간피그 2019-01-16 13:46:48

김균장 연구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실

 

스마트팜이란 ‘환경·생육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원격·자동 제어하는 지능형 농업생산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스마트팜’이 최근 들어 우리 농업의 미래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 화두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팜이 왜 이토록 주목받고 있는 것일까? 가장 근본적인 배경은 아마도 농촌 절대인구의 지속 감소세, 농업 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국민 먹거리 생산이라는 농업 본연의 역할에 대한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해 앞으로는 우리 국민들이 소비할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더 적은 수의 농업인, 더 나이 많은 농업인들이 생산해내야 한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미래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농업 생산방식에서 탈피한 더 똑똑하고 효율적인 방식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고, 그 기술적 대안이 스마트팜이라는 새로운 농업생산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귀농·귀촌인구 등 신규 농업인력의 부족한 영농기술 보완, 에너지·물·양분 등의 다양한 농업 투입재의 효율적 사용, 더 깨끗하고 안전한 농축산물 생산도 스마트팜이 앞으로 더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자 스마트팜 도입·확산의 기대효과라 할 수 있다.
현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 기반 조성’이라는 국정과제 아래 ’22년까지 스마트 온실을 7천 ha, 스마트 축사를 5천호 보급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주요 경제정책 방향 중 하나로 ‘혁신성장’을 제시하고 8개의 선도사업을 선정, 발표했는데 스마트팜도 그 중 하나이다. ’18년 4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스마트팜 확산 방안’은 정부의 큰 정책방향을 이행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이다. 해당 계획에서는 청년 교육, 연구개발, 창업 및 농업인 스마트팜 생산단지 등의 역할을 담당할 스마트팜 거점을 전국에 걸쳐 4개소를 선정·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있고, 이를 통해 청년이 돌아오는 활기 넘치는 미래의 우리 농촌을 그리고 있다.

 

<그림 1> 스마트팜 혁신 농업 미래 체계도

진정한 스마트팜을 구현하는 데 있어 우리의 기술수준이 네덜란드나 미국 등 농업 선진국들과 비교할때 현재 어디까지 와 있는지, 혹은 보다 근본적으로 어떤 기술적 한계와 도전과제들이 존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하 농기평)에서는 먼저 스마트팜의 기술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기술분류는 작물 재배와 가축 생산 각 분야별로 다양한 기술의 적용목적과 적용대상별로 대-중-소로 이어지는 계층구조를 구성하였고 해당 분류체계는 <참고>와 같다. 다양한 기술의 중분류별로 국내 스마트팜 전문가 총 10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기술수준조사 결과 종합적으로는 최고 기술 선도국인 네덜란드 대비 기술수준은 76.2%, 기술격차는 4.0년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기술군별로는 아래 <표1>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우리의 스마트팜 관련 기술수준이 선도국 대비 약 76.2%로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관련 학·연구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군별 한계는 다음 <표 2>와 같다.

 

 

디지털팜(Digital Farm), 정밀농업(Precision Farming), 데이터팜(Data Farm)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농업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스마트팜의 다른 이름이다. 명칭과 그 정의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다양한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농업 생산시스템을 첨단화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취지는 모두가 지향하는 바이자 세계적인 추세임에 틀림없다. 네덜란드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이용해 가축의 행동을 분석하여 생육을 예측함으로써 농장주의 가축 사육을 돕는 ‘아이다’를 개발했다. 스페인은 해충을 탐색, 감지, 방제하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고, 존디어(John Deer) 등 미국 기업들은 노지 농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첨단 기계·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상황은 어떠한가? 농림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운영하는 ‘스마트팜코리아(www.smartfarmkorea.net)’에 등록된 스마트팜 관련 업체는 200개가 넘지만 SKT,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과 국내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 나면 절대 다수가 영세한 중 소기업들이다.

 

 

이러한 국내 산업환경을 고려하여 정부는 ’15년을 전후로 스마트팜을 비롯하여 첨단 지능정보 기술의 농업적 적용을 위한 다양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해당 사업들이 이미 종료되었거나 종료가 임박한 상황이라 농업 생산시스템의 첨단화를 위한 우리의 투자와 준비가 결코 충분하다고 보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첨단생산기술개발’ 사업, 농촌진흥청의 ‘ICT융합한국형 스마트팜 핵심기반기술개발’ 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SFS(Smart Farm Solution) 융합연구단’사업 등이 ’18년 종료됨에 따라 ’19년 그간의 기술개발성과를 통합하고 농업 현장에 보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실증과 애로해결을 위한 ‘1세대 스마트팜 산업화기술개발’ 사업이 단년도 사업으로 추진됨에 따라 동분야의 기술개발 투자 부족을 일부 충당 할 예정이긴 하다. 그러나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은 우리 농업의 중·장기적 관점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여전히 과학기술 분야가 담당해야만 하는 역할과 임무는 산적해 있다. 스마트팜 구현을 통해 우리가 기대하는 미래의 모습은 아마도 ‘누구나, 더 편하고 쉽게,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고품질의 안전한 농축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아래 <그림 2>와 같은 모습이 아닐까 싶다.
먼저 밝힌바와 같이 우리의 스마트팜 관련 기술의 한계는 비교적 뚜렷하다. 일부 작목과축종에 한정된 좁은 기술적 적용범위, 데이터 수집·분석·활용체계의 비표준화와 축적된 데이터의 양적 부족, 차세대 이동통신, 로봇 등의 최첨단 기술의 적용성 미흡 등으로 인해
여전히 농업생산 주체(사람) 능력에 따라 수량, 품질 등이 크게 좌우된다는 점이 가장 큰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간 개별적으로 추진해오던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일원화하여 투자 효율성과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있다. 그간의 R&D 성과가 스마트팜 보급·확산 정책과 맞물려 현장의 다양한 변수를 반영 및 적용해 실용화 단계 기술개발은 물론,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궁극적인 스마트팜의 미래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학·연구계, 산업계가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함께 만들어가고 협력하여 우리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기대해본다.

 

 

 

 

 

 

 

<월간 피그 2019년 1월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