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싸바리’ 라고 부르는 합지상자는 제작 시 손이 많이 가는 제품 특성 때문에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중에서도 선물용 고급 상품상자로 일부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제품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합지상자는 우리 주변 광범위한 영역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
이번 리포트는 최근 합지상자의 유행을 이끈 아이폰 케이스부터 고급화장품 케이스와 8각형으로 제작된 담배갑까지 디자인의 특성과 그 제작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제공 | 주)본테크 조명민 대리
1. V 홈을 파서 작업한 합지
2. 인쇄지가 바닥면 까지 접어들어간 아이폰 상자
3. 각 공정상 작업과 해법
① V홈을 파서 작업 하다
합지를 접었을 때 딱 각이 지도록 접히게 하기 위해서는 합지에 V자 모양으로 홈을 파서 접히는 부분이 맞아 떨어지게 헤야 한다. V홈을 파는 것은 이미 국내는 물론 외국산 기계들이 등장하였는데 상자를 만드는데 있어서 더 중요한 것은 상자 형태로 접어 형태를 고정는 것인데, 종래에 자주 사용하던 나무목형이 아닌 알루미늄과 같이 정확하게 각을 맞춰서 접어 줄 수 있는 목형이 필요하다. 고정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테이프가 밀착해야 홈이 맞닿은 자리가 벌어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② 딥 턴인(Deep turn-in)
기존 싸바리 장비들의 경우 인쇄지를 안쪽으로 접어주는 길이가 일반적으로 15~35mm에 달하는 데, 이것은 캠 방식일 때 목형을 상하로 움직이는 샤프트의 움직임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한계이다. 네 방향의 인쇄지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안으로 깊이 접히기 위해서는 일단 목형 샤프트의 높이 조정이 가능해야 하고, 안쪽으로 접어들어간 종이부분을 개별 적으로 하나씩 접어줄 수 있도록 다수의 접어넣는 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상자 높이에 따라 이 경우 캠 방식이 아닌 서브모터와 같이 별도의 구동부를 가진 기
계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③ 롱 플랩(long flap)
상자 측면 모서리 쪽으로는 날개가 접혀서 인쇄지가 접착되는데, 이 날개의 너비를 상자의 측면 길이와 동일하게 길게 하여 접혔을 때 날개만 튀어나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역시 딥 턴인 기능과 마찬가지로 인쇄지를 접어 붙여주는 공정에서 접어주는 각각의 장치가 독립적인 동작해야 하는데, 단순 숫자 입력으로 각기 다른 동작할 수 있는 서보 모터(servo motor)를 사용하여 문제를 극복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인쇄지와 합지를 합해주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인쇄지의 중앙과 합지가 합쳐져야 날개를 접었을 때 깨끗하고 상자에서 더 튀어나오거나 남는 부분 없이 접힐 수 있다. 최근에는 이 인쇄지 위치를 검출할 때 광센서만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함께 이용하여 합지와 인쇄지 간에 레지스터를 정확하게 맞춰주는 기계가 등장하고 있다.
④ T박스(T-box)
T박스는 상자를 접기 전의 인쇄지와 합지의 모양이 기존의 십자 형태가 아니라 T자 형태인 것에서 나온 말로 본래는 책이나 CD 케이스와 같이 폭이 좁은 상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활용됐다. 최근에 와서는 T박스의 새로운 활용도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인쇄지를 접었을 때 정측면 3면에 인쇄지 경계선이 보이지 않는 장점과 자재 절감의 효과도 가져오는데. 이렇게 상자를 만들었을 때 특히 상품을 진열하는데 있어서 완성된 상자의 이정면은 아무런 자국이나 인쇄지의 경계선이 보이지 않도록 상품을 진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롭게 재
조명된 방식이다.
⑤ 핫멜트 접착(Hot-melt)
합지상자를 만드는 것에서 가장 주된 화두 중에 하나가 바로 테이프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얇은 테이프를 사용해보기도 하였으나 인쇄지와 잘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오래 전부터 팔각형 모양의 상자를 생산하면서 이태리 EMMECI 사에서 개발 특허 등록된 해법으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 상자의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문제는 도포할 수 있는 면적이 작고 완전히 접착제가 굳게 하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 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합지 삽입 시 위치가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H박스라 하여 합지 전개도 형태를 H자로 하여 모서리를 접착하지 않고 면과 면을 접착시켜 보다 수월하게 상자의 형태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4. 그 외 전략적인 다양한 모양의 상자 등장
최근 들어서는 단순한 사각형 모양의 상자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패키지를 구성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더불어 사각 상자를 고수하더라도 양장표지와 결합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클라우드9은 일반 사각 상자에 양장표지로 만든 사각 판을 부착하여 뚜껑이 되는 상자와 결합했을 때 단차 없이 보이도록 구성했다. 상자와 양장표지를 결합하는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자의 덮개 방식이 일반적이다. 클라우드9은 최초로 밑판을 독립적으로 구성한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부가적인 수작업을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때 화제가 되었던 KT&G의 아리랑 8복 담배는 그 이름에 맞게 팔각형 상자를 선보였다. 동양적 문양이나 형태, 그리고 팔괘를 연상시키는 내용물 배치까지 고려한 디자인으로 공항면세점에 한해서 판매했던 제품으로 중국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특화된 디자인으로, 중국관광객들 에게 인기가 높은 상품 중의 하나다. 상자의 크기가 가로세로는 작으면서 높이가 큰 상자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가로 50mm x 세로60 mm x 높이 130mm 크기의 상자도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알맞은 설비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합지상자는 아이폰의 등장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게 되었으며 제품의 특성과 모양에 알맞게 디자인되고, 이에 알맞은 설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합지상자가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패키지 분야의 품질이 상향평준화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나 최근 국내화장품이나 전자기기 스마트 폰 등이 세계적인 상품으로 발전하고 있어,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모양의 상자를 필요로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는데, 단순한 모양의 상자만을 생산하는 저가설비 보다는 그런 고급제품을 담아낼 수 있는 설비로 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월간 PT 2016년 3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