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모리 인쇄기 국내 대리점 일진 PMS(주)(대표 박경재)는 지난 1월 20일 오전 9시 경기 파주 소재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1층 지혜의 숲 대회의실에서 ‘제9회 고모리 기술교육 및 세미나’를 개최했다. 고모리 인쇄기기 사용자 및 인쇄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이번 세미나는 오전 시간에는 기계관련 유지보수 및 전기관련 유지보수 강의를 시작으로 고모리 인쇄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유지보수 관련 강의를 진행했다. 오후 시간은 초청강연으로 ‘숫자로 인쇄하자’라른 주제의 CMS 강연으로 컬러톡 박도영 대표, ‘무현상 판재 소개’ 시간으로 한국코닥(주) 박건종 부장, ‘KHS의 이해’를 주제로 일진 PMS(주) 고객지원팀 선경태 대리, ‘고모리 인쇄설비 동향’을 주제로 일진PMS(주) 기계사업팀 조민기 과장이 각각 진행했다. 글|한경환 기자(printingtrend@gmail.com)
기계관련유지보수 고객지원팀 이재일 이사 첫 번째 유지보수 강의를 맡은 이재일 이사는 벌써 교육이 9회를 맞이하는 세미나를 자축하 면서, 행사에 두세 번 반복해서 참석하시는 분 들이 있어 행사 진행에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 다면서 인사말을 이었다. 이번 강의에서는 기 계 예방 정비표를 따로 만들어 매일 점검해야 될 부분, 매주 점검해야 될 부분, 매달 점검해야 될 부분으로 나눠 설명했으니 참고해 달라면서 강의를 시작했다.
매일 기계를 올릴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될 곳은 유량계로 기계 윤활을 탱 크를 볼 수 있는 부분으로 기계가 돌아가다 보면 탱크에 순환하기 때문에 유 량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하게 가늠하기 힘드니 유량계를 버릇처럼 보고 작 업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했다.
전원을 올리기 전 콤프레셔 응축물이 차 있는지 확인을 하고 전원을 올리는 것으로 한다. 압은 5~6 사이가 되는 것을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급수부 유 지보수는 계속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공기 중 불순물이 습수 롤라에 붙기 때문에 새롭게 작업을 시작할 때는 습수롤라의 탈지 작업을 한 후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한 GL 시리즈의 잉크집 그리스 부 분은 유활성 보장을 위해서 매일 점검을 해서 윤활이 잘 되도록 관리를 잘 해줘야 된다고 설명했다.
잉크롤라는 관리 부실로 인한 글레이징과 칼슘이 누적되어 있는 상태기 때 문에 자동으로 세척이 진행되는 것으로, 자동으로 세척되면 2~3분이면 세 척이 가능하다. 따라서 롤라 세척은 매일하는 것이 좋다.
탈산칼슘은 수용성이고 알카리성 습수에 용해되고, 습수탱크에 인입되어 인산칼슘이 생성된다. 이는 친수성 물질에 따라 롤러 스트리핑 요인이 되므 로 물(온수) 세척을 병용하고, 매일 세척을 하고, 글레이즈 및 칼슘 제거제 도 포 아이들링 후 세척을 해줘야 된다.
잉크롤라 세척은 매일 한 번씩 해줘야 되는데 롤러 유지보수는 최소한 주 1 회 정기적으로 실시해 물세척을 매번 실시해 지분 및 불순물을 제거해 주 고, 세척 칼끝을 매번 청소해 줘야 한다. 다만 유지보수 자재는 연마제가 없 는 것으로 선택해야 된다.
1주일 마다 점검해야 되는 것은 잉크집 플레이드 청소 및 그리스 도포로 잉 크 블레이드 작동 상태를 판단해 점거해 준다. 잉크부착에 의한 키가 오염되 면, 잉크 응답성이 나빠지고, 농도 미세조정이 어려워진다. 잉크집 청소 후 잉크키 블레이드 전면에 구리스를 발라주면 블레이드 조립 틈새로 잉크가 스며드는 것을 막아준다.
잉크키 0점 조정은 ① PQC에서 유니트 선택을 OFF 시킨다. ② 잉크집에 잉크키 모터 커버를 연다. ③ 잉크키 블레이드 조절 손잡이를 돌려 잉크 화운틴 롤라 잉크 두께를 조절한다.④ 롤라 표면의 잉크막 두께는 6μ 내외로 균일하게 조정한다. 조정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잉크막이 얇아지고, 블레이드가 닫힌다.
2주 점검 항목으로 축임롤라의 닙상태를 점검하고, 사이드레이 캠플로워(하 리) 수동급유를 해줘야 된다. 옆맞추게 당김베어링 부분 틈새를 확인해 이물 청소 및 급유를 진행한다. 스프레이 구리스를 이용(L측, R측) 캠플로워 급유 를 2주 마다 1회 실시해야 된다. 이어서 스윙그리퍼 캠플로워 베어링 수동 급유를 해 줘야 된다.
피더 클러치 먼지제거 및 주유는 피더 브레이크 : 3개월 마다 1회 에어건 청 소, 브레이크 작동 상태 체크, 틈새조정(0.3~1.2mm)을 해준다. 피더 클러 치 2주 1회는 스프레이 그리스를 급유해 준다. 급지부 그리스 급유는 피더 를 ON 시키고 완동상태에서 그리스를 주입한다.
1개월 점검 부분은 잉크롤라 상태점검 및 닙조정과 기준닙폭 확인조정 요 령으로, ① 잉크장치 내(잉크롤러)에 적당량의 잉크를 내려준다. ② 5초 정도 기계를 정지 상태로 둔다. ③ 닙이 보일 때까지 기계를 돌린다. ④ 기계를 정지시키고 닙폭을 확인하여 조정작업을 한다. 조정시 롤러에 남겨진 니프를 롤러 끝에서 10cm 정도 안쪽에서 측정하여조정한다. 잉크롤러 상태 점검 및 닙조정은 다음과 같이 잉크롤러 닙폭 조정을 해준다. ① 홀더 고정볼트를 느슨하게 푼다(13mm 스패너 사용) ② 홀더 구멍에 공구를 넣고 롤러 홀더를 회전시켜 니프폭을 조정한다. ③ 조정 후 롤러 고정볼트를 조여준다.
그리퍼 점검 및 청소는 세척전용 스프레이 및 브러시를 사용해 그리퍼에 엉 켜있는 지분 및 잉크 찌꺼기를 제거한다. 만약 그리퍼 청소가 나쁠 경우 ▲ 인쇄물 종이 신축 ▲ 인쇄물 W현상 ▲ 그리퍼 파손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끝으로 정리, 정돈, 청소, 청결, 마음가짐 유지보수 5원칙의 생활화를 강조 하고, 강연을 마쳤다.
전기관련유지보수 일진PMS(주)고객지원팀김규철부장
전기 접점과 관련된 설명으로 강연을 시작했 다. 이규일 부장은 코일단자, 주접점, 보조접점 등 인쇄기계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접점 등 을 소개하고, 릴레이, NO접점과 NC 접점 등 각 접점별 작동 방식에 대한 기본 설명을 이 었다.
1. 전기접점과 모터 2. 연동 동작 점검 3. 급지부(2매 장치, 센서, 차단기, 메인모터) 4. 유니트부(판교환, 잉크, 물모터) 5. AMR 오일펌프 PLC 배터리 6. 알코올 장치
급지 후 과부하 발생 시는 모터 팬을 회전시켜서 과부하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하지 않는 모터인 경우 임시조치로 리셋 버튼을 누르고, 모터선을 빼거 나 열동 계전기를 전자 접촉기에서 분리시킨다. 2매장치 정상동작 점검법은 1. 피더 패널쪽 문을 눌러 열고 2매 장치를 ON 시킨다. 2. 센서 위를 마른 천으로 닦고, 종이가 없는 상태에서 센서 상하의 축을 맞춘다 3. 측정 재질은 일반 용지를 선택한다. 감도는 1,2,3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너무 세도 2매 오동작 함 4. 피더반 문을 열고 2매장치 제어 기판의 조정 스위치를 올린다. 5. 피더반 위의 2매 센서 고정볼트를 풀어 2매 제어 기판에서 삐~소리가 끊김없이 나는 위치를 찾아 고정시킨다. 6. 램프가 점등되고 삐~ 소리가 들리면 조정 선택 스위치를 아래로 내린다.
가늠부 센서 이상 유무 확인법은 점검 전 반드시 청소를 실시하고 기계를 저 속으로 회전시켜 피더 ON한 다음 프론트레이가 열리는 위치에서 정지한 다 음 아크릴 커버를 제거한다.
1. 지우개나 마른 헝겊으로 센서 위를 닦아 내거나 물기가 없는 에어건으로 이물질을 불어냄. 2. 각도 292도 정도에서 정지. 3. 종이를 센서 위치에 올려놓고 피더반 센서 앰프 표시값이 4000(최대4095)이면 정상이고, 이하면 광센서 표면을 청소해준다.
메인모터 에러 발생 시 해제 순서로 유니트 판 교환시 홀더 막대(누름 바)와 홀더 오류시 점검 순서로 판 교환 1C판 홀더 오류,APC판 가늠부 복원 오 류, 판교환 4C 홀더 막대 오류에 대한 설명을 하고, 각 오류를 해결하기 위 한 점검 순서를 소개했다. 또한 APC 판 교환 시 가늠부 복원 오류는 가늠 부 사진을 찍어 에러 위치를 확인하고, 기계 속도를 3500으로 돌리면서 발 생된 유니트 상화 좌우 버튼을 눌러 현재 위치값이 심하게 튀는가 확인하 면 된다고 소개했다.
알코올 조정하는 방법으로 공장출하 시는 알코올 농도를 미리 약 5%로 설 정해 출하된다.
1. 수조 내의 물과 H 액을 충분히 섞고 실제 사용하는 설정온도로 맞춰둔다. 2. 알코올 스위치가 OFF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조작 패널 급수 버튼을 해제한다. 3. 메스 실린더로 수조 내 물을 채취하여 주정계로 설정 알코올 %를 맞춘다. 4. 설정 %로 맞춰졌으면 샘플 파이프에서 일정하게 넘치도록 펌프에서 오는 호스 밸브를 조정한다. 5. 스위치를 하측으로 해서 조정 모드로 한다. 6. 조정노브를 돌려 IPA 램프가 점등에서 소등으로 변환된 위치에 맞춘다. 7. 알코올 스위치를 위로 올려 운전 모드로 한 후 정상 동작이 시작된다. 8. 반드시 운전 램프 점등이 동작 되는지 확인한다.
인쇄기 청소시 전기적 유의사항으로는 1. 전원을 내리고 청소한다. 2. 진공청소기로 청소한다. 배전반 내 에어건으로 불지 말 것. 3. 마른 걸레로 닦아낸다. 등과 같은 내용을 강조하고 강연을 마쳤다.
숫자로인쇄하자(CMS강연) 컬러톡 박도영대표
컬로톡 박도영 대표는 CMS의 중요성과 관련 된 내용을 전달하면서 컬러 정보 교환의 문제 를 설명했다. 원색분해/ 사진제판/ 필름 출력 기 사용 때에는 색정보 교환이 분판된 필름 또 는 슬라이드 원고와 편판 인쇄교정지가 제공 됐기 때문에 큰 이슈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 금은 RGB 혹은 CMYK 데이터로 제공되고, 원가문제로 교정지가 제공되지 않아 데이터의 이동경로가 복잡해졌다. 그러나 RGB 장치는 동일 색을 다르 게 받아들이고, CMYK 장치는 마찬가지로 동일색을 다른 색으로 재현한다. 그래서 인쇄 결과는 구매자의 의도와 다르게 된다.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빛은 가시광선 영역, 적외선 영역, 자외선 영역에 따 라 모두 다른 색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연광에서의 인쇄물과 인공광 안에 서 보는 색상은 다를 수밖에 없다.
인간의 눈은 망막 뒤에 있는 1억 개의 간상체(명암)와 5억 개의 추상체(색 상)가 빛을 신경신호로 바꾸는데, RGB 세포의 나이, 성별, 인종과 피로, 눈 건강 상태 등에 따라 간상체와 추상체의 숫자가 다르다. 또한 빛, 용지 종류, 콘트라스트, 주변색, 성격, 기분 등으로 색이 다르게 측정된다. 따라서 인간 의 눈으로 본 측정 결과는 더욱 더 주관적이 된다. 결국 사람의 뇌는 색에 대 한 정보를 절대 정확하게 저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객관적인 색상 으로 인쇄하려면,
1. 기준 농도 설정, 돗게인 관리, 기준 Lab값 설정 2. 계측장비 활용 3. 그레이 밸런스 패치 활용 4. 표준 광원 D50 램프 사용 등이다. 세계 표준 기구인 ISO에서 제시하는 색상 조절법은 1. TVI(dot gain) 2. Graybalance 3. Device Link Profile 등을 제안한다.
그레이가 중요한 이유는 그레이는 빛을 가장 일정하게 흡수하고 반사하는 특성이 있어 그레이가 색의 중심이 된다. 그 중에서 특히 사이안이 그레이 에 가장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이안이 그레이 밸런스의 기준이 된다. 그레 이가 밸런스가 맞을 때 색이 안정적이고, 그레이밸런스에는 모든 인쇄 특 성의 결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그레이 밸런스 패치를 반드시 넣어야 된다 고 설명했다.
그레이가 균형이 잡히면 인쇄물은 1. 인쇄 기준을 설정하게 됨 2. 인쇄 색상이 일관성이 있음 3. 인쇄가 칙칙하지 않고 화사해짐 4. 인쇄 기간 색상 차이 감소 5. 모니터와 색상차이 감소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면서 강연을 마쳤다.
무현상판재 소개 한국코닥(주)박건종부장
한국코닥(주) 박건종 부장은 지속적으로 어려 움을 겪고 있는 인쇄업계의 인쇄비용을 분석 했을 때 가장 많은 원가를 차지했을 때 용지가 40%를 차지하고, 인건비 28% 정도지만, 판재 는 1.5% 가량의 차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쇄 트래블의 많은 부분이 판재의 화이트 스팟, 물 얼룩, 얼룩 등 제판으로 인한 인쇄 불량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이런 문제들 은 현상과정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갖조했다.
일반적으로 판은 이미징, 예열, 현상, 세척, 고무액, 건조, 인쇄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무현상 판재는 이미징 후 곧바로 인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 과정에서 에러를 없앨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더불어 무현 상 판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생각했을 때 구매 비용인 직접 비용과 화학약 품 비용, 전력, 장비 비용 서비스 등 유지보수 비용 외에도 간점 비용인 현 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노동력, 장비 설치 공간 및 동선을 줄일 수 있다 는 점도 강조했다.
코닥 무현상 판재는 초박형 코팅 기술과 미립자 수지 기술을 이용해 습수액 오염 및 이물질 축정이 되지 않아 코팅 중량 및 이물질 발생량을 대폭 감소 시켰다. 이어 코팅을 습수액이 아닌 잉크로 제거하고, 오염을 유발하는 친수 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화선부 코팅 제거 방식을 사용해 잉크의 점성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 거 후 잉크와 함께 종이로 운반돼 코팅은 처음 10장 이내의 시험 인쇄 과정 에서 완벽히 제거 되어 인쇄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불어 검증된 오염 안정성 덕분에 의도적으로 강조된 오염 조건 속에서도 일반 현상 판재와 오염 정도 차이는 없고, 필터백과 습수통, 롤러에서도 이 물질 축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기준점 이내에서 전도율 및 PH 농도에 큰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다.
코닥의 소노라 UV 제품은 내쇄력은 윤전인쇄에서 최대 20만부, 매엽 인쇄 에서 최대 10만부, 오프셋 포장 인쇄에서 최대 5만부, UV잉크 적용 시 최대 5만부 인쇄가 가능하다. 더불어 출력에 기존 장비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는 것도 장점이라는 점을 짚으면서 강의를 마쳤다.
KHS의 이해 일진PMS(주)고객지원팀선경태대리
KHS는 KomoriHyper System의 약자로 인 쇄 시 잉크 공급량을 표준화 해 농도를 조기 에 안정시킴으로서 작업 전화 시간의 단축 등 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4가지 기능을 상황 에 따라 P1, P2, P3, P4로 구분해 잉크를 공급 한다. KHS를 사용하면 바른 작업 전환으로 생산성 향상과 항상 같은 품질의 인쇄물 양산이 가능하다.
P1은 잉크 공급량, 요비다시 횟수, 각각의 설정 값에 맞춰 인쇄 시작 전에 미리 잉크를 잉크장치에 자동 장전하는 기능이다 표준 필름 두께(잉크 기준막) 을 형성하는 P1-1 이미지 필름 두께를 형성하는 P1-2의 두 가지 공정에서 잉크가 공급되는 과정이다.
P2는 잉크 제거 후 롤러에 표준 필름 두께가 있는 상태에서 인쇄 시작 전 미 리 잉크를 잉크 장치에 공급하는 기능이다. P2에서는 이미지 필름 두께를 형성하는 스텝만 실행이 된다.
KHS 잉크제거는 작업 전환 시 잉크 공급을 멈춘 상태에서 제거 매수를 지 정하여 백지를 공급함으로서 잉크 장치 내의 전회 작업의 이미지 필름 두께 를 삭제하여 이미지 필름 두께를 평평하게 하는 기능이다. 잉크제거와 판잉 크 제거 2가가 있으며, 잉크 전이율 변화에 따라 통상의 잉크제거 1.5~2배 의 용지를 필요로 한다.
P3는 사전 잉크 주입 1과 2의 혼합으로, 장치별로 P1 또는 P2를 선택해 잉 크를 공급한다.
P4는 피드백 잉크-색 맞춤을 위해 실행하는 사전 잉크 주입으로, 목표 농 도보다는 농도가 낮은 경우나 농도를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드백 잉크 를 사용한다.
고모리인쇄설비동향 일진PMS(주)기계사업팀조민기과장
일진 PMS는 고모리의 매엽기, 윤전기, 디지 털, 후가공 제품이외에 작년 5월부터 BOBST 의 도무송, 접착기, 금박기 등의 국내 공급을 시작했다. 이외에 CONDAIR ML 가습기 등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고모리의 주요 제품으로는 매엽 오프셋 인쇄 기로 Lithrone Series, 윤전 오프셋 인쇄기 System Series, 패키지용 인 쇄기로 우유 및 담배갑 인쇄에 사용하는 Chambon Series, 지폐 및 증 권인쇄기 Bank Note Series 등을 취급하고 있다. 사이즈 별로는 국4절 (520×375) Lithrone 20부터 4×6전지(1150×840) 인쇄 가능한 GL-44 까지 다양한 제품을 구비하고 있다.
고모리는 최근 디지털 라인도 구축을 마쳤다. Impremia IS29는 1200 ×1200dpi의 고해상도 장비로 시간당 편면 3000 SPH, 양면 1500 SPH 출력 속도를 지원한다.
최대 인쇄용지는 585×750mm로 UV 잉크젯+LED UV 인쇄가 가능하다. 이외에도 NS40은 블랑켓을 이용한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최고인쇄속도 6500 SPH 1050×750mm 용지 사용이 가능하다. 금·은지는 물론 PP, PET 용지에도 인쇄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후가공 제품으로 고모리 Apressia CTX 재단기,Apressia DC105와 탈지기로 Apressia MB110 제품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일진 PMS는 지난해 5월부터 127년 역사를 가진 스위스 소재 BOBST의 국내 대리점 계약을 맺고 플렉소 인쇄기, 도무송, 그라비어 인쇄 기, 접착기 등을 국내에 소개하고 있다. 또한 공장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가 습시스템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월간 PT 2018년 2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