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eel Industry 철강산업은 "산업인의 쌀"인 철강을 생산하여 기계, 자동차, 건설, 조선, 전자 등 모든 산업에 소재를 공급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온 국가 기간산업니다.
포스코그룹, AI 대전환 한·미 협력방안 논의 글로벌 철강 명예의 전당 헌액
임승환 2025-06-20 11:24:01

포스코그룹, WSD 명예의 전당 영구 헌액 / 사진. 포스코그룹

 

포스코그룹이 미국 뉴욕에서 글로벌 철강 산업 내 위상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며, 향후 초일류 소재기업으로의 대도약을 선포했다. 특히 이번 방미 일정은 AI 기반 제조업 혁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경제블록화 대응, 한미 협력 강화를 아우르는 전략적 행보로 이어져 주목된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은 지난 6월 18일(현지시각)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철강 다이내믹스 포럼(Global Steel Dynamics Forum)’에 참석해 포스코그룹의 미래 전략을 소개하고, 글로벌 철강업계의 주요 리더들과 현안을 논의했다. 이 포럼은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인 ‘월드스틸다이나믹스(World Steel Dynamics, 이하 WSD)’가 주최하며, 철강 분야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와 전문가 500여 명이 참석한 행사다.


이번 행사에서는 포스코홀딩스가 글로벌 철강업계로 ‘WSD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영구 헌액되는 기념식도 함께 열려 의미를 더했다. 포스코그룹은 WSD가 2002년부터 실시해온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기업’ 평가에서 2010년부터 2024년까지 15년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WSD의 평가는 기술 혁신, 생산 규모, 원가 절감, 가공비, 재무 건전성, 고객 접근성, 원료 확보 등 총 23개 항목에 걸쳐 이뤄지며, 포스코는 전 분야에서 고른 경쟁력을 입증했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은 “종합 경쟁력 1위를 유지한 15년은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며, 이는 모든 포스코 임직원의 땀과 헌신이 만들어낸 결과”라며, “명예의 전당 헌액은 단지 포스코만의 성과가 아니라 글로벌 철강업계의 격려와 응원으로 받아들이고 싶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그는 “AI 기반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이차전지소재 사업 확장 등 과감한 도전과 혁신을 통해 글로벌 초일류 소재 기업으로 책임 있는 성장을 이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앞서 17일(현지시각)에는 ‘코리아소사이어티(The Korea Society)’가 주최한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미국 현지 오피니언 리더, 석학들과 함께 AI 기반 제조업 혁신과 글로벌 경제블록화 속 협력 해법을 논의했다. 이 자리는 미국 내에서 한미 간 상호이해 증진을 목표로 하는 민간외교 기구와의 협력 확대를 위한 실질적 접점 마련의 의미도 담고 있다.


라운드테이블에는 코리아소사이어티 캐슬린 스티븐스 이사장, 토마스 번 회장, 미국 메릴랜드대 제이 리 석좌교수, 미국 마크 메네제스 에너지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양국 전문가들은 철강, 이차전지 소재, 에너지 등 주요 산업에서의 협력 기회를 심도 있게 다뤘다.


특히 ‘산업 대규모 지식 모델(Industrial Large Knowledge Model, ILKM)’을 통해 분야별 공정지식과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안, 고위험·비정형 제조현장에의 로봇 자동화 도입 가능성 등, AI 대전환기의 제조업 당면 과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올 상반기에도 활발한 글로벌 행보를 이어왔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은 4월 세계철강협회 집행위원회 참석차 호주를 방문했으며, 현지 세넥스에너지 가스전 사업 및 캐나다 ‘얼티엄캠(Ultium CAM)’ 양극재 생산법인 현장 점검 등 이차전지소재 중심의 전략적 투자지를 잇따라 살폈다. 지난 5월에는 호주에 설립한 ‘핵심자원연구소’ 개소식에도 직접 참석하며 자원개발과 소재산업의 글로벌 확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미국 방문은 포스코그룹의 기술·사업적 경쟁력을 국제사회에서 다시금 인정받는 계기이자,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한미 간 신뢰기반 협력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전망이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전시회일정
  • 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2025-07-09 ~ 2025-07-11 Hall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