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3D프린터 시장동향 초기 단계로 외국산이 시장 주도
정하나 2018-06-28 11:49:34

1. 러시아 3D프린터 시장 개요

 

러시아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15년 5,500만, '16년 6,600만, '17년 7,920만 달러로 매년 약 20%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3D프린터 시장 규모는 전 세계 해당 시장 규모(약 40억 달러)의 2%에 못 미치고 있으나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러시아 3D프린터 시장 규모 예측치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 러시아 산업통상부

 

러시아가 3D프린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시기는 '10년 초반으로, 정부의 수입 대체화 정책 하에 러시아 기업들이 첫 FDM(용융 적층 모델링) 프린터를 개발했다.

 

러시아의 3D프린터 연구 및 개발은 우주 산업, 방위 산업, 과학 분야 연구 등을 포함한 각종 연구 장비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 중이다.

 

러시아 항공기 엔진 디자인 및 제조 회사인 UEC Aviavigatel Company에서는 엔진 제조 시 SLS(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을 사용했다. 장비는 고가이나 재료비와 생산성 측면에서 SLS 방식이 전문가들에게 가장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이를 이유로 산업 분야에서는 대부분 SLS 방식의 3D프린터를 선호했다.

 

러시아는 해당 분야 개발에 대한 의지가 강한 상태로, 정부 및 기관 차원에서의 지원 프로그램 및 보조금 제도가 지속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러시아 산업통상부의 경우, 항공 산업 분야 기업인 Electromechanics에 4,000만 루블, 철가루 및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POLEMA JSC에 2억 7,000만 루블을 보조금으로 지급했다.

'11년 러시아 정부에서는 고정밀 몰딩을 위한 새로운 장비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국가 기술 기반 프로그램의 하위 프로그램인 ‘2011-2016 국내 기계 및 장비 개발 진흥 프로그램’을 채택했다.

 

2. 러시아 3D프린터 관련 기계 수입 동향

 

러시아 3D프린터 시장에서는 러시아 정부 및 기관 차원에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국 수입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3D프린터 관련 HS Code는 하나로 특정 짓기 어려우며 형태 및 다양한 HS Code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한 HS Code 내에 또 다른 유형의 프린터가 포함돼 있어 일부 HS Code의 통계는 실제 3D프린터 수입 통계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이번 통계에 활용된 총 2개의 HS Code 품목들 모두 '12년부터 러시아에 수입되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프린팅, 복사 및 복제 기계(HS Code 8433321009) 품목 수입액은 약 1억 9,100만 달러로, '14년까지 수입액이 급격히 감소하다 '15년부터 점차 수입을 늘리는 추세이다.

 

수입을 시작한 이래로 러시아의 해당 품목 수입 상대국으로서 중국이 매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중은 꾸준히 4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 이 부문에서 '17년 이전까지 계속 10위권 밖에서 머물다 '17년 5위로 급상승했다.

 

3D프린터(HS Code 8477591000) 품목의 경우 '17년에는 독일이 압도적으로 대러 수출액 1위를 기록했으나 '16년까지는 독일, 이탈리아, 중국의 3자 경쟁 구도를 이뤘다.

 

한국은 꾸준히 5위권 안에 위치를 하고는 있으나 그 비중이 '16년을 제외하고는 매우 작다. '16년 약 330만 달러의 대러 수출액(21%)을 기록해 반등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 '17년에 무려 16%로 줄어들어 다시 감소되는 추세이다.

 

3.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현지 전문가 인터뷰

 

KOTRA 모스크바 무역관이 러시아 산업통상부 미하일 이바노프 기계 및 기계-건설 산업 투자 부서장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마하일 이바노프는 “전 세계적인 3D프린터 개발 붐에 맞춰 러시아도 3D프린터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쏟는 중이며, 산업통상부 측은 최소 향후 5년 간 러시아의 해당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세부적으로 보면 모든 품목의 전망이 밝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정부 차원에서 산업용 3D프린터를 개발하려는 의지가 특히 강하므로 주로 산업 분야에서 선호하는 SLS 3D프린터에 대한 전망은 충분히 긍정적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러시아의 3D프린터 시장은 한창 개발 단계에 있어 여전히 기술 및 생산 측면에서 외국 기업이 진출할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상태로 외국 기업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라며 “특히 외국 기업 중 최근 2~3년간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가지고 있는 중국산 3D프린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기술력이 갖춰져 있다면 가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4. 시사점

 

러시아 정부 및 관련 기관 차원에서의 3D프린터 시장 개발 지원 폭도 점차 커져감에 따라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품목별로 그 성장세가 상이하나 우주, 항공 분야 등의 연구 및 발전 목적으로 한 산업용 3D프린터에 주목해야 한다.

 

러시아 3D프린터 시장은 매년 20%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개발 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품목이 다양해 3D프린터 시장에서 정확한 수입 비중은 파악할 수 없으나 고정밀 기술을 요하는 산업용 3D프린터의 경우 그 비중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써 러시아의 독자적인 빠른 성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외국 기업과의 기술 및 생산 협력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중국산 3D프린터의 대러 수출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미뤄 보아 일정 수준의 기술을 갖췄다면 가격 경쟁력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 자료 : KOTRA 해외시장뉴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