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시민과 구급대원이 심정지환자 1,298명 살렸다! 시민과 구급대원이 심정지환자 1,298명 살렸다
한은혜 2017-09-26 18:15:05

오세용  |  osyh@safetyin.co.kr

 

소방청(청장 조종묵)은 지난 한 해 동안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생명을 살린 시민과 구급대원 등 5,998명에게 하트세이버인증서를 수여하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119구급차로 이송된 심정지 환자 27,601명 중, 새 생명을 찾아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된 사람은 전체 1,298명(4.7%)으로 전년에 비해 258명(24.8%)이 증가하였다.

특히,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에 심정지를 목격한 신고자 등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한데, 심정지환자를 소생시킨 시민이 550명으로 전년(’15, 384명)에 비해 163명(42.1%)이 증가했다. 이는 시민들이 초기 심폐소생술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구 분

심장정지

환자()

소생인원

()

수여인원()

소계

구급대원

상황요원

일반시민

기타*

2016년도

27,601

1,298

5,998

4,319

151

550

978

2015년도

27,447

1,040

3,868

2,835

151

387

495

전년대비 증감(%)

0.6

24.8

55.1

52.3

0.0

42.1

97.6

 

심폐소생술을 통해 소생된 사람이 많은 지역은 경기도가 275명, 서울 261명, 부산 100명 순으로 나타났고, 환자발생 대비 소생비율은 세종이 10.4%, 충남 7.3%, 광주 6.9%, 울산 6.6% 순으로 분석되었다.

윤상기 119구급과장은“증가하는 심정지환자를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119신고자 또는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하며, “심폐소생술 방법을 잘 모르더라도 119에 신고를 하면 응급처치 안내를 받아 누구든지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월간 안전정보 2017년 9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