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 착공은 3.0% 감소, 준공은 13.4% 증가
박혜림 2016-09-13 10:58:32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9.2% 증가한 87,567천㎡, 동수는 6.4% 증가한 134,348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39,311천㎡(50천㎡, 0.1%↑), 지방 48,256천㎡(7,291천㎡, 17.8%↑)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68,970천㎡, 동수는 4.2% 증가한 113,705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30,940천㎡(△2,211천㎡, 6.7%↓), 지방 38,029천㎡(74천㎡, 0.2%↑)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한 59,295천㎡, 동수는 6.1% 증가한 93,35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6,205천㎡(5,816천㎡, 28.5%↑), 지방 33,089천㎡(1,208천㎡ , 3.8%↑)이다.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39,383천㎡, 공업용은 8,358천㎡로서 각각 18.9%, 5.3% 증가하였고, 상업용 23,739천㎡, 문교사회용은 4,347천㎡로서 0.1%, 17.2% 감소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29,243천㎡, 상업용 18,937천㎡, 공업용 7,443천㎡, 문교사회용 3,221천㎡로서 각각 4.9%, 6.5%, 2.7%, 21.7% 모두 감소하였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24,587천㎡, 상업용 15,855천㎡, 문교사회용은 4,442천㎡로서 각각 24.1%, 11.7%, 12.3%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7,035천㎡로서 1.0% 감소하였다.


2016년 상반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18.9%), 준공(24.1%) 면적은 증가한 반면, 착공(△4.9%) 면적은 감소하였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7.2%) 및 지방(30.3%) 모두 증가하였으나, 착공 면적은 수도권(△10.3%) 및 지방(△0.3%) 모두 감소하였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0.1%), 착공(△6.5%) 면적은 감소한 반면, 준공(11.7%) 면적은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업무시설(32.9%), 착공은 업무시설(12.9%), 준공은 제1종근린생활시설(19.9%)의 증가율이 높았다.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의 허가(27.5%) 면적은 증가하였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81.6%), 경기도(6.9%)는 증가한 반면 인천광역시(△59.7%)는 감소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광주광역시(208.2%), 울산광역시(167.7%)의 면적 증가가 두드려졌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주택재건축정비사업(74동, 748천㎡),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세권 복합단지개발 PF사업(16동, 516천㎡) 등이며, 지방은 울산시 중구 복산동 B-05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29동, 375천㎡),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2구역 EG더원 아파트(15동, 177천㎡) 등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3%인 59,567동, 100~200㎡ 건축물이 25,403동(18.9%), 300~500㎡ 건축물이 18,276동(13.6%)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50,808동으로 전체의 44.7%, 100~200㎡ 건축물이 20,681동(18.2%), 300~500㎡ 건축물이 16,113동(14.2%)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6,044동으로 전체의 38.6%, 100~200㎡ 건축물이 17,461동(18.7%), 300~500㎡ 건축물이 14,615동(15.7%)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1.4%인 45,045천㎡, 개인이 26,177천㎡(29.9%), 공공이 2,934천㎡(3.4%)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5.4%인 38,202천㎡, 개인이 22,253천㎡(32.3%), 공공이 2,666㎡(3.9%)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0.8%인 30,120천㎡, 개인이 19,287천㎡(32.5%), 공공이 3,506천㎡(5.9%)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4,227천㎡(28,755동), 1,920천㎡(6,061동), 587천㎡(771동), 260천㎡(352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3.8%인 2,274천㎡(24,597동), 다가구주택 647천㎡(2,874동), 아파트 855천㎡(268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7.8%인 726천㎡(2,710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667천㎡(2,541동), 업무시설 170천㎡(90동)으로 멸실되었다.


<월간 안전정보 2016년 8월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