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국제암연구소(IARC), 비만으로 인한 위험 암종 발표 2002년 발표한 5개 암종에 더해 새롭게 8개 암종 추가
박혜림 2016-09-21 14:10:52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WHO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비만에 대한 암예방 핸드북 발간과 관련하여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지에 비만과 관련된 암종, 체중 변화에 따른 암 발생 위험성, 재발 및 생존에 있어서 비만과 체중 감소의 영향에 대한 근거 고찰 요약서를 8.25일 발표하였다.

비만과 관련된 암종에 대해서, 국제암연구소는 지난 2002년 「비만과 신체활동에 대한 암예방 핸드북」을 통해 비만이 대장 및 직장암, 식도암, 신장암, 폐경 후 여성에서의 유방암, 그리고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올해 발간한 암예방 핸드북에서는 기존 내용에 추가하여 중년 인구 집단에서 비만*으로 인해 위암, 간암, 담낭암, 췌장암, 난소암, 갑상선암, 수막종 및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체중 변화에 따른 암 발생 위험성, 암의 재발과 생존에 있어서 비만과 체중 감소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고 발표하였다.

25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 및 초기 성년기의 비만이 성인기 암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위험도 증가의 규모와 유형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위험성이 증가하는 암종은 성인기 비만 관련 암종들과 유사하다.

암의 재발 또는 암 치료 후 생존과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암 진단과 가까운 시점에 비만한 경우 유방암 생존률을 감소시키나 다른 암종은 근거가 제한적이고 결과에 일관성이 없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더불어,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전 세계적인 비만 인구의 증가 경향으로 비만과 관련되는 암이 더 추가되고 향후 비만으로 인한 암 사망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전세계 성인 비만 인구는 약 6억 4천만명(‘14년 기준)으로 추계되며 이는 1975년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소아청소년 비만 인구도 약 1억 1천만명(‘13년 기준)으로 1980년 이후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등 비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미 2013년 전 세계의 약 450만명의 사망이 과체중과 비만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새롭게 확인된 비만 관련 암 또한 비만으로 인한 사망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제, 북미, 유럽 및 중동 여성에서의 전체 암 발생의 9%는 비만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만과 암 발생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 근거를 보완하고, 암 예방 10대 수칙 중 ‘건강 체중 유지’를 위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 이라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6년 8월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