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지난 7월 13일부터 8월 1일까지 2015년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 43개소를 대상으로 교육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민·관 합동 점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특히, 피해어린이 10명 중 5.2명은 도로횡단 중 사고를 당했고, 가해운전자 41%는 보행자 보호 의무를 위반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교통안전시설, 도로안전시설, 도로구조 불합리 등 308건의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전체 교통사고는 감소 추세이나, 어린이 교통사고의 경우 2013년을 정점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망자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5년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사망자 8명 중 3명이 교차로에서 횡단중에 우회전 하던 차량으로 인하여 발생한 교통사고로 분석됐다.
2015년 교통사고 다발지역 43개소에 대한 사고발생 유형을 보면, 피해 어린이의 경우, 도로 횡단 중 사고가 전체 교통사고(88건)의 52.3%인 46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가해 운전자 법규위반사항은 보행자보호의무 위반(41%), 안전운전 의무불이행(26%), 신호위반(11%),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이번 합동점검 결과, 안전시설 측면에서는 노면표시?안전표지 미설치, 속도저감시설·중앙분리대 등 안전시설이 미흡(254건, 82%)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통안전시설(안전표지, 노면표시 등), 도로안전시설(과속방지턱?방호울타리 등), 도로 구조 불합리(교차로·도로선형 등) 등 총 308건의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합동점검 결과 지적 사항에 대하여는 서울?대구 등 7개 구역(62건)은 지난해 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사고원인을 분석한 후 개선을 마무리하였으며, 노면표시, 안전표지, 횡단보도 설치 등 단기간내 개선이 가능한 302건(98%)은 연말까지 개선을 마무리하고, 교차로 구조개선 등 추가적으로 중장기 개선이 필요한 6건은 2017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에 우선 반영하여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내 사망 사고의 주 원인인 교차로 우회전 차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예방을 위해 교육부·경찰청·자치단체 등과 협업을 통하여 교차로에서 우회전시 특별히 주의토록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민안전처 정종제 안전정책실장은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시설물 정비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운전자에 대한 교통안전교육을 꾸준히 실시하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이 되도록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6년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