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공공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특수재난 분야에 대한 온·오프라인 교육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특수재난은 대형·복합·신종재난의 성격을 띠고 있어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종사자들조차 이에 대한 개념이해가 다소 부족한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기관 간 협업대응 등에도 어려움이 있어 왔으며, 따라서 이번 교육은 이를 해소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실시할 예정이다.
◆ 특수재난이란?
대형교통사고(철도·지하철·도로·항공기·해양선박 등), 환경오염사고(유해화학물질 등), 감염병, 가축전염병, 원자력안전사고, 다중밀집시설 및 산업단지 대형사고, 에너지사고(전력·가스 등), 정보통신사고(사이버공격 제외) 등을 포함한 신종·복합·미래재난 및 多부처와 민관의 공동대처가 필요한 재난
우선 첫째로, 지난해 개발한 사이버교육 콘텐츠「특수재난 길라잡이」를 연말까지 총 20회 이상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
중앙부처·지자체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등 정부 및 지자체 교육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PC·모바일 동시학습이 가능하다.
특히,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간접체험과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e-Book 등은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역별 위험특성을 고려한 맞춤형「특수재난 현장순회교육」을 실시한다.
이는 해당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교육서비스로 지난해 교육생들의 의견과 각 지자체의 교육수요를 반영하여 올해는 10회로 확대 실시할 예정이다.
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지역의 재난안전 이슈를 사전에 파악한 후,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생생한 현장사례와 대책을 공유함으로써 종사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첫 순회교육은 3월 31일 울산에서‘위험물질 누출사고 등 국가산업단지 대형사고’를 주제로 진행할 계획이며 지역 공무원, 공공·민간 종사자 등 약 15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셋째, 특수재난분야 전문교육과정인「특수재난 관리과정」을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에 연 2회(5월, 11월) 개설하여 각각 3일 과정으로 운영한다.
재난관리책임기관 종사자를 주 대상으로 하여 특수재난분야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민안전처 윤여송 특수재난기획담당관은 “앞으로 각 부처 교육기관과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특수재난 분야 교육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7년 4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