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환경부, 하수처리시설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 기한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 안양 박달하수처리장 방문하여 위험시설을 점검하고 안전사고 예방 당부
한은혜 2017-02-21 17:19:23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2017년 국가안전대진단(2월 6일~3월 31일)'을 계기로 '혐기성 소화조' 등의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한다고 밝혔다.

'혐기성 소화조(嫌氣性 消化槽)'는 산소 호흡을 하지 않은 혐기성 미생물의 소화반응을 이용하여 하수 찌꺼기와 같은 고농도 유기물을 분해하고 감량화하거나 메탄 등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설을 말한다.

그간 소화조와 그 부속시설(가스 이송 배관, 발전소 등)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폭발하거나 맨홀, 하수도 등 밀폐공간에서 질식사고가 발생하는 등 관련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지난해 10월에는 대구 신천 하수처리장 소화조 배관공사 중에 가스가 유출되어 폭발하여 2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안산 하수처리장의 농축기(하수 찌꺼기에서 물을 빼는 기계)의 환풍기가 작동하지 않아 작업자 1명이 황화수소 가스에 질식해 숨졌다.

환경부는 이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604개 하수처리장(500㎥/일 이상) 등을 대상으로 관할 지자체가 우선 자체 점검토록하고, 이 중 주거 밀집지역 내에 위치한 20만㎥/일 이상의 대형 하수처리장 30개를 지방(유역)환경청 주관 아래 민관합동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혐기성 소화조와 부속시설에 대해서는 지난해 1월 공개한 환경부의 '공공하수도시설 내 위험물 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업무지침'에 따라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지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맨홀 또는 밀폐되어 있는 시설물에서 작업할 때 지켜야 하는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의 준수 여부도 살펴본다.

*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밀폐공간 목록화 → 작업 사전허가 → 작업 전 공기 측정 → 보호장치 구비 및 착용 → 감시인 배치 등 작업관리 등

한편,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2월 19일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박달 하수처리장을 방문하여,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소화조 등의 위험시설에 대한 관리 실태와 사고예방 체계를 점검했다.

조경규 장관은 “국가안전대진단의 목적은 사전에 충분히 점검하여 대규모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라며 “집중 점검을 서류로만 진단하지 말고, 시설기준과 안전 매뉴얼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현장 중심으로 내실 있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특히 박달 하수처리장이 지하에 설치됐기 때문에 소화조 등 위험시설에서 가스가 누출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고 피해가 더 커질 우려가 있다”며, “더욱 철저하게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노력해 줄 것”을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월간 안전정보 2017년 2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