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근 대규모 자연재난이나 예측 불가능한 사회재난이 급증함에 따라 불확실성을 줄이고, 사전예측과 예방, 대비·대응, 복구, 조사 분석 등 재난관리 전 과정에 ICBM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ICBM은 IoT(사물인터넷), Cloud(클라우드), Big Data(빅데이터), Mobile(모바일)을 뜻한다.
이에 따라 국민안전처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국민안전서비스 확대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민안전 종합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그 일환으로 국민안전처는 올 1월부터 전담팀(TF)을 구성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 자문·컨설팅을 받아 ‘제4차 산업혁명 기술적용 국민안전서비스 및 청년일자리 창출 계획’의 기본 방향을 확정했다. 또한 지자체 대상 과제공모 등을 통해 90개 과제, 약 1조 5천억 원 소요 규모의 과제를 발굴했다. 제안된 90개 과제 중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빅데이터 분야는 △다부처 활용 공동장비 체계적 운용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역별 해양사고 위험도 평가 및 대응지원시스템 구축 등 17개 과제가 제안됐다.
무인기술·사물인터넷 분야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범국가 국민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 △드론·로봇을 활용한 전시동원 물자·장비 수송 훈련, △ICBM 기반 한반도 방사능 상시감시체계 구축,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기상변화 재난대응 도로시스템 구축 등 43개 과제가 제안됐다.
가상현실(AR/VR) 및 인공지능 분야는 △재난대응용 소방대원 가상현실기반 훈련시뮬레이터 개발, △해난사고 구조 훈련용 표면 공급 잠수 시뮬레이터 개발, △인공지능 기반 통합적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등 30개 과제가 제안됐다.
국민안전처는 분야별 전문가 검토회의를 거쳐 분야별 제안과제에 대한 최종 우선순위를 확정할 계획이다. 국민안전처 유재욱 특수재난정책담당관은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국민안전서비스 확대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제를 선별하여 실제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향후 주요사업을 중심으로 예산부처에 건의하여 예산을 확보하고, 범정부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정책반영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7년 6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