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기술인 파일럿플랜트가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에 준공된다. 이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단순 저장이 아닌 자원화하는 혁신 기술로 배출가스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 로드맵에 따라 2030년에는 탄소자원화를 통해 연간 2,50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16.3조원의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번 파일럿플랜트 준공은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우건설(대표이사 박창민)과 한국남동발전(대표 장재원) 등 연구컨소시엄은 지난달 26일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영흥발전본부에 설치된 국내 최대 규모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에 대한 준공식을 개최하고, 파일럿플랜트에 대한 상용화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현재 대우건설은 이번 파일럿플랜트 개발을 통해 미래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플랜트는 지난 2015년 대우건설이 한국남동발전 및 극동이씨티 등 참여기관 6개사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국책과제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건설소재 활용” 연구협약 체결로 추진된 설비다.

기존의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은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기술로 배출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원유를 채굴한 지하의 빈 공간에 최종 저장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질 구조상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대량 저장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우건설 연구컨소시엄이 개발한 이번 기술은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방식으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저장이 아닌 화학반응을 통해 안정된 고체형태 (CaCO₃, 탄산칼슘)으로 전환하고, 이를 건설소재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활용 가능한 건설소재로는 블록, 도로강화지반, 지하공동구 채움 재료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배출가스 정화용 탈황제, 탈염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건설소재로 활용된 이산화탄소 포집물은 1,000년 이상 안전한 상태로 이산화탄소를 영구저장이 가능해 기존 CCS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발전 배출가스가 파일럿플랜트의 공정을 통과하면서 추가적인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있는 것이 확인됐다.
이번에 준공된 설비는 일일 40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연간 300일 가동시 총 12,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4억원의 탄소배출권과 34,000톤의 건설소재를 생산해 약 1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파리기후협약이 발효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자원화 기술이 미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며 “파일럿플랜트의 운용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와 경험이 미래 시장을 선도하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파일럿플랜트 준공식에는 이만희 전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김진영 (사)기업재난안전협회 회장, 본지 이선자 발행인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오세용 기자>
<월간 안전정보 2017년 7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