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용 | osyh@safetyin.co.kr
고용노동부는 건설업체(시공능력평가액 1,000위 이내) 및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주요 공공기관*의 ’16년도 산업재해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발주금액 1,000억원 이상인 22개 공공기관 ** 재해율(%):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의 비율 사망만인율(‱): 근로자 10,000명당 발생하는 사망자 수의 비율
조사결과에 따르면 ’16년도 1,000대 건설업체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3,837명으로 전년대비 369명(10.6%) 증가하였고, 사망자수도 184명으로 전년대비 31명(20.3%) 증가하였으며, 평균 환산재해율은 0.57%로 전년도 0.51%에 비해 0.06%p 높고, 최근 5년간 매년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 (’12년) 0.43% → (’13년) 0.46% → (’14년) 0.45% → (’15년) 0.51%→ (’16년) 0.57%
환산재해율은 ‘16년도에 1,000대 건설업체가 시공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를 파악하여, 사망자는 일반재해자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하청업체 재해자는 원청업체에 포함하여 산정된다.
한편,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높은 업체일수록 환산재해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 건설업체 규모별 환산재해율 >
▲ 1군 (1~100위): 0.34% |
▲ 2군 (101~300위): 0.88% |
▲ 3군 (301~600위): 1.40% |
▲ 4군 (601~1,000위): 1.85% |
대형 건설업체 중 환산재해율 우수업체로는 삼성엔지니어링㈜, ㈜삼호, 현대산업개발㈜, 삼성물산㈜, ㈜한라 등이며, 불량업체로는 요진건설산업㈜, 극동건설㈜, ㈜동원개발, ㈜서희건설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환산재해율 우수업체에 대해서는 공공공사 입찰(PQ*) 시 가점(298개사, 0.2~1점)과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안전보건공단 심사·확인 면제(39개사) 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re-Qualification) 시 ‘신인도’ 항목에 가점으로 반영
환산재해율 불량업체에 대해서는 정기감독 대상 포함(99개사) 및 시공능력평가시 건설공사실적액 감액(615개사, 공사실적액의 3~5%) 등 공공공사 입찰 시 불이익을 받게 된다.
또한, 이날 고용노동부는 건설업체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이 우수한 업체와 불량한 업체도 함께 공개하였다. * 사업주의 안전보건교육 참여 실적, 안전관리자 정규직 비율 및 건설업체 안전보건조직 유무 등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
실적 평가결과에 의하면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높은 대형 건설업체들의 점수가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건설업체 중 삼환기업㈜, 대우조선해양㈜, 동부건설㈜, 대보건설㈜, 지에스건설㈜, 한진중공업, 고려개발㈜ 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호반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은 저조하였다. ▲ 현대엔지니어링(주) 남양주 진건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 타워크레인 전도사고(‘17.5.22. 사망 3명․부상 2명) ▲ 삼성물산(주) 서울지하철 9호선 건설공사 터널굴착장비 전도사고(‘17.5.22. 사망 2명)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이 50점 이상인 건설업체(356개사)에 대해서는 실적평가 점수에 따라 공공공사 입찰(PQ*) 시 0.2~1.0점의 가점이 부여된다.
한편, 2016년 공공기관이 발주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1,006명으로 전년 대비 34명(3.3%) 감소하였고, 사망자수도 40명으로 전년 대비 7명(14.9%) 감소하였음.
그 결과 재해율*은 0.46%로 전년도 0.41%에 비해 0.05%p 높게, 사망만인율**은 1.83‱로 전년도 1.86‱에 비해 0.03‱p 낮게 나타났다. * (’12년) 0.54% → (’13년) 0.48% → (’14년) 0.43% → (’15년) 0.41% → (’16년) 0.46% ** (’12년) 2.46‱ → (’13년) 2.98‱ → (’14년) 1.85‱ → (’15년) 1.86‱ → (’16년) 1.83‱
조사대상 공공기관 중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주택도시보증공사, 가장 높은 기관은 한국철도공사로 나타났으며, 이번 조사결과는 ‘16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시에 반영(‘17.6.16, 기재부 발표) 되었다.
고용노동부는 건설업체 환산재해율 증가 등 건설업 재해가 증가됨에 따라 당초 올해 6월말까지 시행키로 하였던 「건설업 사망재해예방 특별대책」을 9월말까지 연장하고, 건설현장에 대한 지도․감독도 강화*할 방침이다. * 추락재해예방 기획감독(280→1,000개소), 사망사고다발 기계‧장비 기획감독(2,500→3,000개소), 패트롤점검(2,000→3,000개소), 안전지침이 순찰강화(57,000→63,000개소)
아울러 건설재해 감소를 위해서는 건설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근로자)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건설공사의 안전관리에 대한 궁극적 책임은 발주자에게 있음을 감안하여 ‘건설공사의 설계․시공 등 전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보호를 위한 발주자의 재해예방활동 및 책임을 강화’키로 하였다.
붙임 1 |
|
’16년도 건설업체 환산재해율 및 산업재해예방활동 조사결과 |
구 분 (위) |
환산재해율 |
산업재해예방활동 |
||
상위 10% 업체 (180개사) |
하위 10% 업체 (99개사) |
상위 10% 업체 (122개사) |
하위 10% 업체 (498개사) |
|
1군 1~100위 |
한국전력기술(주) (주)서령개발 (주)우남건설 삼성엔지니어링(주) (주)삼호 신동아건설(주) 등 11개 업체 |
㈜동일, 요진건설산업(주) ㈜협성종합건업 보광종합건설(주) 극동건설㈜ 에스티엑스건설㈜ 등 9개 업체 |
삼환기업(주) 대우조선해양(주) 동원건설산업(주)(주)케이알산업 한일건설(주) 등 19개 업체 |
㈜효성 (주)동원개발 아이에스동서(주) 진흥기업(주) 삼보이엔씨(주) 등 17개 업체 |
2군 101~300위 |
㈜시티건설 에스지신성건설(주) ㈜동화건설 ㈜한국가스기술공사 ㈜신동아건설 삼구건설(주) 등 21개 업체 |
선광토건(주) 에스티엑스중공업(주) ㈜엔에이치개발,(주) ㈜삼진씨앤씨 ㈜동아지질 ㈜홍성건설 등 20개 업체 |
태평양개발(주) (주)동양건설산업(주)우석건설 위본건설(주) 동일건설(주) 등 33개 업체 |
세영종합건설(주) 일광이앤씨(주) 성지건설(주) 신영건설(주) 한양이엔씨(주) 등 33개 업체 |
3군 301~600위 |
㈜리채 우방건설㈜ ㈜우미산업개발 일동토건(주) 서광종합개발㈜ 등 51개 업체 |
홍용종합건설(주) ㈜서림 북일종합건설(주) 현대스틸산업(주)효진종합건설(주) 등 30개 업체 |
청도건설(주) 삼영글로벌(주) ㈜진영종합건설 죽암건설(주) 대화건설(주) 등 29개 업체 |
피엔지건설(주) 세영종합건설(주) 장학건설(주) ㈜웰크론한텍 우신종합건설(주) 등 161개 업체 |
4군 601~1000위 |
㈜미동이앤씨 흥한산업(주) 현대엘리베이트㈜ 인본산업㈜ 일신건설㈜ 등 97개 업체 |
(주)드림개발 ㈜태호 (유)승명종합건설 세아건설(주) (주)일신종합건설 등 40개 업체 |
(주)삼양건설 일신건설(주) 성종합건설(주) (주)에스에이치건설 (유)동경건설 등 41개 업체 |
두한종합건설(주) 영일개발(주) (유)이코종합건설(주)평광건설 미조건설(주) 등 287개 업체 |
※ 환산재해율 및 산업재해예방활동 결과가 같을 경우 시공능력평가금액이 높은 업체 순서로 작성
붙임 2 |
|
주요 공공기관 발주공사 재해현황 조사결과 |
연번 |
기관명 |
발주 실적액 (억원) |
재해율 (%) |
사망 만인율 (‱) |
재해자수(명) |
사망자수(명) |
소관 부처 |
||||
’16 |
’15 |
증감 |
’16 |
’15 |
증감 |
||||||
계 |
330,973 |
0.46 |
1.83 |
1,006 |
1,040 |
-34 |
40 |
47 |
-7 |
- |
|
1 |
한국토지주택공사 |
85,961 |
0.46 |
1.41 |
259 |
271 |
-12 |
8 |
13 |
-5 |
국토부 |
2 |
한국전력공사 |
64,064 |
0.24 |
1.18 |
102 |
149 |
-47 |
5 |
4 |
1 |
산자부 |
3 |
한국철도시설공단 |
43,991 |
0.35 |
1.72 |
101 |
102 |
-1 |
5 |
3 |
2 |
국토부 |
4 |
한국도로공사 |
26,942 |
0.49 |
1.69 |
88 |
96 |
-8 |
3 |
8 |
-5 |
국토부 |
5 |
한국농어촌공사 |
16,136 |
1.52 |
0.94 |
162 |
146 |
16 |
1 |
4 |
-3 |
농림부 |
6 |
한국중부발전(주) |
12,118 |
0.13 |
1.25 |
10 |
19 |
-9 |
1 |
1 |
0 |
산자부 |
7 |
한국수력원자력(주) |
11,993 |
0.48 |
0.00 |
38 |
23 |
15 |
0 |
2 |
-2 |
산자부 |
8 |
인천국제공항공사 |
10,173 |
0.34 |
1.49 |
23 |
15 |
8 |
1 |
1 |
0 |
국토부 |
9 |
한국수자원공사 |
9,705 |
0.56 |
6.24 |
36 |
41 |
-5 |
4 |
5 |
-1 |
국토부 |
10 |
한국가스공사 |
7,775 |
0.10 |
3.90 |
5 |
7 |
-2 |
2 |
1 |
1 |
산자부 |
11 |
한국남부발전(주) |
7,252 |
0.98 |
2.09 |
47 |
45 |
2 |
1 |
0 |
1 |
산자부 |
12 |
한국서부발전(주) |
6,082 |
0.27 |
0.00 |
11 |
18 |
-7 |
0 |
2 |
-2 |
산자부 |
13 |
한국지역난방공사 |
4,911 |
0.25 |
0.00 |
8 |
5 |
3 |
0 |
0 |
- |
산자부 |
14 |
한국환경공단 |
4,801 |
1.01 |
6.31 |
32 |
26 |
6 |
2 |
2 |
0 |
환경부 |
15 |
한국남동발전(주) |
4,180 |
0.29 |
0.00 |
8 |
12 |
-4 |
0 |
0 |
- |
산자부 |
16 |
한국공항공사 |
3,495 |
0.35 |
4.34 |
8 |
7 |
1 |
1 |
0 |
1 |
국토부 |
17 |
한국동서발전(주) |
3,265 |
0.19 |
9.28 |
4 |
12 |
-8 |
2 |
0 |
2 |
산자부 |
18 |
한국철도공사 |
2,834 |
2.62 |
21.39 |
49 |
44 |
5 |
4 |
1 |
3 |
국토부 |
19 |
한국석유공사 |
1,888 |
0.56 |
0.00 |
7 |
|
|
0 |
|
|
산자부 |
20 |
주택도시보증공사 |
1,384 |
0.00 |
0.00 |
0 |
|
|
0 |
|
|
국토부 |
21 |
부산항만공사 |
1,016 |
0.45 |
0.00 |
3 |
1 |
2 |
0 |
0 |
- |
해수부 |
22 |
공무원연금공단 |
1,007 |
0.75 |
0.00 |
5 |
|
|
0 |
|
|
인사처 |
※ ’15년 실적금액: 354,164억원, 재해율: 0.41%, 사망만인율: 1.86‱
<월간 안전정보 2017년 7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