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골절상, 화상 등 어린이 놀이터 대형 안전사고,작년 한 해 337건발생 대형 안전사고 10건 중 6건 이상이 ‘추락사고’로 관련 대책 마련해야
한은혜 2017-09-27 18:16:36

오세용  |  osyh@safetyin.co.kr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국회의원(서울 강동 갑/행정안전위원회)은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2016년 어린이 놀이시설에서 골절상, 화상 등 큰 부상으로 이어진 대형 안전사고가 총 337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중 절반 이상이 추락으로 인한 것이어서 관련 대책이 필요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로 인해 골절상이나 출혈, 화상과 같은 큰 부상을 당한 어린이는 모두 338명이었다. [참조 1] 이중 남자 어린이가 206명(60.9%)로 여자 어린이 132명(39.1%)보다 중대사고를 당한 비율이 약 1.6배 높았다. 연령별로는 운동량이 많은 학령기 어린이가 243명(71.9%)으로 취학 전 어린이 92명(27.2%)보다 약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장소별로는 학교에 설치된 놀이터에서 대형사고가 많이 일어났다. 학교 놀이터에서 다친 어린이는 162명(47.9%)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주택단지 놀이터에서는 106명의 어린이(31.4%)가 다쳐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학교 놀이터는 전체 시설수가 6,371개로 33,810개인 주택단지 놀이터보다 숫자는 적었지만 시설수 대비 부상자 수는 2.5% 대 0.3%로 더 높아 각별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참조 2]

 

놀이기구별 부상자 수를 보면 ‘조합놀이대’를 이용하다 다친 어린이가 124명으로 36.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건너는 기구’ 53명(15.7%), ‘그네’ 49명(14.5%), ‘미끄럼틀’ 25명(7.4%) 등의 순으로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고형태로는 기구나 다른 어린이와의 충돌이 48명(14.2%), 넘어짐으로 인한 사고(11.9%)도 있었지만 추락으로 인한 부상이 215명(63.8%)으로 전체 부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놀이터 내 추락방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참조 3]

 

진선미 의원은 “분석자료를 보면 학령기 아동들이 모여 있는 학교 놀이터에서 큰 사고를 당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또 이번 조사결과에서 추락에 의한 사고위험이 매우 높게 파악된 만큼 학교 놀이터 안전관리와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놀 수 있는 놀이터가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찾아볼 것”이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7년 9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