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스마트테크 코리아_디지털유통•물류대전/로보테크쇼 2025-06-11 ~ 2025-06-13 Hall B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100대 건설기업에 3년간 산재보험급여 1,846억원 지급 대우건설 133억, GS건설 114억, 현대건설 106억, 삼성물산 100억순
한은혜 2017-11-01 18:48:49

오세용  |  osyh@safetyin.co.kr

 

 

100대 건설사의 산재보험급여 지급액과 산재은폐를 시도하다 적발된 자료가 공개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산재보험급여 지급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지급된 산재급여액이 1,846억 8,574만에 달했다.

산재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건설사인 대우건설은 지난 3년간 산재보험급여 지급이 133억원에 달해 불명예 1위에 랭크됐다. 이어서 GS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SK건설,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대림산업, 서희건설, 두산건설, 부영주택이 뒤를 이었다.

산재보험급여가 많이 지급된 것은 그만큼 업무상의 이유로 사망 또는 부상이나 질병 등의 재해를 입어서 각종 급여(보험금)지출이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물산의 경우 사망 근로자는 적었지만, 산재보험급여 지급액이 전체 4위에 랭크돼 산재비율이나 산재후유증이 높은 것으로 짐작된다. 삼성물산에 이어 부영주택과 한라, 동부건설, 코오롱글로벌, 한신공영도 산재 사망자 순위와 달리 보험급여가 많이 지급돼 산재위험이 높은 기업으로 분류됐다.

송 의원은 “산재 발생이 높은 사업장에서 사망근로자의 발생비율도 높은 편으로 확인된다”며“현장관리 소홀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건설근로자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송의원은 “대기업 건설사 뿐만 아니라 중소 건설사도 산재 은폐시도는 계속되고 있다”며 “고용노동부의 철저한 관리감독과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100대 건설대기업의 산재빈도와 100대 건설사 보험금 지급액을 차례로 공개한데 이어 산재은폐 건설사 자료까지 공개해 건설노동자들의 안전에 앞장서는 모습이다.

[최근 3년간 100대 건설사 산재보험급여 지급 총액 순위(1~21위)]

기업명

산재보험료 지급액

산재보험료

지급액(순위)

2014

2015

2016

1

()대우건설

6,701,536,940

3,927,241,390

2,717,728,470

13,346,506,800

4

지에스건설()

3,082,073,440

4,708,630,690

3,697,353,940

11,488,058,070

2

현대건설()

5,012,023,360

3,055,458,760

2,605,621,300

10,673,103,420

23

삼성물산 주식회사

6,304,555,660

2,455,739,940

1,255,785,470

10,016,081,070

3

에스케이건설()

4,086,372,440

3,900,462,670

1,216,818,710

9,203,653,820

7

()포스코건설

3,333,117,180

2,489,552,160

2,260,966,000

8,083,635,340

5

롯데건설()

1,110,714,350

2,333,315,690

1,519,609,860

4,963,639,900

6

대림산업()

1,125,783,570

1,792,386,710

1,936,590,670

4,854,760,950

9

()서희건설

1,691,546,850

1,493,049,050

1,279,968,880

4,464,564,780

11

두산건설()

2,185,160,410

1,326,394,660

910,374,330

4,421,929,400

17

()부영주택

2,178,268,990

1,365,923,570

689,963,870

4,234,156,430

15

계룡건설산업()

1,004,419,510

1,810,913,760

1,054,759,940

3,870,093,210

12

현대산업개발()

1,659,634,110

1,222,243,790

725,179,110

3,607,057,010

31

()한라

1,556,296,380

1,536,241,530

271,009,030

3,363,546,940

8

금호산업()

2,078,118,210

545,556,640

460,431,480

3,084,106,330

25

동부건설()

1,067,017,170

817,018,150

993,392,350

2,877,427,670

20

경남기업()

1,270,329,130

1,075,482,820

404,717,430

2,750,529,380

19

()케이씨씨건설

1,090,427,810

861,647,940

762,586,520

2,714,662,270

10

신세계건설()

688,299,280

1,634,274,280

380,684,380

2,703,257,940

24

코오롱글로벌()

754,685,010

1,237,598,120

578,862,830

2,571,145,960

34

한신공영()

785,713,370

1,075,913,930

514,040,850

2,375,668,150

                                                                                                <자료출처 : 고용노동부>
※ 맨 좌측 순번은 산재 사망자가 많은 기업. 맨 우측 산재보험료 지급액 순위는 사망 및 부상, 질병 등으로 인하여 지급된 산재보험 지급액 순

 

<월간 안전정보 2017년 11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