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2017년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결과 공표 10개 분야 626개 기관 평가, 71개 기관 최우수 등급 부여
한은혜 2018-02-26 18:21:55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고용노동부(장관 김영주)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2017년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등급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 (민간재해예방기관) 사업장 안전보건 증진을 위한 안전관리, 보건관리, 작업환경측정 등을 대행하는 전문기관

평가결과, ㈜삼진구조안전기술원(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한국건설안전연구원(주)(건설업기초교육기관), 유양에스엔지주식회사(지정검사기관) 등 71개 기관이 최우수 등급(S등급)으로 평가됐다.

< ’17년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결과 >

구 분

S등급

(최우수)

A등급

(우수)

B등급

(보통)

C등급

(미흡)

D등급

(불량)

626

71

189

256

94

16

안전관리전문기관

101

-

11

53

35

2

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74

9

26

33

5

1

안전보건교육위탁기관

67

-

12

41

4

10

건설업기초교육기관

102

14

30

45

12

1

직무교육기관

17

3

9

4

-

1

안전인증기관

4

-

2

2

-

-

안전검사기관

3

-

3

-

-

-

지정검사기관

17

1

2

7

6

1

특수건강진단기관

206

43

84

53

26

-

안전·보건진단기관

35

1

10

18

6

-

고용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가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 간 진행되었으며, 분야별 평가지표에 따라 대상기관을 방문하여 운영체계, 업무수행능력 등을 평가했고,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높이고자 노력했다고 전했다.

금번 평가결과는 기술지도 등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업주가 기관선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게시할 계획이다.

최우수기관(S등급)은 `18년도 점검 면제, 민간위탁사업 수행기관 선정 시 가점부여, 포상 추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불량기관(D등급)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 및 담당 사업장 점검, 민간위탁사업 수행기관 선정 시 감점 부여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 `18년 안전보건공단 안전·화학·건설 분야 민간위탁사업 수행기관 선정(100점 만점) 시 최우수기관(S등급) 5점 가점, 불량기관(D등급)은 5점 감점 부여

기관별 평가등급 등 자세한 평가결과는 고용노동부(www.moel.go.kr)와 안전보건공단(www.kosha.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17년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 개요>
I 목적: 민간재해예방기관의 업무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여 민간기관 역량 강화 및 안전보건 서비스 수준 향상 유도
II 평가대상: 10개분야 626개 기관

안전관리

전문기관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안전보건

교육위탁기관

건설업

기초교육기관

직무교육기관

626

101

74

67

102

17

안전인증기관

안전검사기관

지정검사기관

특수건강

진단기관

안전·보건

진단기관

4

3

17

206

35

III 평가방식
분야별 5등급*(S∼D) 절대평가(1,000점 만점)를 실시하고, 운영체계(400점) 및 업무성과(600점) 평가
* △S등급: 900점이상 △A등급: 800∼899점 △B등급: 600∼799점 △C등급: 400∼599점 △D등급: 400점미만
- (운영체계) 인적자원 보유, 시설·장비 보유 및 관리, 가·감점(포상 및 행정처분, 컨소시엄 구성여부 등 종합화) 항목 등으로 구성
- (업무성과) 기술지도 충실성, 재해감소 성과, 사업장 만족도 등 항목으로 구성, 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
※ 특수건강진단기관은 평가계획이 ‘17년 조기에 확정·시행되어 4등급(S∼C) 100점 만점으로 평가

 

<월간 안전정보 2018년 2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