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안전보건지킴이, 3월말부터 건설현장 순회 중소규모 건설현장 재해예방, 지킴이에게 맡겨주세요
한은혜 2018-03-22 18:04:56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고용노동부(장관 김영주)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건설업계 퇴직자로 구성된 안전보건지킴이 167명을 이달 말부터 중소 건설현장 순회점검활동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안전보건지킴이는 안전관리자 선임의무가 없는 공사금액 120억원 미만 현장을 대상으로 사망사고 위험이 높은 고소작업, 굴착작업, 건설기계․장비 사용작업 등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안전조치가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개선을 권고한다.
* 높이 2m이상의 외부비계 위 작업, 중·소규모 철골조립 작업, 이동식 크레인 등 5대 건설기계·장비 사용작업, 마감 등 내부작업, 붕괴위험이 높은 굴착작업, 용접 등 화기작업

다만, 점검결과 안전관리가 불량한 현장은 안전보건공단 전문가가 현장 전반의 안전관리를 지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방고용노동관서의 감독을 받게 된다.

최근 3년간 건설현장 사고사망자 중 74.7%(1,024명)가 120억원 미만의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규모 건설현장은 짧은 공사기간, 현장 관계자의 안전보건에 대한 인식과 안전투자 여력이 부족하여 사고발생 위험이 높다.

2010년부터 시작된 안전보건지킴이 사업은 사망재해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3년간(‘14~‘16) 3억원이상 120억원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사망만인율에서 지킴이가 순회점검한 현장(1.26‱)은 전체 현장(1.60‱) 대비 21.3%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보건지킴이는 만 56세 이상 건설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퇴직자로, 올해 167명이 선발되어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받고 2인 1조로 순회점검활동에 나서게 된다.

박영만 고용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안전보건지킴이 사업은 안전의식 고취는 물론 시설개선 유도를 통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감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며, “산재 사망자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안전보건지킴이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18년 3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