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원․하청 문제 등 산업재해 관련 이슈에 대응하고 정부의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한 2017년도 산업안전보건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공단은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 산업현장에 안전보건정보를 확산시켜 산재예방 효과를 거두기 위해 연구결과를 매년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 수행된 연구결과는 △정책제도 △산업안전 △직업건강 △직업환경 △산업화학 등 5개 분야 총 79건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연구결과들은 위험주체에 대한 안전보건 관리책무 부여, 새로운 유해인자에 대한 위험요인 검토 등 다양한 산재예방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건설업 발주자 안전보건 책무부여 제도 도입방안 연구는 발주자의 안전보건 책임을 강화하여 건설현장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미국 등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발주자의 역할과 업무를 제시했다.
특히, 계획․설계․시공단계별 안전보건상 조치의무 등 연구결과의 주요내용은 현재 입법예고 중에 있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에 반영됐다.
LCD 제조업 작업환경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LCD 제조공정의 유해요인 특징을 조사하고 공정별 화학물질 노출특성, 건강영향, 예방대책 등을 제시했다.
연구결과에 수록된 매뉴얼은 보건관리자와 노동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정별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사용물질의 유해위험성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작성 매뉴얼 연구와 같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연구들도 수행됐다.
해당 연구에서는 밀폐공간 작업을 7가지 대표 작업으로 분류하여 상황에 따른 유해가스 농도측정, 공기호흡기 착용방안 등을 설명하며 매뉴얼을 함께 수록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17년도 산업안전보건 연구결과 보고서는 공단 연구원 홈페이지(http://oshri.kosh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핵심 연구의 주요내용은 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e연구리뷰를 통해서도 연중 게재될 예정이다.
안전보건공단 김장호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급변하는 안전보건 환경과 새로운 위험들로 인해 산업안전보건 연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며, “공단은 선제적인 산재예방 연구를 통해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새로운 위험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
|
2017년도 수행 연구과제 목록(79건) |
연번 |
분야 |
연구과제명 |
1 |
정책제도연구 (18건) |
산업안전보건법 체계 개편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2 |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책임 강화방안 마련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
3 |
산재예방 5개년계획의 정책추진 및 대응방안 연구 |
|
4 |
원·하청 통합 통계 산출 실태조사(II) |
|
5 |
산재발생 보고 실태 및 활용방안 연구 |
|
6 |
산업안전보건 거버넌스 연구 |
|
7 |
산재예방 서비스 전달체계 신태 및 개선방안 연구 |
|
8 |
산업안전보건 관련 행정규칙 체계 정비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
9 |
고용의 안정과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심층연구 |
|
10 |
안전보건표지에 대한 근로자 인지 심리적 접근성 평가 연구 |
|
11 |
작업장 위험요인 노출 및 안전보건관리 수준에 관한 심층 분석 |
|
12 |
기업의 안전보건 비용, 투자 및 재무상태와 산업안전보건과의 연관성 분석 |
|
13 |
기업의 안전문화 수준에 관한 심층 분석 |
|
14 |
노동환경변화에 따른 안전보건정책의 미래전략 방안 연구 |
|
15 |
산업안전보건교육의 현장 작동성 강화를 위한 연구 |
|
16 |
서비스업 재해예방을 위한 산업법상 책임체계 개선방안 연구 |
|
17 |
과로사(과로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 연구 |
|
18 |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인력운영방안 |
|
19 |
산업안전연구 (11건)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 개선방안 연구 |
20 |
가설구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보건규칙 개선방안 연구 |
|
21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 수요와 기술·재정지원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소규모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
22 |
안전보건관리 우수 건설업체·공공발주기관의 효과성 분석 연구 |
|
23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현행화 연구 I–사망재해 다발 건설기계 장비의 안전대책 중심 |
|
24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현행화 연구 II–타워크레인 작업중지 풍속 세부기준 중심 |
|
25 |
작업자세에 따른 미끄러짐 위험성 연구 |
|
26 |
정전기 안전용품의 안전인증기준 개발 연구 |
|
27 |
미래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재해예방 연구 로드맵 개발 |
|
28 |
건설업 발주자 안전보건 책무부여 제도도입 방안 |
|
29 |
중소 건설현장 상시 안전관리 체제 구축을 위한 안전관리자 선임대상 조정에 관한 연구 |
|
30 |
직업건강연구 (14건) |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실시 현황 분석 연구 |
호흡보호구 밀착도검사 실시 실태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I) |
||
31 |
||
32 |
||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 규모 추정에 대한 연구 |
||
33 |
||
사업장 휴게시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
34 |
||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의 실효성 강화 방안(II) |
||
35 |
||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운영 실태조사 |
||
36 |
||
보건관리 위탁 서비스 질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
37 |
||
활선작업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건강장해 기초연구 |
||
38 |
생물학적 노출 평가 표준 시료 개발(2) |
|
39 |
야간근무자의 수면장애 실태 및 관리방안 |
|
40 |
청력보존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
|
41 |
근로자의 후각장애 코호트구축 및 예방관리 |
|
42 |
근로환경변화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증진 연구 |
|
43 |
특수건강진단 검사항목 현행화 및 실무지침의 개정 |
|
44 |
직업환경연구 (14건) |
작업환경측정분석 국가산업표준(KS) 제·개정 연구 |
45 |
지각방사선(라돈)의 직업적 노출기준 및 관리기준 마련 방안 연구 |
|
46 |
살생물제(biocide) 취급 근로자 작업환경 실태 및 건강관리 방안 |
|
47 |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작성 매뉴얼 연구 |
|
48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및 국소배기 검사제도 개선을 통한 환기효율 향상방안 마련 |
|
49 |
작업환경 개선 컨설팅 전문기관 인프라 구축 및 육성 강화방안 |
|
50 |
LCD 제조업 작업환경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 |
|
51 |
건설업 공종별 발안성 물질 등 취급 실태 및 관리방안 |
|
52 |
건축공사 공종별 소음작업 및 소음발생 수준 연구 |
|
53 |
결정형 산화규소의 측정·분석 신뢰성 확보 방안 연구 |
|
54 |
산업위생분야 연구 로드맵 및 체계적 접근 |
|
55 |
지정측정기관 지정요건 개선방안 및 평가제도 실효성 연구 |
|
56 |
작업환경측정대상 정보에 대한 표준화 연구 |
|
57 |
직무별 유해위험요인 표준(Job Hazard Standard)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
58 |
산업화학연구 (22건) |
노출기준 추가 제정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 및 기술적 타당성 평가 연구(Ⅰ) |
59 |
산화티타늄 나노입자 취급 사업장에 대한 노출 특성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
60 |
허용기준 설정대상 유해인자 선정을 위한 유해성·위험성평가 및 산업체 노출실태 평가 연구 |
|
61 |
나노물질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나노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평가 연구 |
|
62 |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자료 확보를 위한 MSDS 신규작성 |
|
63 |
물질안전보건자료 최신화 관리(2017년) |
|
64 |
인화성고체의 화재폭발사고 저감 및 개선 방안 연구 |
|
65 |
AAALAC 인증 획득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에 관한 연구 |
|
66 |
국내외 생식독성 화학물질 등의 유해인자 규제관리 실태분석 및 제도개선 연계방안 연구 |
|
67 |
법 관리화학물질에 대한 CMR 분류정보의 국내 조화방안 연구 |
|
68 |
급성 및 만성 흡입독성시험법 개선 연구 |
|
69 |
급성 및 만성 흡입독성시험법 개선 연구 |
|
70 |
금속 나노물질의 흡입독성 연구(I) |
|
71 |
화재폭발 영향도 및 사고 해석모델 연구(II) |
|
72 |
1-methylnaphthalene의 13주 반복흡입독성 연구 |
|
73 |
효율적인 발암성 예측을 위한 최신 유전독성학 연구전략 수립 |
|
74 |
화학산업의 Pilot plant의 안전기준 개발 |
|
75 |
Cyclohexanone의 독성병리 연구 |
|
76 |
비휘발성 액상물질의 노출 및 분석기법 연구 |
|
77 |
병리조직검사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실험동물의 배경병변 연구 |
|
78 |
흡입노출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체영향 지표 연구 |
|
79 |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분류체계 및 관리기준 개선방안 연구(Ⅰ) |
<월간 안전정보 2018년 4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