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5-05-14 ~ 2025-05-16 Hall C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미세먼지 주범 '비산먼지', 연배출량 11만 5천톤달해 초미세먼지 1차 배출량의 17.6% 차지, 사업장 이어 두 번째로 높아
한은혜 2018-06-11 18:22:41

안전정보  |  safetyin@safetyin.co.kr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왕관천)은 발생원을 특정하기 어려워 ‘비산먼지’ 혹은 ‘날림먼지’라고 부르는 미세먼지의 배출량이 연간 약 11만 5천 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신 의원이 환경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정한 배출구 없이 도로 및 건설공사장 등으로부터 대기로 흩날리는 비산먼지의 양은 연간 114,774톤으로, 이 중 초미세먼지(PM-2.5)는 16,102톤에 달했다.

배출원별 초미세먼지 기여도는 도로재비산먼지(40.6%), 건설공사장(17.1%) 순이었고 농ㆍ축산업으로 인한 배출도 각각 12.5%(2,028톤), 11.4%(1,840톤)으로 조사됐다. 또한 학교 운동장 등 나대지에서 발생되는 초미세먼지도 1,610톤(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미세먼지 노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국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한해 324,109톤으로, 비산먼지(PM-2.5) 배출량 16,102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약 5%에 불과하지만, 1차(직접) 배출량인 91,460톤을 기준으로 보면 약 17.6%로 사업장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편 암모니아 배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농ㆍ축산 활동을 비산먼지로만 구분하여 미세먼지 2차 생성에 따른 간접 배출량을 계측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방법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신 의원은 “SOx, NOx 등 미세먼지 2차 생성 원인물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보니 1차 배출량이 큰 비산먼지가 간과된 측면이 있다”면서 “도로청소차 확대, 먼지 억제제 살포 등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조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월간 안전정보 2018년 6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