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장시간 일하는 여성·야간작업 여성근로자, “비만 가능성 더 높다”
안전정보 2020-07-08 09:50:45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긴 나라 중의 하나이다. 지난 해 정부에서 법정 근로시간을 52시간 이하로 제한하도록 정했지만 여전히 산업현장에서는 장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 근로자는 일과 가정을 양립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이 있기 때문에 일하는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같은 상황에서 장시간 근로를 하는 여성과 야간 작업을 하는 여성의 비만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가톨릭 대학교 예방의학교실 정혜선 교수와 엄미정 연구원은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한 자료를 이용해 2010∼2016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여성 근로자 2천90명의 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60시간 이상 장시간 근로를 하는 여성이 40시간 미만 일하는 여성보다 BMI
가 25이상으로 비만 가능성이 2.7배 높았다. 주간이나 저녁 근무를 하는 경우에 비해 야간이나 교대 근무를 하는 여성 근로자의 비만 가능성이 1.2배 높게 나타났다. 장시간 근로나 야간 근로는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비만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식사 시간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소화기능을 취약하게 함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미쳐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연구자들은 장시간 근로와 야간 근로를 하면 운동 등 체중조절을 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비만을 관리는 것이 더욱 어렵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사망률을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관리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라면서 “특히 장시간 근로나 야간 근로를 하는 여성은 생체 리듬의 변화로 인해 생리학적 문제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위험성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정혜선 교수는 “한국의 일하는 여성은 가사와 육아의 부담이 크고
휴식이 부족한 업무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데,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우리나라에서 여성 근로자의 건강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파급력이 큰 문제이므로 장시간 근로나 야간 근로를 하는 여성의 건강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국제학술지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 호에 게재됐다.

 

<월간 안전정보 2020년 7월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