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일정

칼럼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근로자의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안 박창용 ㈜내일기업 대표 2021년 키워드는 “공정사회&r...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인공지능의 상용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신동일 교수 명지대학교 재난안전학과/ 스마트엔지니어링 전공 dong...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사망사고 줄이기, 건설사의 역할과 제도 개선방안은? 전문건설업 KOSHA협의회(회장 조봉수)는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양자 센싱 활용’ 가스 안전관리에 앞장
안전정보 2020-10-13 17:45:45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원장 김영규)은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 IoT 기반 산업 시설물 모니터링 전문 기업 ㈜한국플랜트관리(대표이사 사장박수열), 양자/광기반 센싱 전문 기업 ㈜퀀텀센싱(대표이사 사장 황규종)과 지난달 15일 ‘양자 기반 가스 센싱 솔루션 기술 및 제품 검증’을 위한 서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양자 센싱’을 활용한 가스 안전 관리에 앞장서기로 했다.
‘양자 센싱(Quantum Sensing)’은 더 이상 나뉠 수 없는 최소 에너지 단위인 광자(빛의 양자 상태)를 측정해 물체를 감지하거나 물질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번 협약으로 차세대 양자 기술을 활용해 최대 150m 거리의 가스 누출 유무와 농도를 감지 및 영상화하고, 산업용 사물인터넷 기술로 데이터가 실시간 관제센터에 전달돼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관리가 어려운 지역의 검사와 점검시간을 단축하고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켜 선제적 안전 관리가 가능해진다. ‘양자 기반 가스 센싱 솔루션’은 시설물에 빛을 발사해 반사된 빛의 정보를 분석하는 원리로 가스 누출 여부와 농도를 측정한다.
아울러 이 솔루션의 장점은 가스 누출 위치를 영상화된 이미지를 통해 가스누출과 농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대규모 가스 시설물을 원거리에서 방대한 범위로 관찰해 실제 가스 누출 유무와 누출 지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이다.
가스 시설의 관제를 위해 보편적으로 쓰이는 기존 센싱 방식보다 약 3~5배 멀리 탐지할 수 있게 됐다.
가스안전연구원은 이 사업의 기술 및 제품에 대한 제도 기반 기술을 검토하고, SK텔레콤은 내재화 된 양자 기술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 발굴, ㈜한국플랜트관리와 ㈜퀀텀센싱은 양자기반 가스센싱 장치 및 산업용 사물인터넷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추진한다.
가스안전연구원은 SK텔레콤과 함께 양자 기반 가스센싱 솔루션을 연내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정식 상용화 시기는 시범 적용 결과 확인 후 결정할 계획이다.
김영규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장은 “원거리에서 가스누출을 감지하고 농도를 파악하는 양자기반 가스 센싱 솔루션은 현재의 검사, 점검에 대한 애로사항을 해소하는데 기여한다”며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성을 향상시켜 안전관리 효율화를 실현하겠다”고 전했다.
박진효 SK텔레콤 보안사업부장 겸 ADT 캡스대표는 “양자 기반 가스 센싱 솔루션을 통해 기술로 사회를 안전하게 하는 세이프티넷(Safety-net) 구축에 한발 다가서게 됐다”며 “양자 센싱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사회안전 서비스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가스안전연구원은 2019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충북 스마트안전제어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해 양자센싱 전문기업인 ㈜퀀텀센싱과 양자기반 가스 누출 영상화 장치 개발을 진행해 왔다.

 

<월간 안전정보 2020년 10월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