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달 9일 시민사회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50 탄소중립 열린소통포럼’을 개최했다.
‘2050 탄소중립 열린소통포럼’은 탄소중립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올해 새롭게 출범한 환경부-시민사회간 소통 창구다.
이날 포럼에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 등 시민사회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한정애 장관과 시민사회 대표들은 올해 환경부의 핵심정책 추진방향과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공유하고 시민사회와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먼저,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미래를 준비하는 탄소중립’의 비전 실행을 위한 탄소중립 이행기반마련, 그린뉴딜 체감성과 창출, 국민안심 환경안전망 구축 등 환경부 핵심 추진과제를 소개했다. 이어 이날 발표 내용에 대한 참석자들의 자유토론이 열렸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탄소중립이 사회전반의 변화와 실천없이는 실현이 불가능하고,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인 만큼 시민사회의 역할과 참여 확대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한정애 장관은 “탄소중립의 실천을 위해서는 시민의 협조가 절대적인 만큼 오늘 시민사회 대표와 포럼을 개최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포럼에서 제안된 다양한 아이디어들은 정책에 잘 반영하여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이행을 차질없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50 조선업계 탄소중립 공동선언문’ 발표
한편 조선업계는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산·학·연 협의체인 ‘조선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2050 조선업계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부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을 포함, 현대중·삼성중·대우조선해양 등 6개 주요 조선업체 임원,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이병철 부회장 등 산·연·관 대표 11명이 참석했다.
조선업계 대표기업 6개사는 ‘2050 탄소중립 도전 공동선언문’에 서명하며 탄소중립에 대한 적극적 동참 의지를 공식 표명했다.
금번 공동선언문에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개발과 공정개선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노력 △조선 탄소중립위원회를 통한 산·학·연 소통과 공동 과제 지속 논의 △정부 정책과제 적극 발굴·개선과 미래 산업경쟁력 강화 등 조선 업계의 주요 실천과제가 담겼다.
참석기업들은 향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공감대를 조선업계는 물론 수요기업·협력사 등으로 확산시켜 나가기로 약속했다.
이어 개최된 위원회에서는 △조선업계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탄소중립 도전을 위한 주요과제 △향후 탄소중립 실행 방안 등이 논의됐다.
조선업종은 연간 약 208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배출 전체의 60%가 공정 중 사용되는 전력이다. 시운전 등에서 사용하는 액체연료가 24%를 차지한다.
이에따라 △신재생에너지 확대 사용 △선박 추진연료 전환 △조선공정 특화 에너지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업계는 ‘조선탄소중립위원회’를 통해 탄소중립 실행을 위한 공동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조선업계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 R&D 지원, 신재생에너지 전력의 합리적 공급,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등을 건의했다.
산업부 강경성 실장은 “조선산업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기 ‘탄소중립 5대 핵심과제’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하면서 조선업계의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과 투자를 당부했다.
특히, 대규모 R&D사업과 관련, 선박 발주가 비용중심에서 환경과 기술로 옮겨가는 조선산업 현주소를 설명하면서 “정부도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세계 일류, 초격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현재 준비중인 친환경선박 기술개발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더불어, “정부는 조선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업계 건의사항을 최대 반영해 관계부처와 협의할 것이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집중 투자해 조선업종의 탄소중립 도전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간 안전정보 2021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