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측정 필요성을 높이는 강력해진 오존 오염 규제 과학적 측정 필요성을 높이는 강력해진 오존 오염 규제
이명규 2015-06-09 08:48:35

 

과학적 측정 필요성을 높이는 강력해진 오존 오염 규제


공공보건 개선을 고려한 오존 오염에 대한 연방 정부 기준 강화로 인해, 이를 측정할 과학적 방법과 모델 수립의 중요성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관리처와 콜로라도 대학교는 해당 내용을 골자로 하는 논평을 “Science” 최신호에 발표하였다.

Owen Cooper 박사는 논평에서, 새롭고 강력한 오존 기준 설정은 주 및 지역 수준의 대기질 관리자에게 도전 과제가 될 것으로 보았다. 지난 11월, 미국 환경보호청은 일차 오존 기준을 75ppb에서 70 또는 65ppb로 낮추는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노약자 및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오존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설정되었다. 환경보호청의 최종 결정은 2015년 10월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존 오염은 다양한 발생원에 의해 일어나며 일부는 지역 경계를 넘어서기도 하기 때문에, 주 정부 및 지역 공무원들에게는 이번의 오존 기준 재설정이 새로운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특정 장소의 경우, 일정량의 오존 오염이 자동차와 기타 발생원 등의 지역 오염원에 의해 발생한다. 하지만 추가적인 오존 발생량은 바다를 건너 오거나 미국의 다른 지역에서 날아온 것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오존의 경우 대기 오존층 상단에서 하강하거나 자연 발생원으로부터 생산된 것이다.

Cooper 박사는 이러한 모든 오존 발생원의 분류는 과학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작업은 쉽지 않지만, 우리 연구자들은 오존이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밝혀내는 방법을 알고 있다. 이러한 발생원 정보는 대기질 관리자가 적정한 지역 오존 발생량 한계를 감소시킬 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바로 그 정보"라고 설명하였다.

오존은 사람의 호흡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일 뿐 아니라, 식물 성장을 방해하고 곡물에 위해를 가한다. 오존은 대기 중으로 배출된 질소 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태양광 아래에서 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자동차, 전력발전소 및 기타 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 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어하기 위해 미국 내 수많은 자치 주들은 현재의 75ppb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현재 기준으로, 목표 달성을 하지 못한 자치정부의 수는 227개이나, 기준을 70 또는 65ppb로 강화할 경우, 목표 미달 자치 정부의 수는 각각 358, 558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이번에 발표된 논평에서, 얼마나 많은 오존이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는지 정량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측정이 필요하며, 지상에서의 기기 측정 및 항공기와 기구를 이용한 대기 측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찰모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자들과 대기질 관리자들은 특정 지역의 오존 발생원을 결정하는데 활용되는 컴퓨터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 모델의 예측값이 관측값과 성공적으로 일치할 경우, 과학자들과 대기질 관리자들은 앞으로의 국내 오존 오염 제어 조치를 더 강력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비지역적 요소가 특정 인근에 중요하게 작용할 경우 미국의 오존 규제 체계에는 예외와 기타 허용량에 관한 단계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동아시아 등지에서 미국 서부로 유입된 발생원으로 인해 오존 농도의 기준 범위(baseline)가 영향을 받는 등, 최근 수십년 동안 외부 요인의 영향 또한 커져왔다. Cooper 박사는 "오존 기준 범위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높이 증가한 지역인 미국 서부 지역은 성층권 또는 역풍 발생원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오존에 더욱 강력하게 영향을 받는다. 공공 보건 보호를 위해 연방 오존 기준 수치를 낮출 경우, 대기질 관리자를 위한 자유재량권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측정과 과학이 이러한 새로운 규제의 지평을 성공적으로 안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http://mirian.kist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