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G의 Managing Director인 Stefan Schonegger씨는 POWERLINK를 IEEE 규격으로 채택하고, 특히 IEEE 개발인 TSN 기술과 함께 사용 가능할 때 큰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세계 산업의 모든 측면에서 개방성은 성공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라고 말한다.
POWERLINK는 IEEE에서 국제 규격인 IEEE 61158로 채택되었고, 이것은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 중 유일하다. IEEE는 TSN 및 POWERLINK를 실시간 산업 통신의 핵심 구성요소로 보고 있다.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는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전문 협회이다. 가장 유명하게 알려진 기술 중 하나는 이더넷으로 알려진 IEEE 802.3규격이다.
IEEE의 실시간 산업 통신 워킹 그룹은 이더넷 표준화 정의에 관하여 지난 2년간 노력하여 2017년 3월 POWERLINK가 97%의 투표율로 유일한 IEEE 규격으로 채택되었다.
제한 없는 개방성
IEEE 산업 전자 학회(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의 표준화 책임자인 Victor Huang 박사는 “실시간 산업 통신은 이전 IEEE에게는 다소 격차가 있는 분야였습니다”라고 말했다. “고성능과 제한 없는 개방성이 결합된 POWERLINK는 다른 IEEE 통신 규격을 완벽하게 보완합니다. POWERLINK를 IEEE 규격으로 채택한 것은 현장 레벨에서 산업 자동화 기술을 표준화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라고 산업 전자 학회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선임 AdCom 회원인 Aleksander Malinowski 씨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