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수소모빌리티 쇼 국제수소컨퍼런스 개최 ‘수소산업 생태계 범위 넓어 국제협력 불가피’
최교식 2021-09-10 15:57:29

수소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위원장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이하 조직위)는 ‘세계 수소산업 선도국가들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강화’를 주제로 한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를 10일(금) 오전 10시부터 킨텍스 제2전시장 401, 402호에서 개최했다.

 

국제수소컨퍼런스는 개회사와 기조연설에 이어 ▲해외 수소산업 로드맵 ▲수소모빌리티 산업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한 오전 세션, ▲국제 그린수소 시장・정책 동향 ▲그린수소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오후 세션, 총 2부로 진행됐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참가자들을 위해 수소모빌리티+쇼 홈페이지에 공지된 줌(ZOOM) 링크를 통해 생중계됐다.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장이 10일 오전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조직위원장은 개막사에서“2015년 파리협약 이후 전 세계는 탄소중립여정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며“탄소중립은 한, 두 나라 노력으로는 해결될 수도 없고 제로섬이 되어서도 안 된다”며 국제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수소의 경우 국제협력이 불가피하다면서, “수소산업의 밸류체인은 지리적으로 한 나라에 국한되기 쉽지 않고 수소 생산과 저장, 이동뿐만 아니라 활용분야까지 산업범위가 넓어 한 기업이나 국가의 기술 독점이 어려워 기업간 전략적 제휴나 국제협력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수소활용 분야 중 가장 발전이 기대되는 부문이 수소모빌리티 분야로 이번 전시회엔 수소 지게차, 트럭, 트랩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출품되어 그 가능성을 보았다”면서,“특히 수소차는 수소를 해외에서 들여오는 경우 에너지효율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전기차 대비 유리한 바, 수소차는 수소를 직접 사용하나, 전기차는 이를 전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주장하면서 탄소중립을 위해 수소모빌리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정 위원장은 “탄소중립의 궁극적 해결책은 그린수소에 있지만 그린수소를 활성화하는 데도 아직 기술상 혹은 사업모델상 난제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야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가 그 해답을 제시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우리는 2050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수소 사회, 궁극적으로는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수소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 수소모빌리티+쇼 국제 수소 컨퍼런스에 모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두가 힘을 합쳐 그레이수소에서 블루수소로, 블루수소에서 그린수소로 한 단계씩 차근차근 나가면 지구 환경 보전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도 동시에 성취하는 그린수소 사회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종민 국회수소경제포럼 공동대표 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환영사를 통해 “대한민국은 수소시대로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며 “수소경제는 잠재력을 가진 성장산업을 넘어 친환경 핵심산업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국회도 수소 에너지 활용과 정책에 기여하고자 여·야 의원들이 모여 국회수소경제포럼을 창립했다”며 “정부와 산업계에 안정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수소 산업을 육성, 지원하는 법률을 통해 수소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종배 국회수소경제포럼 공동대표 겸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축하의 인사를 전하며 “세계 각국은 지금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자동차와 선박 등 수소활용 산업 뿐 아니라 수소 생산・운송에 필요한 기술과 인프라 확충에 전력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정부도 2019년 수소경제로드맵을 공표하는 등 수소경제로의 도약에 힘 쏟고 있으며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과 기술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국회수소경제포럼 대표 의원으로서 정부와 민간, 국회가 긴밀하게 협력하여 수소경제사회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에서 “한국은 △2013년 세계최초 수소차 양산 △2019년 수소경제로드맵 발표 △2020년 세계 최초 수소법 제정과 함께 △수소경제 컨트롤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 구성하여 수소 생태계 전반의 육성 정책을 마련했다”며 “2019-20년, 2년 연속으로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 보급량 세계 1위라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내기업이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를 연간 10만기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2023년까지 준공하고 생산규모를 현재 대비 4배 이상 확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저장, 운송 분야 원천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며 정부도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인 수소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민간의 투자를 견인하기 위한 적극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마지막 축사를 맡은 이브라힘 바일란 스웨덴 기업혁신부 장관은 본국에서 보낸 축사를 통해 “스웨덴 의회는 2045년까지 복지를 중심으로 한 최초의 기후중립국가가 되기로 의결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화석연료 없는 스웨덴’이라는 기치 아래 철강과 시멘트, 목재, 광산, 광물 등 20개가 넘는 산업군이 각자의 로드맵을 실천 중”이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화석연료의 사용 없이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한국은 수소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의욕적인 전략을 수립했고 이미 많은 영역에서 좋은 성과를 이뤘다”며 수소경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공공·민간 영역 모두의 협업 뿐 아니라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기조연설에는 ①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②도경환 수소에너지네트워크 사장 ③스톡홀름환경연구소(SEI)의 궤세 메테(Gökçe Mete) 박사가 발표자로 나섰다.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은 ‘포스코의 수소산업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했다. 그는 “탄소중립의 필수 에너지원인 수소는 에너지와 제조업, 수송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이 가능하다”며 “수소산업 전 밸류체인 영역에서 생산·인프라·활용 역량을 가진 포스코그룹은 수소환원제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소환원제철은 기존에 사용하던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기술이다.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 · 수소사업부장이 10일 오전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그는 이어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해 철강, 발전 등 본업을 친환경 혁신사업으로 변모시켜 나갈 것”이라며 “주요국가에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거점을 구축, 국내에 도입하거나 해외에 판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포스코의 수소사업 비전은 글로벌 수소산업의 생태계를 리딩하는 기업으로서 도약함에 있다”고 덧붙였다.

도경환 수소에너지네트워크 사장은 “수소충전소 기반의 수소사회 구현”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그는 “무한한 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수소사회로의 전환은 필연적”일 뿐 아니라 “2050년까지 최소 3,000만개의 일자리 창출, 약 3,000조 원에 달하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수소에너지네트워크는 2023년까지 총 10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것”이라며 “전국 수소충전소의 전략적 배치를 통해 수소 인프라를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소 수요를 확장, 초기 수소 산업 형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톡홀름환경연구소(SEI)가 주도하는 산업 전환을 위한 리더십 그룹에서 사무총장을 역임 중인 궤세 메테(Gökçe Mete) 박사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목표 달성 방안”에 대해 기조연설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생태계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속가능한 경제 개발을 목표로 1988년 설립된 국제기구로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규명에 기여하고 있다. 그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조건으로 전제한 뒤 “2050년이 되면, 수소와 전기를 기반으로 생산되는 철강공정 단가가 기존의 석탄·가스 중심의 철강생산 비용보다 저렴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이 끝난 뒤에는 영국과 칠레가 해외 수소경제 로드맵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조슈아 로렌스 국제통상부 자문위원은 “영국은 수소 관련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산학연 모두가 참여하는 수소자문협의체(HAC: Hydrogen Advisory Council)를 만들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세계적인 에너지·석유화학 그룹 쉘(Shell)과 수전해 전문업체 ITM을 포함한 다수의 기업이 참여 중이다. 공공영역을 대표하는 기후변화협의(CCC : Climate Change Committee)와 다수의 대학이 HAC에서 발언권을 가지고 있다.

 

칠레의 경우도 영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카밀로 아빌레스 칠레 에너지부 신생에너지사업 본부장에 따르면, 칠레 정부는 기업과 대학, 연구소, 각 산업별 협의회가 참여하는 기술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로드맵과 사업모델, 산업기준, 규제, 부문별 발전계획, 연구·개발 등 수소산업의 큰 틀을 확정하려면 산학연의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진행된 “수소모빌리티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에는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박재영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 엄석기 한양대학교 교수, 궤세 메테 박사가 패널로 참여했다.

 

국제수소컨퍼런스 오후 행사는 그린수소를 주제로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최용호 딜로이트 상무는 ‘국제 그린수소시장 동향’을 소개했다. 그는 수소에너지에 대해 “친환경 에너지라는 대안적 차원을 넘어 차세대 경제 패러다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수소경제 가치사슬이 완성되기 전, 한국의 기업의 선제적인 시장지위 확보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소진명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수전해 기술 고도화를 위한 주요국 정책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해 이야기했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탄소 포집저장 기술(CSS: Carbon Capture and Storage)을 활용한 블루 수소가 경제성을 가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전해 장치를 활용한 재생 수소를 기반으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독일에서 프리랜스로 일하고 있는 이유진 기자는 ‘독일의 수소전략: 북부 독일 무어부르크 사례’를 중심으로 수소경제 선도국의 선례를 집어봤다. 그는 함부르크 무어부르크 석탄 화력 발전소가 유럽 최대의 녹색 수소 발전소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함부르크 그린 수소 허브(Hamburg Green Hydrogen Hub)’는 바텐팔(Vattenfall) 등 4개 기업이 공동으로 무어부르크 수소 발전소를 중심으로 함부르크 일대를 수소 인프라로 채우는 대형 프로젝트다.

그는 무어부르크 프로젝트에 대해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을 서로 연결하고, 전국적인 수소 운송 및 접근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며 “이곳은 기존의 가스 운송 네트워크, 저장설비 등을 수소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10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 다섯 번째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장,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궤세 메테 스톡홀름 환경연구소 박사.

 

 

김창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한국의 그린수소 개발 방향”에 대해 제시했다. 재생에너지와 직접 연계할 수 있는 기술을 “2세대 수전해”라고 명명한 그는 “실질적 그린수소” 기술개발에 성공한 해외 성공 사례를 제시하며 국내의 수소에너지 관련 연구·개발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했다. “수소산업의 핵심기반을 강화하고 정부 부처 간 거버너스 시스템(governance system) 구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그린수소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에는 조용성 고려대학교 교수와 강상규 서울대학교 교수, 장성혁 수소지식그룹 대표, 권순우 머니투데이 기자가 패널로 참여해 각자의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 환경재단이 공동 주최・주관한다. 올해 2회 차를 맞은 수소모빌리티+쇼에는 ▲수소모빌리티 ▲수소충전인프라 ▲수소에너지 분야의 전 세계 12개국, 154개 기업 및 기관이 참가했다. 2021수소모빌리티+쇼는 오는 9월 11일까지 나흘간 진행된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