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화 업계 최대 전시회인 ‘SmartFactory+AutomationWorld2018(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 산업통상자원부 및 중소벤처기업부 주최로, 지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COEX에서 개최됐다.
전시기간 동안 총 29,954명의 참관객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된 이번 전시회에는 지멘스(Siemens)를 비롯해서 한국미쓰비시전기 등 국내 자동화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과 오토닉스 및 여의시스템, 한영넉스 등 국내 대표 제어기기업체 및 터크코리아, 발루프코리아, 코그넥스, 와고코리아, 서보스타 등 국내 자동화산업을 이끌고 있는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뜨거운 홍보전을 펼쳤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메이저급 자동화 업체들이 필드 단의 데이터를 OPC UA를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기술을 선보이면서, 인더스트리4.0 기술을 현실화하고 있는 행보를 보여준 것이 특색. 또한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전체적인 기술을 완성하기 위해, 여의시스템이나 터크 등의 업체들은 관련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을 선보이면서, 기업을 넘나드는 인더스트리 4.0 기술을 소개하면서 참관객들을 끌어 모았다.
한편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하는‘SIMTOS2018’이 4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일산 KINTEX에서 개최됐다. 1,100개 사의 업체가 6,000 부스 규모로 참가한 이번 전시회에는 약 100,000명의 참관객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위아를 비롯한, 두산공작기계, 화천기계, 스맥, 한국화낙 등 공작기계 업계를 대표하는 업체들은 물론, 지멘스와 한국미쓰비시전기, 삼천리기계, 다인정공, 레니쇼코리아 등의 업체가 참가해, 신제품 위주로 홍보를 전개하면서 볼거리를 제공했다.
주요업체들의 전시현장을 취재했다.
⑫삼원ACT
삼원ACT 부스 전경
공장자동화 배선절감 시스템 전문기업인 삼원ACT(대표 배광호)는 이번 전시기간 동안 배선절감 시스템인 IOLINK와 센서ㆍ액추에이터 접속 솔루션인 QPORT, 클린룸 전용 케이블 가동 시스템 EcoFlex, FA용 하네스/서브 접속용 케이블 등, 자사의 전 제품을 망라해 소개했다.
삼원ACT는 특히 최대 6M까지의 스트로크를 실현한 Long-stroke EcoFlex를 선보이면서 참관객을 끌어 모았 다. 이 Long-stroke EcoFlex는 클린룸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베어 내 케이블을 포설하는 부분에 대체 적용하여, 분진발생 및 수명으로 인한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가동 케이블 시스템이다.
부스바(Busbar)형 전원분배 블록(왼쪽)
삼원액트의 이재용 부장은 “길게 움직이려면 케이블이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삼원액트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품이 없었다가, 유저의 요구에 의해 새롭게 제품을 개발해 출시하게 됐다”고 말하고, “장 스트로크 에코 플렉스는 반도체, LCD, OLED 장비 제조에 적용되는 케이블 가동 시스템으로, 클린룸에서 공정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긴 스트로크가 필요 하다”고 설명했다. IPA 클린룸 등급을 합격했다.
삼원ACT 이재용 부장
주목할 만한 또 한 가지 제품은 부스바(Busbar)형 전원분배 블록. 차단기에서 전원을 빼낼 때 전원을 각 상별로 분리를 시켜야 하는데, 기존에는 부스바를 써서 전원을 한 선씩 여러 가닥을 빼서 썼기 때문에, 쇼트 및 감전 위험이 있어서 아크릴 판으로 덮어야 했다.
그러나 이 제품은 케이스 일체형으로 제작 되어 터미널 체결 부위만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쇼트 및 감전 위험이 적은 것이 특징. 이 부장은 “모듈화로 제작되어 아크릴 판을 새로 제작해서 붙일 필요도 없고, 부스바 가공을 할 필요도 없는 것이 부스바(Busbar)형 전원분배 블록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여러 개를 연결했을 때 차단기와 사이즈가 동일하게 나오기 때문에 모듈화된 것처럼 외관이 깔끔하다는 것도 장점.
이와 함께 O형 터미널을 사용해서 체결하는 SCREW형 전원분배 블록과 터미널 전선이 안으로 들어가서 체결이 되는 유럽형 전원분배 블록이 소개됐다. O형 터미널을 쓰기를 요구 하는 국내시장 요구에 맞춰 지난해 새롭게 SCREW형 전원분 배 블록이 출시가 된 것.
신제품인 Sealed Connector도 소개가 됐다. 진공장비에서 동작할 수 있는 콘넥터로서, 장비 내부는 진공상태고 장비 외부는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공기가 밀폐가 돼야 공기가 빠져 나가지 않는데, 이를 만족시키는 제품이다. D-SUB 콘넥터 형태와 MS 콘넥터 형태의 두 가지로 공급이 된다.
또 카메라 링크 비전 접속용 케이블을 비롯한 GigE 비전 접속용 케이블 및 아날로그 카메라 접속용 케이블 등 머신비전 용 케이블도 전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