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꼬가와전기 본사 인원 및 한국요꼬가와전기 나카지마 코이치 대표(오른쪽에서 세 번째)·한국요꼬가와전기 김은섭 본부장(오른쪽 두 번째)
한국요꼬가와전기 는 INTERBattery2025 (인터배터리2025 ) 전시회에서 배터리 제조사들이 보다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정밀 측정 및 제어 기술과 AI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솔루션, 에너지 절감 및 탈탄소화 시스템,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에너지 절감 및 CO₂ 배출 감축을 실현하는 친환경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전극 코팅량의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Web Gauge ES-5를 비롯해서, 레이저 기반 가스 분석기 ‘TDLS’, 플랜트 운영 통합 관리 솔루션 CI 서버, 공정가동률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을 전시해 참관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Ⅰ. 부스 스케치
1. Web Gauge ES-5
Battery WebGaugeES5 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의 전극 제조공정에서 전극 코팅량의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이전 모델인 WEBFREX3ES의 후속 모델로 CO₂ 배출량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새로운 가치를 추가했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이차전지 전극공정에 들어가는 장비로, 이차전지 배터리 필름의 코팅량을 측정한다. 웹게이지 모델은 과거부터 있었고, ES-5가 최근에 출시됐다. 기존제품보다 경량화됐고, 공기소비나 소비전력이 많이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제품은 단순하게 코팅필름에 대한 로딩량만 측정했지만, 이 제품은 코팅다이까지 제어하는 멀티패키지가 따로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요꼬가와 웹 게이지는 국내 배터리 3사에 다 들어가 있고, K사, S사, D사, B사 등 레퍼런스가 대단히 많다. ES-5는 출시된 지 얼마 안 돼서 홍보단계다”라고 덧붙였다.
웹게이지 ES-5
2. 레이저 기반 가스 분석기 ‘TDLS’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가스 분석기다. 프로세스 안에 있는 가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레이저를 쏴서 나오는 피크 형상을 가지고 농도를 측정한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트루피크라고 하는 측정방식이 이 제품의 장점이다. 주변에 있는 프로세스 온도나 압력, 다른 가스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센서가 직접 성분에 닿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없다, 요꼬가와 내 주력제품이다”라고 말했다.
가스 분석기 ‘TDLS’
3. 코리올리 효과를 이용한 질량유량, 밀도 측정 유량계 ROTAMASS
요꼬가와전기의 유량계는 질량유량계, 와류유량계, 전자유량계, 면적식 유량계 이렇게 4가지로 라인업이 되어 있는데 그 중의 질량유량계가 전시됐다. 유량과 밀도측정이 가능하고, 적산까지도 가능하다. 순수가스나 순수유체도 측정이 가능하지만, 특히 슬러리 같은 정밀한 혼합유체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코리올리 효과를 이용한 원리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이 질량유량계는 포트타입으로 되어있는데 왼쪽제품은 배관에 설치되고, 오른쪽 제품은 다른 브라켓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체형도 있다. 일체형은 트랜스미터가 위에 올라가서 같이 부착이 된다. 현장 특성을 고려해서 일체형이 될 수도 있고, 리모트형이 될 수도 있다. 엄청난 고온의 현장 상황에서는 리모트를 사용한다”라고 설명했다.
코리올리 효과를 이용한 질량유량, 밀도 측정 유량계 ROTAMASS
4. 무선 IoT 센서 ‘스시센서’
LoRaWAN 무선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로, 최대 10Km까지 장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AI를 활용한 사전 고장 예측이 가능하며, 온도, 입력, 진동 3가지 타입이 있다.
진동만 측정하는 제품과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두가지 모델이 있다.
스시센서의 통신을 받을 수 있는 게이트웨이 안테나도 함께 전시됐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실제로 케미컬 공장은 넓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확인을 해야되는데, 센서를 현장에 붙여 놓으면 사무실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받아서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무선 IoT 센서 ‘스시센서’
5. PLC 트레이닝 키트
PLC FA-M3를 이용한 PLC FA-M3가 전시됐다.
FA-M3는 3.75ns의 고속 연산 처리(명령어), 85μs의 고속 응답처리(모듈), 100K Step/1ms의 고속 스캔타임(CPU), 10μs의 고분해능 및 정밀도를 사양으로 한다.
PLC 트레이닝 키트
6. 광섬유 온도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DTSX)
광섬유 온도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DTSX
케이블을 현장에 깔아서 광케이블로 현장에 있는 전기설비나 케이블의 온도를 감시하는 솔루션이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전력케이블은 합선이 있거나 접속불량이 일어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걸 사람이 감지 못하게 되면 나중에 과열이 돼서 화재가 난다. 그 전 단계에서 유지보전하는 예방차원의 솔루션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DTSX의 장점은 광케이블 하나로 최대 50키로미터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요꼬가와만의 장점은 현장을 3D로 지도를 구현해준다는 것이다. 케미컬 공장에 가보면 반경이 2~3km가 되기 때문에, 공장 내에서도 보통 차로 이동을 한다. 넓은 공장 부지 내에서 과열이 일어났을 경우, 단순히 그래프로 보여주면 과열이 일어난 장소가 어딘지 모른다. 그런데 3D로 보여주면 어디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지 바로 알 수 있고, 담당자에게 정확하게 그 위치를 확인해서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라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이걸로 화재가 나기 전에 온도감시를 했던 실제 성공사례가 있어서 DTSX가 확판이 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7. 배터리 소재 Particle Imaging 분석 시스템 FlowCam
배터리 소재 전극공정에서 입자의 이미지 크기와 농도값을 볼 수 있는 현미경 장비다. 안에 광학렌즈가 들어가 있다. 작은 사이즈의 이물이나 파티클을 이미지화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입자를 현미경으로 찍어서 사이즈를 입력해주고, 파티클이 몇 개 있나 개수를 세서 농도값을 보여준다.
배터리 소재 Particle Imaging 분석 시스템 FlowCam
8. 플랜트 운영 통합 관리 솔루션 CI 서버(Collaborative Information Server; CI Server)
공장 내 설비 데이터 및 생산 데이터의 통합 관리로 운영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이다.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상 감지 및 유지보수 효율화를 구현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기능 제공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CI 서버
9. 공정가동률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 Asset Health Insights: AHI
공정가동률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 소개됐다.
한국요꼬가와전기 직원은 “클라우드나 온프라미스에서 구성이 가능하고 이 플랫폼의 첫 번째 목적은 사일로화 되어있는 데이터를 하나로 모으는 것이다. 하나로 데이터를 모으게 되면 여러 가지 활동이 가능한데, 비즈니스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각 부서에서 레포팅을 해서 그 레포트를 누군가 취합해서 취합한 결과를 가지고 경영진(C레벨)에서 보고 결정을 한다. 그런데 이 플랫폼은 여러 단계에서 레포팅한 데이터들이 분석을 통해서 보고서로 만들어지면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사무실에서 직접 볼 수 있고, 경영진이 빠르게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데이터 사일로화를 없앰으로써 데이터 접근이 더 쉽게 되고, 대시보드화를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두 번째 목적은 공장의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을 통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것이다. 전력 최대 수요(Peak Demand) 등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도와준다. AI/ML 모델을 적용하게 되면 예측치를 가이드라인처럼 제공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예측치에 따라서 실제 사용량과 예측한 값이 차이가 나면 차이가 난 원인을 파악해야 되는데, 실제 사용량이 더 많으면 어디선가 평소와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데이터가 모여 있으면 특별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가 어디인지, 왜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이 된다.
세 번째 목적은 공장에 있는 펌프나 컴프레서, 열교환기, 보일러 등의 여러 가지 설비비들에 대한 자산 퍼포먼스를 볼 수 있게 대시보드를 구성해주고, KPI를 제공해주고, 고장이 언제 날 건지, 이상상태가 발생했는지, 이상상태가 발생했으면 언제쯤 고장이 날 건지, 고장난 자산에 대해 어떻게 조치를 취하면 좋은지, 조치 방안에 대해서까지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녹여서 엔진으로 넣어놨다. 목적에 맞는 APM 형태로 패키지로 제공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플랫폼은 데이터관리 모듈, 분석 시각화 모듈, 평가(Assessment) 모듈 이렇게 세 가지 모듈이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고, 이외에 이런 것들을 조합해서 만들어놓은 여러 가지 APM이나 EMS 모듈들을 고객이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Asset Health Insights: AHI)과 배터리 솔루션
요꼬가와 Secondary Battery 비즈니스
Ⅱ. 인터뷰
“요꼬가와는 배터리 업계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춰 배터리 제조공정 전반에서 자동화 및 친환경 솔루션 제공”
한국요꼬가와전기 김은섭 본부장
Q. Inter Battery 2025를 통해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산업계에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입니까?
A. Yokogawa Korea는 Inter Battery 2025에서 ‘스마트 제조(Smart Manufacturing)와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혁신을 핵심 메시지로 전달할 계획입니다. Yokogawa는 배터리 제조사들이 보다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정밀 측정 및 제어 기술 ▲AI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솔루션 ▲에너지 절감 및 탈탄소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특히, 배터리 제조공정에서 에너지 절감 및 CO₂ 배출 감축을 실현하는 친환경 솔루션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산업 자동화에서 산업 자율화’로의 전환, 즉 IA2IA (Industrial Automation to Industrial Autonomy)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플랜트 자산과 운영이 학습 및 적응 능력을 갖추고 다양한 독립 시스템들이 협력(System of systems)하여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비전을 배터리 제조 고객들과 공유하고 협업하여 고객 맞춤형 Total Solution Provider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Q. 배터리 산업에 특화된 요꼬가와의 솔루션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또 해당제품들의 특장점은 무엇입니까?
A. 배터리 제조공정을 최적화하는 자동화 솔루션과 배터리 공정의 품질 및 운영 효율을 높이는 DX 솔루션,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산을 위한 친환경(Decarbonization) 솔루션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우선, 배터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는 자동화 솔루션에는 전극 코팅(Coating) 두께 측정 시스템 (Web gauge)과 전해액 주입 공정의 수분 분석기(TDLS 시리즈, 레이저 가스 분석기), 다중 채널을 이용한 전압 측정 솔루션 (SMARTDAC+ GM) 등이 있습니다.
전극 코팅(Coating) 두께 측정 시스템은 전극 코팅 공정에서 코팅 두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균일성을 유지하며, 고정밀 측정 시스템을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생산 수율 향상시키고, AI 기반 자동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어서 코팅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두 번째 전해액 주입 공정의 수분 분석기는 전해액 내 수분 함량을 비접촉 방식으로 실시간 분석하여 불량을 방지하며, 무시약, 무교정 방식으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전해액의 수분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세 번째 다중 채널을 이용한 전압 측정 솔루션은 연료전지, 2차 전지, 전해조와 같이 셀 전압 측정 및 다양한 범위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솔루션으로, 측정 솔루션 고내압 모듈은 최대 1000 VDC의 공통 모드 전압 측정을 보장하며,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험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중 순간 전류를 측정합니다. 충방전, 에이징, 시각 검사 등의 공정에 적용됩니다.
다음은 배터리 공정의 품질 및 운영 효율을 높이는 DX 솔루션입니다. 여기에는 공정 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CI Server)과 AI 기반 무선 데이터 관리 솔루션(Sushi Sensor), 제조공정의 상태를 관리, 확인 및 운영자에게 지원하는 솔루션(OpreX Batch MES)이 있습니다.
우선 공정 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CI Server)은 공장 내 설비 데이터 및 생산 데이터의 통합 관리로 운영을 최적화하며,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상 감지 및 유지보수를 효율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기능 제공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AI 기반 무선 데이터 관리 솔루션(Sushi Sensor)은, LoRaWAN 기반의 장거리 무선 데이터 수집 실행으로 설비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합니다. AI 분석을 통해 설비 이상 감지 및 예측 유지보수(예방 정비)가 가능하며, 배터리 제조 환경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합니다.
OpreX Batch MES는 제조공정의 상태를 관리, 확인 및 운영자에게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배터리 Mixing 공정에서 제조 절차 및 기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제조 결함 및 사고를 방지합니다. 제조공정의 상태 관리, 확인 및 운영자에게 지원을 제공하며, ERP 시스템 및 통합 생산 제어 시스템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치 플랜트용 솔루션입니다.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산을 위한 친환경(Decarbonization) 솔루션에는 배출량 모니터링 및 절감 솔루션(Decarbonization Assistance Solution)과 배터리 화재 예방 온도 모니터링 솔루션(DTS)이 있습니다.
배출량 모니터링 및 절감 솔루션은 공장의 에너지 사용량 및 CO₂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절감방안을 제시하며, AI 기반 에너지 최적화 기능을 통해 운영 비용 절감 및 친환경 공장 구현이 가능합니다.
배터리 화재 예방 온도 모니터링 솔루션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서 온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며, 고정밀 온도 센서를 적용하여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이처럼 Yokogawa는 배터리 공정 최적화(전극 코팅 측정, 전해액 분석, 온도 제어, 전압 측정)와 같은 자동화 솔루션을 비롯해서, AI 및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운영에 필요한 디지털 솔루션, CO₂ 감축, 에너지 절감 및 배터리 재활용 공정 제어에 필요한 친환경 솔루션 등
배터리 제조공정의 생산 효율성 극대화, 품질 안정화,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 공정 구현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고객사들이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Q. 최근 배터리 업계가 자동화 업계에 요구하는 기술 및 서비스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무엇입니까?
A. 최근 배터리 업계는 생산성 향상, 품질 안정화, 에너지 최적화 및 친환경 제조를 실현하기 위해 자동화 업계에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EV) 시장 성장, 글로벌 탄소 중립 규제 강화, 배터리 제조공정의 고도화 등이 배경이 되어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Yokogawa는 배터리 제조 공정 전반에 걸쳐 ‘자동화+친환경+Smart 제조’를 실현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배터리 업계가 자동화 업계에 요구하는 기술 및 서비스에는 배터리 제조공정의 '완전 자동화 및 무인화를 비롯해서, 배터리 공정의 ‘고정밀 품질 관리’ 및 ‘불량률 최소화’, 배터리 제조공정의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저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우선, 배터리 제조 공정의 '완전 자동화 및 무인화에 대해 설명하면, 배터리 업계는 고속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 수요를 따라가기 위해 생산성 극대화 및 기존 인력 중심의 제조 방식에서 벗어나 완전 자동화/무인화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기술할 기술은 AI 기반 공정 자동화 시스템과 IoT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입니다.
AI 기반 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IoT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합니다.
두 번째는 배터리 공정의 '고정밀 품질 관리' 및 '불량률 최소화'입니다. 배터리는 미세한 품질 편차가 성능 및 안전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전극 코팅 불균일, 전해액 주입 불량, 충방전 이상 등의 품질 이슈를 사전 감지 및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기술은 비접촉식 정밀 측정 기술과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 실시간 공정 제어 솔루션 등이 있습니다.
비접촉식 정밀 측정 기술에는 배터리 전극 코팅 두께, 전해액 주입량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이 있습니다.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 기술은 설비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여 다운타임을 최소화합니다. 실시간 공정 제어 솔루션은 공정 중 데이터 피드백을 통해 자동으로 생산 조건을 최적화합니다.
세 번째는 배터리 제조 공정의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저감입니다.
배터리 제조사들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공정을 구축하고 ESG 경영 강화 및 에너지 최적화 및 CO2 감축 솔루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기술로는 공장 내 에너지 모니터링 및 최적화 시스템(EMS)과 CO₂ 배출량 시각화 및 감축 솔루션, 고효율 제조 공정 및 재생 에너지 연계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공장 내 에너지 모니터링 및 최적화 시스템(EMS)은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해 최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줍니다. CO₂ 배출량 시각화 및 감축 솔루션은 공정별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감축 목표를 설정합니다. 고효율 제조 공정 및 재생 에너지 연계 시스템은 배터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태양광, ESS 등과 연계합니다.
Q. 요꼬가와가 배터리 업계에서 갖는 경쟁력은 무엇입니까?
A. Yokogawa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요구하는 스마트 자동화(Smart Automation), 품질 관리(Quality Control), 친환경 공정(Decarboniz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등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고정밀 센서 및 AI 기반 자동화로 배터리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합니다. 또, 스마트 팩토리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제조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탄소 배출 절감 및 배터리 리사이클링으로 친환경 배터리 제조공정을 구현하며, 글로벌 제조사와의 협업 및 신뢰 구축으로 배터리 제조사의 최적 파트너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한 생산성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할 수 있도록, Yokogawa는 강력한 기술력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혁신적인 솔루션의 일환으로 Yokogawa는 배터리 제조 공정의 여러 시스템에서 분산되어 생성되는 데이터를 자동 통합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OpreX Intelligent Manufacturing Hub를 출시했습니다. 이 솔루션은 C-suite(최고 경영층)에서 현장까지 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주요 성과 지표(KPI), 워크플로우, 보고서 전체 범위를 포괄하며, 고객이 적시에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통합하고 대시보드로 표시합니다.
Q. 배터리 업계의 최근 기술 트렌드로는 어떤 것을 꼽으십니까?
A.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EV) 시장 성장,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확대, 탄소 중립 목표 등에 힘입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신 기술 트렌드는 고용량·고효율 배터리 개발, 스마트 제조, 친환경 공정, 리사이클링 및 배터리 재사용 등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춰 Yokogawa는 배터리 제조공정 전반에서 자동화 및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들이 미래 배터리 산업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Q. 올 2025년 전기자동차 및 이차전지 시장, 관련자동화 시장전망을 어떻게 하십니까?
A. 2025년 2차 전지 시장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수요 증가가 이러한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이며, 이에 따라 배터리 시장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자동차 판매의 10%를 2025년도에 전기차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40년에는 전 세계 자동차의 31%가 전기차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확대로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설치 증가는 배터리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35년까지의 배터리 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약 14%로 전망되며 생산 능력도 3~4배로 증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배터리 기술 혁신은 지속될 것이며 경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늘어난 생산의 증가와 다양한 기술혁신에 따라 제조공정의 자동화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생산 효율성 향상과 품질 관리 강화를 위한 자동화 솔루션의 도입이 가속화될 전망됩니다.
다만,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정책 변화와 시장 상황에 따라 성장률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핵심 배터리 재료 확보 및 공급망 안정화는 시장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상할 것입니다.
Q. 배터리 분야 시장 확대를 위한 한국요꼬가와의 전략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스마트 그리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등의 확산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요꼬가와(Yokogawa Korea)는 배터리 제조공정의 자동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친환경화 및 글로벌 협력 강화를 핵심 전략으로 삼아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