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1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리는 상황
스윙 중 손목에 힘이 많이 들어 있거나 다운을 상체로 시작하게 되면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리며 콕킹이 빠르게 풀리는 만큼 체중의 이동이 어려워 그만큼 뒤땅이 쉽게 난다. 먼저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려지는 원인을 살펴보자.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리는 원인
1. 위크 그립으로 잡아 백 스윙시 손목의 콕킹을 쉽게 할 수가 없는 경우.
2. 어드레스에서 손목에 힘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
3. 톱에서 손목의 콕킹이 적은 경우.
4. 다운을 하체로 하지 못하고 상체로 하게 되면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려 거리와 방향, 일관성까지 잃어 버리게 된다.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리면 생기는 현상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빠르게 풀리면 볼에 클럽 헤드가 임팩트 되기도 전에 뒤땅을 때리게 되거나 볼 위를 임팩트 하게 되어 거리를 크게 잃게 되고 방향과 일관성까지도 떨어지게 된다.
다운시 적절한 손목의 움직임
|
|
|
다운의 전환
톱에서 다운을 하체로 시작하며 손목을 사용할 틈도 없이 오른 어깨가 떨어지며 자연스레 손목의콕킹이 유지되어 다운의 전환이 된다.
|
딥 다운
다운의 전환을 지나 두다리에 의해 하체의 턴이 계속 이루어지면 클럽헤드의 무게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레 떨어지게 된다.
|
임팩트
다운시 하체의 턴이 멈충지면 클럽헤드가 먼저 볼을 임팩트 시키겠지만 하체의 턴이 계속 이루어지면 다리-허리-어깨-손-클럽헤드에 의해 임팩트 되므로 거리와 방향, 일관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교정방법
1. 손목의 힘을 먼저 빼기 위해 왜글을 해보자. 그리고 스윙(그립은 단단히 잡아야 한다)
2. 현재 어드레스에서 척추의 각을 조금 내리면 손목의 각이 조금 더 커져 백스윙 시 손목의 콕킹이 쉬워진다.(그러나 드라이버는 조심해야한다)
3. 위크 그립을 잡고 백 스윙을 하면 손목의 턴이 쉬워지므로 약간은 스트롱 그립으로 잡고 백 스윙하면 손목의 힘도 빠지고 손목의 콕킹이 쉬워져 다운 시 손목의 유지가 쉬워진다.
4. 톱의 자세에서 왼 팔과 클럽 샤프트의 각이 90°~100°도를 만들어 주면 손목에 힘이 빠져 다운 시 손목의 콕킹 유지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거리와 방향을 보장 받게 된다.
5.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을 유지하며 임팩트를 만들면 최고의 스윙이 되는데, 가장 확실한 방법은 다운 시 상체보다 하체의 움직임을 먼저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다운 시 하체를 타깃으로 밀어 오른 어깨가 밑으로 떨어지는 우리 몸의 원리를 스윙에 이용하면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을 풀지 않고 스윙이 가능해진다.
5-1. 다운을 하체로 시작하면 자연스레 오른 어깨가 밑으로 떨어진다는 원리를 이용해 보면 톱에서 어깨가 밑으로 떨어지는 만큼 그대로 손과 클럽 헤드가 밑으로 떨어져 손목의 콕킹을 풀 여유도 없어져 자연스레 다음 동작으로 이어져 딥 다운까지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다운 시 하체가 타깃으로 빠져 나가는 만큼 상체는 힘이 빠져 다운 시 손목의 콕킹 유지는 자연스레 이루어져 거리와 방향을 보장 받게 된다.
|
|
|
|
톱 |
다운 전환 |
딥 다운 |
임팩트 |
본래 다운 시 손목 콕킹의 유지는 손에 힘이 빠지고 톱에서 손목의 콕킹이 90° 이상이 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다운 시 손목의 콕킹이 유지되므로 일부러 유지하려고 자세를 만들다 보면 더 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므로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교정이 더욱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