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는 용어가 복잡하고 어렵다. 많은 골퍼들이 골프 용어에 대해 대강의 뜻은 짐작하면서
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멋진 골퍼가 되려면 실력과 매너도 좋아
야 하지만 골프 용어도 잘 알아야 한다. 골프용어는 정확하게 알고 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골프 용어는 R&A Rules Limited(R&A규칙 유한회사)와 USGA(미국골프협회)가 4년마다 제정하는 골프 규칙집 앞 부분(2012-2015 골프규칙의 경우 제2장)에 나와 있다. 그러나 여기서 소개된 골프 용어는 62개 항목(* 표시)에 불과하다.
나머지 용어에 대해선 특별하게 그 의미를 규정하거나 제한하는 곳이 없다. 골프가 오랜 역
사를 거쳐 발전해오면서 골퍼들이 그렇게 사용하면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을 뿐이다.
골퍼들이 알아둬야 할 골프 용어들을 영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세 차례(상, 중, 하)에 걸쳐 나눠 싣는다. 용어 중 R&A Ru le s Limited와 USGA가 정의한 용어는 대한골프협회가 2012년 1월 1일 발간한 골프규칙 2012년도 판(제32판)을 참고해 일체의 가감없이 그대로 인용했다.
김대진 편집국장
( G )
갤러리 (Gallery)
골프 시합을 관전하는 관중.
제너럴 룰 (General Rule)
기본이 되는 규칙. 골프 협회가 정한 규칙.
김미 (Gimme)
프로 경기의 매치 플레이에서 홀의 승패가 결정났을 때, 아마추어 경기에서는 볼과 홀의 거리가 헤드에서 그립 전 샤프트 끝까지의 길이 안에 들어 있을 때 1타로 카운트하고 퍼트하지 않고도 홀아웃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함.
기브 업 (Give Up)
매치 플레이에서는 해당 홀을,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경기를 포기하는 것.
고잉 아웃 (Going Out)
일반적으로 생략해서 아웃이라고 한다. 코스 전반의 9홀을 말하며, 클럽하우스로부터 출발해 나가는 방향의 홀을 말한다.
고블 (Gobble)
그린 위에서 과감히 공을 홀에 강타해서 넣는 것.
골프 코스 (Golf Course)
골프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그라운드. 보통 20~30만평의 넓이를 차지한다. 링크스라고 하는 것은 골프코스와 마찬가지지만, 해안에 있는 시 사이드 (sea side)코스를 말한다. 내륙의 코스는 인 랜드코스라고 한다.
구스넥 (Goose Neck)
클럽헤드가 거위 머리 같이 굽어져 있는 퍼트를 말함.
그랜드 슬램 (Grand Slam)
1년 동안에 골프계의 4대 메이저 타이틀인 마스터즈, 브리티시오픈, US오픈, US PGA를 모두 석권하는 위업.
그라파이트 (Graphite)
최근에 개발된 탄소실을 사용한 골프 클럽 샤프트.
그린 (Green)
보통은 퍼팅하는 장소이며 경기 규칙에서는 플레이하는 홀에서 해저드를 제외하고 20, 30야드 이내의 퍼팅을 하기 위해 잘 관리돼 있는 구역을 말함.
그린 피 (Green fee)
코스의 사용료
그린 재킷 (Green Jacket)
우승자에게 입혀 주는 초록색 상의
그린 키퍼 (Green Keeper)
코스를 관리하는 사람
그립 (Grip)
양손으로 쥐는 클럽 샤프트의 윗부분으로 가죽이나 고무로 감겨져 있다. 또 사프트를 쥐는 동작을 그립이라고도 한다. 그립 레더도 줄여서 그립이라고 하며, 그립에는 오버래핑·인터로킹·내추럴 그립이 있다.
그로스 (Gross)
핸디캡 수를 계산치 않은 라운드의 총 타수. 토털이라고 함.
* 수리지 (Ground Under Repair, GUR)
수리지란 위원회의 지시에 의하여 수리지로 표시되거나 위원회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은 사람에 의해 수리지로 선언된 코스의 일부구역을 말한다.
수리지 안에 있는 모든 지면과 풀, 관목, 나무, 또는 기타 생장물은 수리지의 일부분이다. 수리지에는 그 표시가 없어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쌓아 놓은 물건과 그린 키퍼가 만든 구멍이 포함된다. 다른 곳으로 옮길 의사가 없이 방치되어 있는 깎아 놓은 풀과 기타 코스 위에 남겨 놓은 물건은 그 표시가 없는 한 수리지가 아니다. 수리지의 한계가 말뚝으로 정해졌을 때 그 말뚝은 수리지 안에 있는 것으로 하며 수리지의 한계는 말뚝의 지표면에 접한 가장 가까운 수리지 바깥쪽 지점들에 의하여 정해진다.
수리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말뚝과 선 양쪽을 사용한 경우 말뚝은 수리지라는 것을 확인하고 선은 수리지의 한계를 정한다. 수리지의 한계가 선으로 지상에 정해졌을 때 그 선 자체는 수리지 안에 있는 것이다. 수리지의 한계는 수직 아래로 연장될 뿐 위로는 아니다.
볼이 수리지 안에 놓여 있거나 볼의 어느 일부가 수리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그 볼은 수리지 안에 있는 볼이다. 수리지의 한계를 정하기 위하여 또는 수리지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 말뚝은 장해물이다.
단, 위원회는 수리지에서 또는 수리지로 정해진 환경상 취약지역에서 플레이를 금지하는 로컬룰을 제정할 수 있다.
( H )
하프 (Half)
스코어가 동수인 것. 즉 홀이 동수의 스트로크, 핸디캡에 의해 양자가 동점이 되는 것.
하프 샷 (Half Shot)
풀 스위의 반 정도의 힘으로 치는 샷. 거리에 따라 백 스윙을 줄여서 타구하는 것을 말한다.
하버드 매치 (Halved Match)
승부가 나지 않고 무승부로 된 경기.
핸드 다운 (Hand Down)
어드레스할 때 두 손으로 누르는 듯한 자세.
핸디캡(Handicap)
플레이어의 역량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기준타수를 기준으로 하여 각자의 기량 능력에 따라 차이를 정하는 것이다. 대개 1개월간 3매(枚)?5매(枚)의 카드를 핸디캡위원에게 제출하면 위원이 이것을 결정한다. 줄여서 핸디라고 한다.
핸디캡 디퍼렌셜 (Handicap Differential)
10매(枚)의 베스트 스코어 카드에서 야디지 레이팅을 뺀 것의 100분의 85를 핸디로 정하는 것.
행잉 라이 (Hanging Lie)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에 볼이 있는 것.
하드럭 (Hard Luck)
악운, 배드 럭과 같은 말.
* 해저드(Hazard)
모든 벙커 또는 워터 해저드를 말한다.
헤드 커버 (Head Cover)
클럽의 헤드부분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헝겊이나 가죽 등으로 입힌 커버.
헤드 스틸 (Head Still)
스윙을 행할 때 머리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는 것.
헤드 업 (Head Up)
볼을 친 순간 머리가 올라가는 것을 말함.
힐 (Heel)
플레이어의 발꿈치. 클럽헤드의 뒤부분.
히코리 샤프트 (Hickory Shaft)
히코리는 호두나무과의 단단한 나무이다. 1900년초에 현재의 스틸 샤프트가 출연하기 전까지 클럽 샤프트가 모두 히코리였다.
히팅 에어리어 (Hitting Area)
다운 스윙으로 볼을 히트하는 위치. 히팅 존이라고도 한다.
* 홀 (Hole)
그린에 만들어진 볼을 넣는 구멍. 홀의 직경은 4.25인치(108㎜)이어야 하며 깊이는 4인치(101.6㎜) 이상이어야 한다. 원통을 사용할 경우 그 원통은 토질이 허용하는 한 퍼팅 그린 면에서 적어도 1인치(25.4㎜) 아래로 묻어야 한다. 또 원통의 외경(바깥지름)은 4.25인치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홀에 들어가다 (Holed)
볼이 홀의 원둘레 안에 정지해 있으며 볼 전체가 홀 가장자리보다 아래에 있을 때 그 볼은 “홀에 들어갔다”라고 말한다.
홀레이블 디스턴스 (Holable Distance)
원 퍼트로 홀인시킬 수 있는 거리.
홀인원 (Hole in one)
티잉 그라운드에서 첫 번째로 친 볼이 직접 홀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홀 매치 (Hole Match)
홀에 볼을 넣어 한 홀의 플레이가 끝나는 것.
홀 아웃 (Hole Out)
한 홀의 플레이가 끝나는 것.
홈 (Home)
18번의 그린을 말하거나 또는 후반의 홀을 가리키는 말이다.
홈 코스 (Home Course)
자기가 소속한 클럽의 골프 코스.
* 아너 (Honour)
티잉 그라운드에서 가장 먼저 플레이하는 플레이어가 “아너”를 갖는다고 한다. 앞 홀에서 타수가 적은 사람이 다음 티 아너의 자격자가 된다.
훅 (Hook)
우타자의 플레이어의 경우, 타구가 볼의 비구선보다 왼쪽으로 돌아 날아가는 것.
호젤 (Hosel)
아이언 클럽 헤드를 샤프트에 고정할 때에 가운데 공간 부분.
( I )
이미지너리 라인 (Imaginary Line)
볼과 홀을 이은 선을 그린 위에 상징하는 것으로 그 선상에 볼을 치는 것처럼 한다.
임팩트 (Impact)
클럽 헤드가 골프 볼에 맞는 순간을 말한다.
인 (In)
18홀중 후반의 9홀 10번부터 18번까지 말함.
인 바운드 (In Bound)
플레이 할 수 있는 구역. 플레이 금지구역(OB)의 경계선은 보통 흰색으로 표시됨.
인 코스 (In Course)
18홀중 후반의 9홀 10번부터 18번까지를 말함. 또는 백 나인이라고도 한고 단순히 「인」이라고도 한다.
인 플레이 (In Play)
플레이어가 티에서 볼을 최초로 스트로크하기 시작해서 홀에 넣을 때까지의 볼이 살아 있는 상태를 말함.
인사이드 아웃 (Inside Out)
클럽헤드를 볼의 비구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스윙해서 쳐 내는 것.
인텐셔널 (Intentional)
의식적으로 볼을 커브로 타구하는 것을 인텐셔널 슬라이스라고 하는 것과 같다.
인터로킹 그립 (Interlocking Grip)
비교적 힘이 약한 사람에게 적합하며 오른손의 소지를 왼손의 인지 밑으로 넣어 클럽을 잡는다.
아이언 클럽 (Iron Club)
헤드의 부분이 금속으로 되어 있는 클럽을 말하며 길이, 무게, 각도 등의 차이에 따라 1번 아이언부터 9번 아이언까지 있다.
아이언 플레이 (Iron Play)
아이언 클럽을 사용해서 플레이 하는 것.
( J )
저크 (Jerk)
타이밍· 리듬이 맞지 않은 채 급격한 스윙으로 클럽헤드를 휘두름으로써 볼이 올바른 궤도에서 벗어나는 것.
지거 (Jigger)
러닝샷용의 클럽으로 어프로치에 쓰이는 아이언의 일종. 미드 아이언과 매시의 중간의 클럽을 말한다.
( K )
니 액션 (Knee Action)
무릎을 쓰는 방법. 볼을 멀리 치는데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 L )
라스트 골 (Last Goal)
1년 중 가장 마지막으로 하는 경기. 대부분 그 해의 마지막 일요일에 행하며 그 해 경기의 우승자는 참가할 수 없다.
래터럴 워터 헤저드 (Lateral Water Hazard)
"래터럴 워터 해저드“란 규칙 26-1b에 따라서 그 워터 해저드 후방에 볼을 드롭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위원회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인정한 위치에 있는 워터 해저드 또는 그 일부를 말한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 안에 있는 모든 지면과 물은 그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일부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가 말뚝으로 정해졌을 때 그 말뚝은 래터럴 워터 해저드 안에 있는 것으로 치며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는 말뚝의 지표면에 접한 가장 가까운 래터럴 워터 해저드 바깥쪽 지점들에 의하여 정해진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말뚝과 선 양쪽을 사용한 경우 말뚝은 래터럴 워터 해저드라는 것을 확인하고 선은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를 정한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가 선으로 지상에 정해졌을 때 그 선 자체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 안에 있는 것이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는 수직 위와 아래로 연장된다.
볼이 래터럴 워터 해저드 안에 놓여 있거나 볼의 어느 일부가 래터럴 워터 해저드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그 볼은 래터럴 워터 해저드 안에 있는 볼이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를 정하기 위하여 또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 말뚝은 장해물이다.
주1) : 워터 해저드의 일부를 래터럴 워터 해저드로 할 때는 그 부분은 명확히 표시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한계를 정하기 위하여 또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 말뚝이나 선은 반드시 적색이어야 한다.
주2) : 위원회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로 정해진 환경상 취약지역에서 플레이를 금지하는 로컬 룰을 제정할 수 있다.
주3) : 위원회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를 워터 해저드로 정할 수 있다.
레이 아웃 (Lay Out)
코스의 설계. 코스의 배치.
레프트 핸드 플레이어 (Left Hand Player)
왼손잡이 플레이어.
렝스 (Length)
거리.
라이 (Lie)
떨어진 볼의 위치 또는 상태.
라인 (Line)
방향을 정하기 위해 볼과 목표물을 연경하는 선.
* 플레이 선 (Line Of Play)
"플레이 선“이란 플레이어가 볼을 쳐서 보내고자 하는 방향을 말하며 의도하는 그 방향 양쪽의 적절한 넓이를 포함한다. 플레이선은 지면에서 수직 위로 연장되지만 홀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라인 오브 플라이트(Line Of Flight)
볼의 비구선, 볼의 위치에서 판단해서 볼과 목표점을 연결한 직선 및 연장선을 말한다.
* 퍼트 선 (Line Of Putt)
"퍼트 선“이란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어가 볼을 쳐서 보내고자 하는 선을 말한다. 규칙 16-1e에 관한 경우를 제외하고, 퍼트 선은 플레이어가 의도하는 그 선 양쪽의 적절한 넓이를 포함한다. 퍼트선은 홀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라인 업 (Line Up)
퍼팅에서 볼과 홀을 연결하는 선을 눈으로 정하는 것.
링크스 (Links)
보통은 골프 코스를 의미하지만 원래는 해변 코스를 말한다.
립 (Lip)
벙커의 경계선. 또 모래위의 바깥에서부터 풀이나 흙이 덮여 있는 부분.
로컬 룰 (Local rule)
각 코스의 특수 조건 때문에 그 코스에서만 적용되는 지역적 규칙.
로프트 (Loft)
클럽 페이스의 경사 또는 각도.
롱 아이언 (Long iron)
보통 1번부터 3번까지의 아이언.
룩 업 (Lock Up)
헤드 업. 볼을 친 순간 고개를 들어 목표 방향을 주시하는 것. 좋지 않은 버릇을 시정하여야 한다.
루스 그립 (Loose Grip)
단단하지 않게 그립을 잡는 것을 말한다.
* 루스 임페디먼트 (Loose Impediments)
"루스 임페디먼트“란 자연물로써
○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새장하지 않으며
○ 땅에 단단히 박혀 있지 않고
○ 볼에 달라붙어 있지 않은 것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즉,
○ 돌, 나뭇잎, 나무의 잔가지, 나뭇가지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
○ 동물의 똥
○ 벌레, 곤충 및 이와 유사한 것들 그리고 그것들이 파내 놓은 흙과 퇴적물 모래와 흩어진 흙은 퍼팅 그린에 있을 때에는 루르 임페디먼트이나 다른 곳에 있을 때에는 아니다.
서리 이외의 눈과 천연 얼음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서 캐주얼 워터 또는 루스 임페디먼트로 취급할 수 있다. 이슬과 서리는 루스 임페디먼트가 아니다.
* 분실구 (Lost Ball)
분실된 공.
다음과 같은 경우는 볼이 “분실”된 것으로 간주한다.
a. 플레이어, 플레이어 편 또는 이들의 캐디가 볼을 찾기 시작하여 5분 이내에 볼이 발견되지 않거나 플레이어가 자신의 볼임을 확인하지 못하였을 때
b. 플레이어가 원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장소에서 또는 그 장소보다 홀에 더 가까운 지점에서 잠정구를 스트로크했을 때 (규칙 27-2b 참조)
c. 플레이어가 규칙 26-1a, 27-1 또는 28a에 의하여 스트로크와 거리의 벌을 받고 다른 볼을 인 플레이로 했을 때
d. 발견되지 않은 볼이 국외자에 의하여 움직였거나 (규칙 18-1 참조), 장해물 안에 (규칙 24-3 참조) 있거나,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규칙 25-1c) 안에 또는 워터 해저드 (규칙 26-1b 또는 26-1c) 안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거나 사실상 확실하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다른 볼을 인플레이로 했을 때
e. 플레이어가 교체한 볼을 스트로크 했을 때 오구(誤球)를 플레이하는 데 보낸 시간은 찾기 위하여 허용된 5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로스트 홀 (Lost hole)
진홀, 매치 플레이의 용어.
( M )
* 마커 (Maker)
"마커“란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경기자의 스코어를 기록하도록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하며 동반 경기자도 마커가 될 수 있다. 마커는 심판원이 아니다.
마샬 (Marshal)
경기 위원회로부터 임명된 장내 정리인.
매시 (Massie)
아이언 클럽 중 5번에 해당하는 로프트를 가진 것을 말함. 스페이드 매시라든지 매시 니블릭이란 것은 매시보다 조금씩 로프트가 많은 것으로 6번 또는 7번에 상당하는 것임.
매시 니블릭 (Massie niblick)
7번 또는 8번 아이언 클럽을 말함.
마스터 아이 (Master Eye)
공을 볼 때에 주로 잘 쓰는 쪽의 눈.
매치 플레이 (Match Play)
경기의 일종으로 홀 매치라고도 한다. 2인 또는 2조로 각 홀별 승패를 정하는 것.
메달 플레이 (Medal Play)
정식으로는 스트로크 플레이라고 한다. 규정된 홀의 라인드에서 플레이어의 타수를 각기 합계해서 가장 적은 타수의 플레이어가 우승하는 경기.
미디엄 아이언 (Medium Iron)
아이언의 4 · 5 ·6번. 미들 아이언이라고도 한다.
멘탈 해저드 (Mental Hazard)
심리적인 장해물. 아무리 해도 빠져나가기 힘든 벙커 등에서의 노이로제처럼 그곳에 오면 잘되지 않는 것을 말함.
미들 아이언 (Middle Iron)
4번, 5번, 6번의 아이언. 미디엄 아이언이라고도 부른다.
미들 홀 (Middle Hole)
230?430미터의 홀. 여자인 경우는 190?360미터의 홀.
믹스트 포섬 (Mixed Foursome)
남녀 혼합의 양 사이드로 시합하는 플레이. 투 볼 포섬과 같지만, 짝은 반드시 남녀이어야 함.
* 움직인 또는 움직여진 볼 (Move Or Moved)
볼이 있는 위치를 떠나서 다른 장소에 가서 정지하였을 때 그 볼은 “움직인” 것으로 본다.
( N )
낫소 (Nassau)
1라운드에서 아웃, 인, 토털의 3종의 승부를 하는 게임의 방식.
친한 플레이어 동지끼리 매치 플레이를 할 때 잘 쓰인다.
내츄럴 골퍼 (Natural Golfer)
자연스런 폼을 몸에 익힌 골퍼. 천부의 재능을 가진 골퍼, 또는 소년시절부터 플레이를 한 사람으로 본 골퍼(born golfer)라고도 한다.
내추럴 그립 (Natural Grip)
그립의 한 방법으로 야구 배트를 쥐듯이 쥔다. 열 손가락으로 그립하며, 일명 베이스 볼 그립이라고 함.
*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 (Nearest Point Of Relief)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이란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규칙 24-2),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 (규칙 25-1) 또는 다른 퍼팅 그린 (규칙 25-3)에 의한 방해로부터 벌 없이 구제를 받을 때의 기점을 말한다.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은 볼이 놓여 있는 곳에 가장 가까운 코스 위의 한 지점으로
1) 홀에 더 가깝지 않고
2) 구제를 받고자 하는 상태가 그곳에 없었다면 플레이어가 볼이 있는 원위치에서 스트로크 하는 것과 똑같이 방해를 받지 않고 스트로크 할 수 있는 곳이다.
주) :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스트로크를 위한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고 치는 방향을 잡아 스윙을 해보면서, 만일 구제를 받고자 하는 그런 상태가 그곳에 없었다면 사용했을 클럽을 사용하여야 한다.
넥 (Neck)
클럽헤드가 샤프트와 연결되는 부분.
네트 스코어 (Net Score)
1라운드의 총 타수에서 자기 핸디캡을 뺀 타수. 그냥 네트라고도 한다.
네버 업 네버 인 (Never Up Never In)
홀까지 오지 않은 볼은 홀에 결코 들어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퍼트는 홀에 가고도 남도록 볼을 쳐야 한다는 교훈의 말이다.
니블리크 (Niblick)
9번 아이언을 말함.
노우 리턴 (No Return)
경기자가 플레이를 포기하고 스코어 카드를 제출치 않는 것. NR이라고 약자를 표시한다.
<월간 골프가이드 2016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