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가이드 김백상 기자] KPGA 코리안투어는 올시즌 19개 대회를 개최하면서 지난 시즌 13개 대회와 비교해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까지 이뤘다. 2008년 20개 대회 이후 두 번째로 많은 대회를 개최하면서 국내 투어를 떠나 해외 투어를 쫓아 떠난 많은 선수들이 다시 국내 무대로 돌아왔다. 그렇게 활기를 띠며 시작한 KPGA 코리안 투어는 매 경기 박진감 넘치는 승부를 보인 선수들로 끊임없는 스토리를 만들어 냈다. 특히 선수들은 여러 새로운 기록들을 세우며 한층 성숙된 기량을 선보였다. 2017년 코리안투어의 한 해를 마무리하는 'KPGA 제네시스 대상 시상식'(12월 14일)을 보름 앞으로 남겨두고 올 시즌 KPGA 코리안투어의 주요 이슈는 무엇이 있었는지 총 2부로 정리해 봤다
장이근, 새로운 대형 신인 스타 탄생
국내 투어 시드가 없어 해외 투어를 전전하던 장이근(24)은 내셔널타이틀 ‘코오롱 제60회 한국오픈’ 에서 연장 접전 끝에 우승을 차지하며 혜성처럼 등장했다. 이후 ‘티업ㆍ지스윙 메가 오픈 presented by 드림파크CC’ 에서도 우승을 하며 깜짝 우승이 아닌 탄탄한 실력을 가진 선수란 걸 입증했다.
특히 장이근은 티업ㆍ지스윙 메가 오픈에서 4라운드 합계 28언더파 260타를 기록하며 KPGA 코리안투어 역대 72홀 최다언더파와 최저타수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이전까지는 2016년 ‘카이도코리아 투어챔피언십’에서 이형준(25, JDX멀티스포츠) 기록한 26언더파 262타였다.
어느덧 KPGA 코리안투어 선수들의 뜨거운 열정과 끈기를 온 몸으로 느꼈던 2017 시즌은 다양한이슈와 기록들을 남기고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KPGA 코리안투어의 주인공은 단연 선수들이다. 하지만 팬들이 외면하는 투어는 의미가 없다. 내년에도 다이내믹한 경기와 수준 높은 기량을 위해선 선수 자신들도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올 시즌을 위해 선수, 협회, 방송사 등 투어 관계자들은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를 시도했고 성과도 얻었다. KPGA 코리안 투어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선 올 시즌 성공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잘 분석해 2018 시즌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사진 = KPGA 제공)
<월간 골프가이드 2017년 11월 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