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와이어)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개발한 생분해성 어구 보급 활성화를 위해 7월 19일부터 전국 4개 지역(강원·경북·전남·제주)에서 지자체, 어업인 및 수협중앙회를 대상으로 현장지원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강원 삼척(7월 19일), 경북 영덕(7월 20일), 전남 목포, 제주 한림지역 순회 개최
이번 설명회에서는 생분해성 어구 개발 현황과 어획성능을 알리고, 각 시·도별 생분해성 어구의 시범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현장의 소리를 청취할 예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유령어업으로 인한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수중에서 약 2년이 경과하면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류)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어구를 2007년부터 현재까지 21종을 개발했다.
※ 유령어업: 바다에 버려진 나일론 재질의 어구나 그물에 물고기가 걸려 죽고, 또 그 물고기를 먹기 위해 접근한 다른 물고기들이 연속적으로 걸려 죽는 현상
생분해성어구는 2007년부터 경북 울진에서 대게자망 어업인에게 보급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국 6개도에서 어선 약 400여 척을 대상으로 대게자망, 참조기자망과 붕장어통발 등 8종류의 어구를 보급해 왔다.
※ 2015년 보급 실적은 어선 총 380척, 자망 114,000폭/ 통발 260,000개
올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 시범사업 예산이 전년도(2015년 국비 30억원)에 비해 대폭 증액된 46억원으로 보급 확대와 해양생태계 보호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 보조금사업: 일반그물과 생분해성그물의 차액 보조(국고 70%, 지자체 30%)
양용수 수산공학과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문제점을 확인해 어업인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051-720-2560
이 뉴스는 기업·기관이 발표한 보도자료 전문입니다.
※ 강원 삼척(7월 19일), 경북 영덕(7월 20일), 전남 목포, 제주 한림지역 순회 개최
이번 설명회에서는 생분해성 어구 개발 현황과 어획성능을 알리고, 각 시·도별 생분해성 어구의 시범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현장의 소리를 청취할 예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유령어업으로 인한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수중에서 약 2년이 경과하면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류)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어구를 2007년부터 현재까지 21종을 개발했다.
※ 유령어업: 바다에 버려진 나일론 재질의 어구나 그물에 물고기가 걸려 죽고, 또 그 물고기를 먹기 위해 접근한 다른 물고기들이 연속적으로 걸려 죽는 현상
생분해성어구는 2007년부터 경북 울진에서 대게자망 어업인에게 보급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국 6개도에서 어선 약 400여 척을 대상으로 대게자망, 참조기자망과 붕장어통발 등 8종류의 어구를 보급해 왔다.
※ 2015년 보급 실적은 어선 총 380척, 자망 114,000폭/ 통발 260,000개
올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 시범사업 예산이 전년도(2015년 국비 30억원)에 비해 대폭 증액된 46억원으로 보급 확대와 해양생태계 보호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 보조금사업: 일반그물과 생분해성그물의 차액 보조(국고 70%, 지자체 30%)
양용수 수산공학과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문제점을 확인해 어업인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051-720-2560
이 뉴스는 기업·기관이 발표한 보도자료 전문입니다.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홈페이지 : http://www.nfrd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