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라 대책반 운영 종료 및 상시 관리 체계 전환 국내 발생 사례인 세 번째 환자가 확인된 이후 36일 동안 추가 환자 발생 없어
임단비 2016-10-06 19:30:02

질병관리본부는 8월 22일부터 운영하던 콜레라 비상 대책반 운영을 10월 6일부로 종료하고, 상시 관리 체계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경상남도는 10월 5일 오후 콜레라 대응 유관 기관 회의를 통해 이번 국내 콜레라 발생 상황으로 인한 추가적인 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고, 그간 주요 조치와 향후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올해 국내 콜레라 확진 환자는 현재까지 총 4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동일 감염원에 의한 국내 산발적 발생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1명은 해외 유입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확진 환자 4명은 모두 퇴원하여 일상 생활 중이며, 국내 산발적 발생 사례인 세 번째 환자가 확인된 8월 30일 이후 현재까지 추가 환자 발생은 없다.

한편, 8월 22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179개 지점 1,214건의 해수검사에서 양성 1건을 제외한 1,213건 모두 음성이었으며, 양성 검체가 채취된 9월 5일 이후 동일한 지점에서 추가 채취한 검체에서도 모두 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8월 26일부터 9월 30일까지 거제 위판장 8개소를 포함한 전국 41개소의 위·공판장 및 수산물 도매시장의 해수와 어패류를 대상으로 콜레라균을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식품접객업소 위생관리를 위해 콜레라 발생 지역 인근 음식점의 수산물 및 수족관물을 대상으로 콜레라균을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10월 6일부터 콜레라 발생 이전의 상시 관리 체계로 전환하여 콜레라 비상 대책반 운영을 종료하고,

 

수양성 설사 환자 모니터링도 하절기 비상방역 근무 기간(‘16.5.1∼9.30)에 맞추어 종료하였다고 밝혔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