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 유래 유용단백질 대량생산기술, 미국 특허 받아 유용단백질 대량 생산 위해 민간 기업 등과 협력 추진 예정
임단비 2016-11-10 18:07:17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이 개발한 해양생물로부터 추출한 성장호르몬, 접착단백질 등 유용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이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2012년 세계 최초로 재조합신호염기서열(recombination sequence signals, RSSs)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유용단백질의 추출률을 향상시키는 ‘수용성 재조합 단백질 생산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난 9월 미국 특허 등록(US 9,422,356 B2)에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 유용단백질은 대장균 등 조작이 쉽고 낮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하여 왔다. 그런데 생산된 단백질이 대장균의 세포막을 통과하면서 3차원 입체구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원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연구진은 재조합신호염기서열을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홍합의 접착 단백질 등 추출을 원하는 성분이 3차원 입체모양 그대로 대장균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여 유용단백질 생산율을 높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미국 특허 등록 후 3차례에 걸쳐 부산·경남지역의 관련 업체를 방문하여 기술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제이엔에스텍 등 화장품, 사료 첨가제 생산 업체들은 동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안철민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장은 “해양수산부는 국정과제인 ‘해양신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수산시험연구사업으로 동 기술을 개발하였다.”라면서, “앞으로 홍합의 접착단백질, 넙치의 항균 펩타이드 등과 같은 해양생물 유래 성분을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민간 기업과 기술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관심 있는 기업은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연락처: 051-720-2450)로 연락 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