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황해/발해 환경 오염물질의 환경과정 연구 성과
이명규 2014-07-28 16:47:00

 캡처.JPG

<사진. 황해/발해 연구지역과 연구사로 설명도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중국, 황해/발해 환경 오염물질의 환경과정 연구 성과

 

환경 오염물질(Emerging Contaminants, ECs)은 환경에서 새로 검출된 일련의 화합물을 가리키며 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농도로 환경에 존재하고 있지만 인체와 생태계에 대해 비교적 건강 리스크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검출방법과 기술 수단의 제한성으로 말미암아, 현재 중국 전국적인 범위 내에서 환경오염물질이 환경에 관련된 연구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적기에 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제한되어 있다.

"현재 사용 중인 농약(Current-Use Pesticides, CUPs)"은 현재 비교적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일종의 환경오염물질로서 현재 줄곧 생산하고 사용하고 있는 일련의 농약이 포함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부의 CUPs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의 일부분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인체와 생태계에 대해 건강리스크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중국은 세계에서 농약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대국으로서 현재 CUPs가 중국 환경, 특히 해안대 지역 환경에서의 분포, 내원 및 트랜드 등 영역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직접 얻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부족하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학원 연태(Yantai city) 연안지대(coastal zone)연구소 연안 대기 유기오염 과정 및 모의과제팀은 대기와 해수에서 미량의 유기 오염물질을 채집하는 기기와 방법을 개발하고 제조한 기초에서 황해/발해 개방해역에서 대기, 물과 침적물 샘플을 대량으로 채집하고 그 중의 CUPs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가 다양한 환경 매개체에서의 분포 특징과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CUPs는 대기와 해수에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현재의 사용량을 설명한다. 대기환경에서 CUPs는 주로 기상(vapor)에 존재하고 과립상에서는 비교적 적은데 이는 대기 농도와 구성 및 기단(air mass) 유동지역에서의 사용과 관련된다. 표층 해수에서 CUPs는 주로 수상에 존재하고 과립 상에서는 비교적 적은데 하구(estuary)와 해만은 비교적 높은 CUPs 농도를 가지고 있기에 하천이 CUPs가 바다에 흘러 들어가는 주요 경로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도산모델(Fugacity model)을 이용하여 CUPs가 바다-공기 인터페이스에서의 교환과정과 유속을 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중국은 최근 몇 년에 중국이 대량으로 사용한 농약[예를 들면, 엔도설판(endosulfan), 디코폴(dicofol)과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등]은 비교적 강한 공기에서 물로 침적하는 추세를 나타냈지만 사용량이 작은 펜타클로로 니트로벤젠(pentachloronitrobenzene, PCNB)과 크로탈 디메틸(chlorthal-dimethyl)의 침적 추세는 비교적 약해지며 클로스 피리포스(chlorpyrifos)와 트리풀루라린(trifluralin)은 휘발성이 위주이다.

관련 연구성과는 이미 국제저널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2014, 119:1073-1086)와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2014, DOI: 10.1007/s11356-014-2648-7)에 발표되었다. 이상의 연구성과는 중국 현재 사용 중 농약 등 화학품의 환경 리스크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데이터와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http://mirian.kist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