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 엔진 단 부산 플랜트 산업
부산을 해양플랜트 기술 개발의 중심지로 육성하는 사업이 잇따라 정부 예산을 확보했다.
신규사업을 최소화하는 예산편성 기조에도 불구하고 해양플랜트 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등이 정부 예산안에 포함되면서 플랜트산업이 부산의 '대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향후 해양경제특별구역 지정이 현실화되면 플랜트산업에 대한 투자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9월 15일 "부산 강서구에 추진되는 '해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과 '해양플랜트기자재 수출기반 조성사업' 등에 대해 정부가 국비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의 경우 국내 업체들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 '설계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은 건조영역에 편중돼 설계부문은 해외 전문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 이 때문에 국내 업체는 설계기간 연장 등에 따른 손실을 입고 있다.
연구기반 구축사업에는 내년부터 5년간 총 사업비 498억 원(국비 268억 원, 지방비 135억 원, 민간 9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기획재정부가 현재 마지막으로 심사작업을 하고 있는 내년 예산안에 국비 20억 원이 편성됐다.
해양플랜트기자재 수출기반 조성사업은 국내 기자재 수출업체들이 국제 규격이나 인증을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국내 중소 조선해양기자재업체들이 해외인증을 획득하는데 평균적으로 900만 원 정도가 들고 기간도 7개월 정도가 소요돼 부담이 크다는 것이 관계당국의 분석이다.
국제인증 획득 과정에서 기술표준동향을 신속히 전달하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 앞으로 5년간 국비 47억 원이 투입되며 내년 예산안에 5억 원이 편성됐다.
부산 강서구는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을 위한 실험시설인 '심해 해양공학수조'가 구축되는 지역으로 향후 플랜트 기술개발의 중심지가 될 전망. 국내 대형 플랜트업체들이 자리잡은 거제와 울산의 중간 지역에 있어서 플랜트 업계에서도 '전략적 요충지'로 보고 있다.
■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http://budget.n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