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와이어) 제주도 특산품인 옥돔의 어획량이 점점 줄어 수산자원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정영훈) 아열대수산연구센터(제주도 소재)는 지난 2007년 이후 제주 옥돔을 대상으로 매월 어획량, 산란 생태 등을 조사한 결과, 어획량은 줄어들고 자원상태는 나빠지고 있다고 밝혔다.
옥돔은 전국 총생산량의 90% 이상이 제주 주변해역에서 어획되는 어종으로, 1990년대 평균 1,947톤이었던 어획량이 2000년대에는 1,200여톤으로 어획량이 감소했다.
옥돔은 주로 연안연승(주낙) 어선에서 낚시를 사용해 어획하는데, 해마다 체장 25cm 이하의 어린새끼(미성어)의 어획비율이 점점 높아져 옥돔 자원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옥돔 미성어 어획비율: 2010년 23% → 2012년 46% → 2013년 53%(연안연승 기준)
※ 옥돔 생물학적 최소체장: 24.5 cm
이에, 아열대수산연구센터는 어린 옥돔은 보호하고, 어업인들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낚시바늘별(11호∼15호) 어획효율 조사를 위한 경제성 분석을 했다.
어린새끼를 잡는 바늘크기인 11호보다 크기가 큰 13호를 사용할 경우, 전체 옥돔 어획량은 약 30% 감소했지만 미성어의 어획비율이 크게 감소했고,
어업인들의 소득액은 오히려 증가해 11호보다는 13호를 사용하는 것이 옥돔 자원을 보호하는 동시에, 어업경영 측면에서는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낚시바늘별 옥돔 미성어 어획비율: 11호 52.9% → 13호 11.7%
한편, 아열대수산연구센터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정책에 활용토록 정부에 제출했으며, 옥돔 자원관리 포스터 배포와 어업인 교육을 통해 옥돔 자원 보호를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아열대수산연구센터 이승종 박사는 “어린 옥돔을 보호하고 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해, 연승어선에서 사용하고 있는 11호 낚시바늘을 13호로 교체해 줄 것을 어업인들과 정부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정영훈) 아열대수산연구센터(제주도 소재)는 지난 2007년 이후 제주 옥돔을 대상으로 매월 어획량, 산란 생태 등을 조사한 결과, 어획량은 줄어들고 자원상태는 나빠지고 있다고 밝혔다.
옥돔은 전국 총생산량의 90% 이상이 제주 주변해역에서 어획되는 어종으로, 1990년대 평균 1,947톤이었던 어획량이 2000년대에는 1,200여톤으로 어획량이 감소했다.
옥돔은 주로 연안연승(주낙) 어선에서 낚시를 사용해 어획하는데, 해마다 체장 25cm 이하의 어린새끼(미성어)의 어획비율이 점점 높아져 옥돔 자원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옥돔 미성어 어획비율: 2010년 23% → 2012년 46% → 2013년 53%(연안연승 기준)
※ 옥돔 생물학적 최소체장: 24.5 cm
이에, 아열대수산연구센터는 어린 옥돔은 보호하고, 어업인들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낚시바늘별(11호∼15호) 어획효율 조사를 위한 경제성 분석을 했다.
어린새끼를 잡는 바늘크기인 11호보다 크기가 큰 13호를 사용할 경우, 전체 옥돔 어획량은 약 30% 감소했지만 미성어의 어획비율이 크게 감소했고,
어업인들의 소득액은 오히려 증가해 11호보다는 13호를 사용하는 것이 옥돔 자원을 보호하는 동시에, 어업경영 측면에서는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낚시바늘별 옥돔 미성어 어획비율: 11호 52.9% → 13호 11.7%
한편, 아열대수산연구센터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정책에 활용토록 정부에 제출했으며, 옥돔 자원관리 포스터 배포와 어업인 교육을 통해 옥돔 자원 보호를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아열대수산연구센터 이승종 박사는 “어린 옥돔을 보호하고 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해, 연승어선에서 사용하고 있는 11호 낚시바늘을 13호로 교체해 줄 것을 어업인들과 정부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홈페이지 : http://www.nfrd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