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와이어)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정영훈)은 오는 11일~12일 양일간 국가 및 지자체 등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모여 부산 해운대 아르피나에서‘수산생물질병 비상계획 수립을 위한 워크숍’및‘2014년도 중앙예찰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첫째 날 워크숍에서는 수산생물전염병에 대한 효율적 대응 체계수립을 통한 전염병 피해 최소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수산생물질병에 대한 비상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자 ▲수산관련 재난대응 체계 및 매뉴얼 소개(해수부 소득복지과) ▲가축 질병분야(구제역, 조류독감) 위기대응체계(농림축산검역본부 위기대응센터) ▲수산생물질병 비상계획 국제매뉴얼 소개(수산과학원 수산생물방역과) ▲수산생물질병 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부경대학교)에 대한 강연과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된다.
둘째 날에는 선진 예찰시스템 확립을 위해 정부 및 시·군·구의 협업에 의한 예찰 수행 일원화, 수산생물질병 조기차단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협의가 진행된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수산생물질병 예찰 우수사례 ▲양식장 폐사체(죽은 생물) 처리방안에 대한 발표 ▲2014년 예찰 실적 보고 ▲2015년 예찰 계획(안)에 대한 회의가 진행되고, 예찰우수기관과 개인포상을 실시한다.
※ 수산생물질별 관리법 제 3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5조, 수산생물전염병 예찰 및 방역 실시요령에 대한 고시에 의거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원활하고 효율적인 예찰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산생물질병 예찰협의회를 설치·운영하여야 함’.
수산생물방역과 박명애 과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수산생물질병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합리적인 위기관리 방안 마련으로, 국가 및 지자체의 통합방역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첫째 날 워크숍에서는 수산생물전염병에 대한 효율적 대응 체계수립을 통한 전염병 피해 최소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수산생물질병에 대한 비상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자 ▲수산관련 재난대응 체계 및 매뉴얼 소개(해수부 소득복지과) ▲가축 질병분야(구제역, 조류독감) 위기대응체계(농림축산검역본부 위기대응센터) ▲수산생물질병 비상계획 국제매뉴얼 소개(수산과학원 수산생물방역과) ▲수산생물질병 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부경대학교)에 대한 강연과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된다.
둘째 날에는 선진 예찰시스템 확립을 위해 정부 및 시·군·구의 협업에 의한 예찰 수행 일원화, 수산생물질병 조기차단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협의가 진행된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수산생물질병 예찰 우수사례 ▲양식장 폐사체(죽은 생물) 처리방안에 대한 발표 ▲2014년 예찰 실적 보고 ▲2015년 예찰 계획(안)에 대한 회의가 진행되고, 예찰우수기관과 개인포상을 실시한다.
※ 수산생물질별 관리법 제 3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5조, 수산생물전염병 예찰 및 방역 실시요령에 대한 고시에 의거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원활하고 효율적인 예찰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산생물질병 예찰협의회를 설치·운영하여야 함’.
수산생물방역과 박명애 과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수산생물질병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합리적인 위기관리 방안 마련으로, 국가 및 지자체의 통합방역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홈페이지 : http://www.nfrd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