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포·삼호 노조 “연봉 줄어드는 합의안 거부”
현대미포와 현대삼호의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잇달아 부결되며 연말까지도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커지고 있다.
노조 측은 실질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 협상을 진행해봐야 조합원들의 반발만 커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사측에서는 사상 최악의 실적악화 속에서도 최대한 양보한 만큼 복지 등 다른 혜택을 좀 더 추가하는 선에서 합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다.
11월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과 현대삼호중공업의 임금단체협상 잠정합의안이 잇달아 부결됐다.
이날 오전 2천790명의 조합원이 참여한 가운데 투표에 들어간 현대미포는 반대표가 총 투표수의 57%인 1천597표를 차지하면서 잠정합의안 통과가 무산됐다.
사측으로서는 기본급 3만7천원 인상 외에 정기상여금 700%를 통상임금에 반영키로 함에 따라 실질적인 급여인상이 적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으나 조합원들의 마음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사측 관계자는 “통상임금을 포함할 경우 급여인상폭이 10%를 넘기 때문에 사측으로서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최대한의 인상안을 제시한 것”이라며 “하지만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향후 협상을 어떻게 진행해나가야 할지 알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모기업인 현대중공업도 아직 노사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현대중공업 임단협이 해결된 후에 다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미포에 이어 조합원투표에 들어갔던 현대삼호는 반대표가 찬성표보다 약 2배 많이 나오면서 부결됐다.
2천5명이 참여한 이날 투표에서는 찬성이 전체 투표수의 32.4%인 651표에 그친 반면 반대표는 67.3%인 1천350표가 나오면서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만이 상당한 수준임을 반영했다.
조합원들의 이와 같은 반발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연봉이 줄어들 것이라는 불안감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삼호 노조 관계자는 “매년 임단협이 끝나고 나면 지급되는 격려금 등 일시금이 올해 삭감되면서 적게는 수백만원, 많게는 최대 1천만원까지 연봉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는 걱정이 팽배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정급여보다 회사가 의무적으로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비고정급여의 비중이 더 높은 현재의 급여체계로는 조합원들의 안정적인 생계유지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사측에서는 경기가 좋을 때 지급하는 일시금을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현 상황에서도 지급해야 한다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며 기존 제시안에서 더 이상의 양보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말까지 임단협이 타결되긴 힘들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노사가 같은 의견을 보이고 있다.
현대삼호 관계자는 “현재의 제시안보다 급여를 더 인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복지나 다른 혜택을 좀 더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고민해 볼 여지가 있다”며 “하지만 지금의 제시안이 사측으로서는 최대한의 성의를 보인 것인 만큼 노조도 이를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협상을 어떻게 해 나가야 할지에 대해서는 당장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며 “기존 제시안에 더 추가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최대한 아이디어를 짜내야 하는 상황이며 언제쯤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도 장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현대미포조선 www.hm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