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양정책, 해운으로 눈돌린다 부산 해양정책, 해운으로 눈돌린다
이명규 2014-11-20 10:16:53

 

부산 해양정책, 해운으로 눈돌린다

 

부산시 해양정책의 패러다임이 항만 위주에서 해운산업 육성과 병행하는 쪽으로 바뀐다. 그동안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순위에 집착해 항만 일변도의 정책을 추진하는 바람에 북항 부두운영사가 공급 과잉으로 경영난에 허덕이자 하드웨어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로 눈을 돌린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시는 11월 13일 오후 2시 시청 26층 회의실에서 서병수 시장 주재로 부산항 관련 기관과 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14차 부산항경쟁력촉진협의회'에서 '해운이 살아나는 부산'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선사의 선박금융 이용 지원 및 부산형 선박금융상품 개발 ▷한국형 해운거래소 설립(본지 지난 3월 17일 자 6면 보도) ▷해운, 해양플랜트 전문인력 양성 메카 ▷글로벌 선박관리기업 육성 ▷부산에 본사를 둔 한국선급(KR)의 세계 5위 도약 지원 등 5대 목표를 제시했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75%를 차지하는 데 비해 지역 해운업계는 상대적으로 영세해 이들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부산에 본사를 둔 해운선사는 27%에 불과하고,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06억 원으로 전국 평균(400억 원)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선주협회 김영무 전무는 "해운업이 살아야 조선업이 살고 조선기자재업도 같이 살 수 있다는 점에서 부산시 정책이 항만에서 해운산업으로 전환한 것은 바람직하다"고 반겼다.

이와 달리 최성호 부산항만물류협회장은 "부산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항만업계가 신항과 북항 간 물동량 유치경쟁으로 북항이 고사 위기에 몰렸다"며 조속한 북항 기능 재배치를 촉구했다.

서 시장은 "그동안 해운·항만 특화를 주창해왔는데도 실질적으로, 정책적으로 이뤄진 게 없어 깜짝 놀랐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 일이라고 미룬 것 같다. 앞으로 부산 경제, 일자리와 관련된 해운·항만 업무는 권한과 책임이 없더라도 바로잡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 부산광역시청 www.busan.go.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