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해양관측망 계획(2014~2020) 발표 전국 해양관측망 계획(2014~2020) 발표
이명규 2014-12-29 15:22:36

 

전국 해양관측망 계획(2014~2020) 발표

 

최근, 중국 국가해양국은 “전국 해양관측망 계획(2014~2020)”(이하 “계획”이라 한다)을 발표하였다.
 
국가해양국 예보·감재사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해안 해양관측시스템, 연안 해양관측시스템 및 대양·극지 관측시스템을 커버할 수 있는 기본해양관측망을 구축하였으며 해양재해의 예방과 절감 및 해양연구 등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짧은 발전시간과 투자부족으로 인해 해양관측망의 공간적 분포구조, 관측수단, 기초 인프라, 기술지원, 운영시스템 등 분야에서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중국 해양분야의 급속한 발전을 뛰따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2020년의 해양관측망 발전목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첫째, 국가기본관측망을 중심으로 하고 지방기본관측망과 기타 전문관측망과 같이 서포트하는 해양종합관측망을 구축한다. 동 해양관측망은 연안에서 근해와 원양으로, 해수면에서 수중과 심해저로 관측범위를 확대하고 해안관측, 연안관측 및 대양·극지관측이 가능하며 해양환경에 대한 입체적 관측능력을 갖춘다.
 
 * 중국의 해양관측망은 기본해양관측망과 전문해양관측망으로 구성되며 그중에서 기본해양관측망은 국가 기본해양관측망과 지방 기본해양관측망으로 나뉜다.
 
둘째, 해양관측망 지원시스템과 데이터자원 공유시스템을 개선하고 해양관측망의 운영·관리 및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킨다.
 
셋째, 해양재해의 예방과 절감, 해양경제의 발전 및 해양권익의 수호 등 분야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이런 발전목표의 달성을 위해 ① 해안관측 능력 강화(해안관측소, 해안레이더관측소, 쓰나미 예보·경보 관측소의 발전 강화). ② 연안관측 능력 향상(부이, 표준 단면도 조사, 해상 관측 플랫폼, 해저관측시스템, 위성관측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③ 대양과 극지 관측, ④ 종합 지원시스템 구축 등 4가지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고 계획에서 이와 같이 규정하였다.


■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www.ckjorc.org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