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노조 파업안 가결…통상임금 놓고 사측 압박
대우조선노조의 조합원 파업 찬반투표에서 파업안이 79.2%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1월 13일 대우조선노조에 따르면 12일 오전부터 이날 오후 1시까지 진행된 쟁위행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조합원 6874명 중 5649명이 투표에 참여해 79.2%(기권표 제외)의 찬성률로 쟁의행위안이 통과됐다.
대우조선노조는 전날부터 통상임금 투쟁을 위해 쟁의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쟁대위 체제를 통해 통상임금 관련 투쟁을 이어갈 계획이다. 법적으로 쟁의행위 가결이 된 뒤 10일 이후에 파업을 할 수 있다. 대우조선 노조는 교섭과정에서 파업 카드를 쥐고 사측에 압박 수위를 높여갈 계획이다.
대우조선 노사는 통상임금과 관련해 지난해 11월 26일부터 총 8차례 걸쳐 교섭에 나섰으나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해를 넘겼다. 파업 찬반투표는 매년 진행했지만 올해는 통상임금 이슈가 있어 분위기가 전년과는 다르다.
노사는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범위를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총 800%의 상여금 중 설·추석 상여금 200%를 제외한 600%만 통상임금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800% 모두 반영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동종 업계인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임단협 결과가 나올 때 까지 기다려달라는 입장이다. 회사 측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통상임금과 관련해 노조와 8회 만나 협상을 벌였다"며 "회사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동종사의 임단협 결과도 나오지 않은 만큼 시간을 두고 협의하자고 노조를 설득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노조 측은 "통상임금 문제는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 항목에 포함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라며 "통상임금 재교섭은 본교섭 8차와 실무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회사가 삼성과 현대 등 동종사 눈치를 보느라 진전이 없다"고 맞섰다. 이어 "회사가 빌미로 잡고 있는 동종사 사정과 통상임금 문제를 제기한 우리 사정은 다르다"며 "주변상황 운운하는 회사 주장은 명분과 신뢰를 모두 잃었다"고 지적했다.
■ 대우조선해양 www.ds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