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삼각주 지역의 도시화 진전, 콜드체인물류사업 기회 제공 양쯔강삼각주 지역의 도시화 진전, 콜드체인물류사업 기회 제공
이명규 2015-03-24 19:16:35

 캡처.JPG

<그림. 중국의 콜드체인물류시장 수요 규모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양쯔강삼각주 지역의 도시화 진전, 콜드체인물류사업 기회 제공


양쯔강삼각주(Yangtze River Delta)의 도시화 진전에 따른 냉동식품(frozen food) 수요 증가가 콜드체인 유통시스템의 급속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콜드체인물류 활동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음.
현재 이 지역의 농산품 및 식품의 콜드체인 유통 비중은 상당히 낮은 편이며, 이는 콜드체인 물류시장이 앞으로 크게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많은 식품 및 양식 관련 기업들이 콜드체인 수출 서비스를 통한 해외시장 확충을 희망하고 있는 상황임. 이에 따라 양쯔강삼각주 지역의 콜드체인 물류시장에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사업 모색을 원하는 다수의 물류기업들로부터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1. 중국의 콜드체인물류시장 급성장 중
최근 수 년간 중국의 콜드체인물류시장은 연평균 두자릿수의 고속 성장을 하고 있음.
중국물류구매 연합회(China Federation of Logistics and Purchasing)와 중국물류학회(China Society of Logistics)가 공동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3년 중국의 콜드체인물류시장 수요는 연평균 12% 성장하였으며, 2013년 수요는 9,200만 톤을 기록함. 콜드체인물류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주요 제품들로는 냉장음료, 급속냉각 시리얼제품, 냉동 해산물, 냉동·신선 과일, 신선 채소, 냉장·냉동 육류 제품임.
한편, 중국의 콜드체인물류 활동이 양쯔강삼각주를 포함한 동부 연해지역 및 경제가 발전하는 기타 지역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현재 중국 동부 연해지역의 냉동·냉장창고는 중국 전체 냉동·냉장창고 저장능력의 60%를 차지하고 있음. 이러한 현상은 최근 몇 년간 도시민들의 식료품 및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그리고 도시내 콜드체인 유통시스템의 급속한 발전에 기인한 것임.
도시화는 특히 중국 동부 연해지역의 교통운송 네트워크와 관련한 인프라 건설을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콜드체인 운송이 활성화되고 있음. 2013년 중국의 냉장 수송 화물의 90%가 고속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바, 현재 중국의 콜드체인
운송은 주로 고속도로에 의존하고 있음.


2. 양쯔강삼각주 콜드체인물류시장, 신흥 성장분야로 부상
양쯔강삼각주 지역의 경제와 비즈니스 활동 모두 지속적인 확장을 보이고 있으며, 가계소득 증대 및 각종 소비재에 대한 수요 증가는 각종 제품에 대한 물류서비스 수요를 자극하고 있음.
최근 몇 년간 장쑤(Jiangsu)성 및 저장(Zhejiang)성과 같은 일부 성들의 물류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냄. 특히 장쑤성과 저장성의 화물 수송량은 2005년 대비 거의 두 배로 증가했으며, 2013년 철도, 도로, 해운을 이용한 화물 수송량은 18억 톤 이상을 기록함.
현재 양쯔강삼각주는 전통적인 운송 활동 외에도 도시와 농촌지역을 연결하는 물류유통시스템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국내 타 지역 및 해외 기타 국가와의 물류시스템 연계성 증진에도 노력하고 있음. 중국 정부가 ‘신형 도시화 계획’ 청사진을 그릴 때 지방 정부들은 해당 지방의 도시간, 그리고 지역 교통 네트워크 완비를 위해 큰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현재 양쯔강삼각주에는 고효율의 원활한 교통물류시스템이 구축됨.


또한 양쯔강삼각주는 이 지역에서의 전반적인 물류 효율성 증대와 함께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현대적인 물류서비스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음.
전자상거래의 폭발적인 증가가 택배운송과 같은 연관된 물류서비스의 발전을 크게 촉진했으며, 같은 맥락에서 콜드체인물류서비스 또한 강력한 수요를 기반으로 물류산업의 또 다른 신흥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음.


이러한 중국 콜드체인물류시장의 트렌드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양쯔강삼각주는 콜드체인 물류시장을 적극 육성 중이며, 일례로 장쑤성은 콜드체인물류를 지속적인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분야로 선정함.
장쑤성은 난징(Nanjing), 우시(Wuxi), 쑤저우(Suzhou)와 난퉁(Nantong) 시에 공공물류정보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함. 뿐만 아니라 곡물저장 및 기타 물류저장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바코드, 라벨, RFID, 사물인터넷과 같은 선진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며, 신선, 냉장, 냉동, 예냉, 운송, 검사 등 콜드체인 프로세스를 개선할 계획임. 아울러 장쑤성은 란저우(Lanzhou)-롄윈강(Lianyungang) 철도노선 주변지역과 성 동부에 위치한 롄윈강(Lianyungang)시에 콜드체인물류 산업벨트 구축, 쑤치엔(Suqian)시에 베이징-항저우 운하 및 쉬저우-쑤치엔-화이안-양청 고속도로를 활용하는 물류거점을 구축할 계획임.
가계소득의 증가로 장쑤성을 포함한 양쯔강삼각주 지역 주민들의 신선식품에 대한 지출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외식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어 냉동·냉장 저장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음.
장쑤성을 예로 들면, 2013년 도시 거주자 1인당 식품에 대한 지출 규모는 2009년 대비 약 50% 증가한 7,074위안(약 127.2만 원)을 기록했으며, 최대 소비 품목은 육류, 채소 및 수산물 순임. 한편 장쑤성 인근에 위치한 저장성 도시 거주자의 2013년 1인당 식품에 대한 지출 규모는 8,000위안(약 134.9만 원)을 기록함.


특히 저장성의 경우 최근 몇 년간 고급 과일, 채소, 육류 및 수산물 수출입 규모의 빠른 증가, 저장성 관련 기업들의 해외시장 확충 수요로 콜드체인 국제물류체계 강화를 필요로 하고 있음.
저장성의 수입 식음료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일례로 농산물 수입 규모는 2009년 37억 달러에서 2013년에는 73.8억 달러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함. 한편, 2013년 저장성의 농산물 및 수산물 수출 규모는 각각 100억 달러와 18.9억 달러를 기록함. 또한 저장성의 많은 농산물 및 수산물 기업은 콜드체인 물류서비스를 활용하여 향후 수출 확대와 신규 해외시장 판로 개척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저장성의 주요 무역항인 닝보항은 양쯔강삼각주를 포함한 저장성 전역의 콜드체인 물류서비스 및 제반시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수 년간 항만의 콜드체인물류체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3. 물류기업의 중국 콜드체인 물류시장 진입 현황
콜드체인물류서비스가 식품 소비 및 공급사슬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함에 따라, 현재 이하오디앤(Yihaodian) 및 SF Best(SF Express의 자회사)와 같은 많은 전자상거래기업들 역시 신선식품 및 냉동식품 시장에 진입함. 또한 콜드체인물류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많은 중국 현지 물류기업들이 장거리 운송 과정에서 신선식품 및 식재료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콜드체인물류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중임.
중국은 냉동저장시설 및 기타 하드웨어 시설의 건설과 더불어 콜드체인물류 운영의 전반적인 효율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선진적인 콜드체인 솔루션을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임. 홍콩 기업들은 콜드체인물류 운영에 광범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콜드체인물류사업 운영에 있어 화물의 위치 추적, 원격 온도 및 습도 조절, 화물의 모니터링 및 추적과 같은 첨단 IT를 적용해 오고 있음. 이와 함께 홍콩 기업들은 중국의 식품 및 음료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는 강점도 보유하고 있어,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품 및 신선제품을 적절히 가공할 수 있는 신기술을 소개하는데도 유리한 위치를 가지고 있음.
한 예로, 홍콩에 등록된 Swire Pacific Cold Storage사(社)는 상하이에 멀티 온도조절 냉장창고 및 포장, 가공 공장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중국 최대의 내륙 컨테이너 운송기지인 장쑤성 난진 룽탄(Longtan)항과 저장성 닝보경제기술개발구(Ningbo Economic Technological Development)에도 콜드체인 저장시설을 보유하고 있음. 이러한 콜드체인 물류시설을 바탕으로 이 회사는 현재 양쯔강삼각주 지역을 포함한 중국 전역에 콜드체인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4. 시사점
양쯔강삼각주 지역의 도시화 진전에 따른 콜드체인물류서비스 수요 증가로 콜드체인물류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 물류기업들에게도 중국 콜드체인 물류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임.
중국의 식음료 문화와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 성향을 잘 파악하고 있는 중국 콜드체인물류시장 기 진출 홍콩 물류기업의 사례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특히 고품질 식음료품 및 관련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요구조건이 까다로워지고 있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선진적인 종합 솔루션 제공이 필요함. 중국의 콜드체인물류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 산업발전 초기단계에 있으며, 비표준 냉장운영에 대한 개선, 콜드체인의 적정온도 유지, 콜드체인운송사슬에 대한 모니터링 및 감독 강화가 필요함.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mi.re.kr(국제물류위클리 299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관련협회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