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건화물선 운임지수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케이프를 제외한 모든 선형에서 운임 하락세 지속
최근 BDI는 574p(5월 8일)를 기록하여 전주 대비 13p 하락함.
- 케이프는 3,418달러(일)를 기록하며 전주 대비 207달러(일) 상승
- 파나막스는 전주 대비 421달러(일) 하락하며 4,734달러(일)를 기록
- 수프라막스는 34달러(일) 하락한 6.460달러(일), 핸디사이즈는 187달러(일) 하락한 4,876달러(일) 기록
- FFA 시장은 근월물과 3분기물의 움직임이 다소 상이하게 나타남. 케이프는 현물운임
상승을 반영하여 5월물은 9% 상승한 4,350달러(일), 3분기물은 그보다 크게 25% 상승한 7,625달러(일)을 기록. 파나막스는 3월물은 현물운임 약세를 반영하여 50달러(일) 하락한 4,800달러(일)을 기록했지만, 3분기물은 시황 개선의 기대감으로 200달러(일)의 소폭 상승으로 5,100달러(일)을 기록. 수프라막스는 4~5% 상승했으나, 핸디사이즈는 약보합세를 보임.
케이프는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양 수역에서 운임이 회복되며 상승세를 보임.
- 태평양수역은 서호주 철광석 물동량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남아프리카 항로 등의 수요증가로 소폭의 상승세를 보임
- 대서양수역에서는 Vale사 물동량이 시장에 나오면서 운임이 개선되는 움직임
파나막스는 대서양 수역에 비해 태평양 수역의 시황악화가 보다 심각한 상황임.
- 태평양수역은 인도네시아 석탄 물동량이 유입되고 있으나 운임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
- 대서양수역은 남미 곡물 시즌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물동량 유입이 줄어들어 시황 악화로 이어짐
수프라막스는 일부 호주 석탄 수요, 대서양 R.V. 항로의 곡물 수요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수요 부진을 보이면서 소폭 하락함.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mi.re.kr(해운시황포커스 제25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