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분기 연안해운 물동량 전년동기 대비 5.5% 감소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2012년도 2분기 연안해운분야 전체 물동량은 총 60,255천톤으로 전년동기(63,749천톤) 대비 5.5%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월별로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4월은 4.5%↓, 5월은 8.7%↓, 6월은 3.7%↓ 등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화물별 물동량을 전년동기와 비교·분석한 결과 철강이 20.6%, 유류는 8.1% 감소하였으며, 반면 시멘트는 6.7%, 광석과 모래는 각각 3.9%와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에 띄는 것은 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조선 및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철강제품의 물동량이 대폭 감소하고, 중질유 등 국내소비 둔화로 유류제품 물동량이 감소한 점이다.
반면, 철강제품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강원료로 사용되는 광석(석회석 등) 물동량이 소폭 증가한 것은 기존에 육송으로 운송되던 현대제철의 석회석(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 제강원료) 운송이 전환교통 보조사업* 등에 힘입어 육상운송에서 해상운송으로 전환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친환경 물류수송 확대차원에서 육송화물을 해송으로 전환하는 경우 육송운임과 해송운임 간 차액의 일부를 정부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사업(`12년 35억 지원)
시멘트, 모래의 경우 전년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이는 `10년 대비 전년도 낙폭을 회복하는 과정에 나타난 상승으로 아직 평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항만별로 누적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 대산항, 포항항은 각각 전년대비 15.7%, 11.2%, 9% 증가하였으나, 인천항, 목포항, 울산항, 광양항은 각각 전년대비 18.4%, 15.4%, 14%, 6.2% 감소하였다.
월별로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4월은 4.5%↓, 5월은 8.7%↓, 6월은 3.7%↓ 등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화물별 물동량을 전년동기와 비교·분석한 결과 철강이 20.6%, 유류는 8.1% 감소하였으며, 반면 시멘트는 6.7%, 광석과 모래는 각각 3.9%와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에 띄는 것은 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조선 및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철강제품의 물동량이 대폭 감소하고, 중질유 등 국내소비 둔화로 유류제품 물동량이 감소한 점이다.
반면, 철강제품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강원료로 사용되는 광석(석회석 등) 물동량이 소폭 증가한 것은 기존에 육송으로 운송되던 현대제철의 석회석(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 제강원료) 운송이 전환교통 보조사업* 등에 힘입어 육상운송에서 해상운송으로 전환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친환경 물류수송 확대차원에서 육송화물을 해송으로 전환하는 경우 육송운임과 해송운임 간 차액의 일부를 정부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사업(`12년 35억 지원)
시멘트, 모래의 경우 전년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이는 `10년 대비 전년도 낙폭을 회복하는 과정에 나타난 상승으로 아직 평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항만별로 누적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 대산항, 포항항은 각각 전년대비 15.7%, 11.2%, 9% 증가하였으나, 인천항, 목포항, 울산항, 광양항은 각각 전년대비 18.4%, 15.4%, 14%, 6.2% 감소하였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